美 IEEFA의 일침...한전 눈덩이 적자 "화석연료 집착 때문"

차민주 기자 / 기사승인 : 2022-10-13 11:15:51
  • -
  • +
  • 인쇄
한전 이익률, 화석연료 가격에 의해 좌우
한전 신용등급 '재무리스크' 과소 평가돼

한국전력이 30조원이 넘는 적자를 빚는 요인은 '화석연료에 대한 집착 때문'이라는 분석이 미국에서 나왔다.

미국 에너지경제∙재무분석연구소(IEEFA)는 13일(현지시간) '한전의 청정에너지 전환이 위태롭다'(KEPCO’s Clean Energy Transition Hangs in the Balance)는 보고서를 통해 "한전이 재무위기를 마주하게 된 근원이 한전의 화석연료에 대한 오랜 집착 때문"이라고 경고했다.

이 보고서는 한전 재무위기의 근본적 원인과 한전 채권 투자자들에게 닥칠 잠재적 리스크를 분석하고, 한전의 에너지 전환 계획에 의문을 던졌다. 보고서를 집필한 IEEFA의 헤이즐 제임스 일랑고(Hazel James Ilango)는 "화력발전이 한전의 발전 자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며 "연료비가 소비자에게 모두 전가되지 않는 구조를 감안했을 때 가격 변동성이 크고 비싼 화석연료에 대한 과도한 노출이 지난 10년 동안 한전의 수익을 악화시킨 주범"이라고 분석했다.

▲변동성이 큰 화석연료(석탄 및 LNG) 가격에 의해 크게 좌우되는 한전의 이익률


또 보고서는 한전이 단기 수익성과 사업성에만 치중한 나머지 지속적으로 석탄과 가스발전에 의존해 청정 재생에너지로 전환하지 못한 것에 주목했다. 보고서는 "한전이 화력발전이 경영위기를 초래한다는 것을 알았음에도 대응은 없었다"며 "에너지믹스를 바꾼다거나 사업전략을 선회하는 등 즉각적으로 대응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결국 한전은 채무를 이행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섰음에도 계속해서 채권을 발행하고 있다. 정부의 구제금융을 과도하게 의존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전의 신용등급은 이런 재무 리스크가 제대로 반영돼 있지 않다고 보고서는 평가했다.

실제로 한전의 자체 신용등급은 '투자 부적격' 수준으로 강등됐지만, 장기 신용등급은 한전에 대한 정부의 암묵적 지급보증 가능성을 근거로 6~8단계 더 높은 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채권 투자자들은 계속해서 한전의 채권을 매입하고 있다.

IEEFA는 결국 투자자들이 화석연료로 인해 재무위기를 맞닥뜨린 한전에 자금을 제공하며 한전의 막대한 탄소배출과 에너지전환 실패에 기여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전 전체 자본지출 대비 미미한 재생에너지 투자 비중 (자료=기후솔루션)


한전이 녹색채권을 계속 늘려가고 있음에도 일반 채권에 비하면 녹색채권 발행액은 미미한 수준이다. 또한 청정 재생에너지가 아닌 또다른 화석연료인 액화천연가스(LNG)가 향후 발전믹스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것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녹색채권은 친환경 및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투자할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이다.

보고서는 한전이 검증되지 않은 블루수소와 같은 기술에 투자하겠다고 밝힌 대목에서도 우려를 표했다. 경영진과 이사진을 비롯한 한전 전반 거버넌스의 탈탄소 역량을 의심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블루수소는 천연가스에서 수소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포집·저장(CCS·Carbon Capture and Storage)해 탄소배출을 줄인 수소다. 하지만 지금 전세계적으로 CCS 기술은 아직 성공률이 높지 않은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한가희 기후솔루션 연구원은 "한전은 정부의 개입을 당연시해온 결과 화석연료에 대한 노출을 줄이려는 조치를 적극 취하지 않았다"며 "정부, 국회를 비롯한 정책결정자들은 한전에 2030년 석탄퇴출 목표와 청정에너지로의 전환에 대한 조건을 명시하라고 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코오롱, 미래세대 위한 친환경 에너지교육 지원 확대

코오롱그룹이 미래세대의 친환경 에너지 교육지원에 적극 나선다. 코오롱은 대한상공회의소 신기업가정신협의회(ERT)의 '다함께 나눔프로젝트'에 참여

'신한은행' 지난해 ESG경영 관심도 1위...KB국민·하나은행 순

지난해 1금융권 은행 가운데 ESG경영에 가장 많은 관심을 쏟은 곳은 신한은행으로 조사됐다.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이 뒤를 이었다.1일 데이터앤리서치

"AI시대 전력시장...독점보다 경쟁체제 도입해야"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전력시장에 경쟁체제를 도입하고, 전력수요처에 발전설비를 구축하는 분산형 시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대한상공

KCC그룹, 산불 피해복구 위해 3억5000만원 기부

KCC그룹이 산불 피해복구를 위해 3억5000만원을 기부했다고 31일 밝혔다.KCC는 2억원, KCC글라스는 1억원 그리고 KCC실리콘은 5000만원을 전국재해구호협회를

8년만에 바뀐 '맥심 모카골드' 스틱...친환경 디자인으로 변경

맥심 '모카골드'와 '슈프림골드' 스틱이 8년만에 친환경 디자인으로 바뀌었다.동서식품은 커피믹스의 주요제품인 '맥심 모카골드'와 '맥심 슈프림골드'

LG U+, CDP 기후변화대응 부문 최고등급 '리더십A' 획득

LG유플러스는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CDP)의 2024년 기후변화대응 부문 평가에서 최고등급인 '리더십 A등급'을 획득했다고 31일 밝혔다.CDP는 매년 전세계

기후/환경

+

지구 4℃ 상승하면...전세계 인구 40% 빈곤해진다

지구 온도가 4℃ 상승하면 지구 인구의 40%가 빈곤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1일(현지시간) 호주 뉴사우스웨일즈대학 기후위험대응연구소의 티모시

산불 커질만 했네…3월 한반도 기온·풍속 모두 이례적

의성, 안동, 산청 등 영남지역에서 대형 산불이 빠르게 확산됐던 지난달 우리나라는 이상고온과 이상건조, 이례적 강풍이 발생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1.5℃ 기후목표에 매몰되면 농경지 12.8% 감소할 것"

1.5℃ 기후목표 달성을 위한 전세계 정책이 전세계 농경지 면적을 약 12.8% 줄이는 결과를 초래해 식량 위기안보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가

산불이 끝이 아니다...비오면 산사태 위험 200배

경북 대형산불이 지나간 자리에 산사태라는 또다른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2∼3개월 뒤 장마철과 겹치면 나무가 사라진 산은 속수무책으로 무너질 수

작년 이상고온 103일 '열흘 중 사흘'..."기후위기 실감"

지난해 열흘 중 사흘가량이 '이상고온'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9월은 절반 이상이 이상고온 상태였다.정부가 1일 공개한 '2024년 이상기후 보고서'

경북산불 연기 200㎞ 이동했다...독도 지나 먼바다까지

경상북도에서 발생한 산불 연기가 강풍을 타고 최초 발화지에서 최소 200㎞ 넘게 떨어진 동해 먼바다까지 퍼졌다.1일 기상청 국가기상위성센터와 대구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