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더워서 비행기 못 뜬다…온난화로 '양력' 이상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2-11-07 08:46:01
  • -
  • +
  • 인쇄
기온 3°C 오를 때마다 양력 1% 감소
태울 수 있는 승객도 매년 1명씩 줄어


지구온난화로 오른 대기온도가 항공기 이륙까지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현지시간) CNN 등 외신은 지구온난화로 폭염의 강도와 빈도가 높아지면서 항공기 이륙에 지장이 생기는 일이 일부 공항에서 이미 발생하고 있고, 앞으로 이런 현상이 확산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영국 레딩대학교 대기과학과의 폴 윌리엄스 교수에 따르면 지구온난화가 무거운 비행기를 뜨게 하는 '양력'(揚力·lift)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는 "기온이 3°C 상승할 때마다 양력이 1%씩 감소한다"며 "매우 극단적인 조건에서는 (폭염으로 비행기 이륙이) 아예 불가능해질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일례로 20°C에서 이륙할 때 필요한 활주로 길이가 2000m인 항공기가 있다면, 이 항공기는 40°C에서는 2500m 길이의 활주로가 있어야 이륙이 가능한 셈이다.

윌리엄스 교수 연구팀은 여름에 기온이 높고 활주로가 짧은 그리스 공항 10곳의 데이터를 분석한 바 있다. 연구 결과 해당 공항들에서는 1970년대부터 10년마다 평균 기온이 0.75°C 올랐고, 맞바람의 속도가 10년마다 2.3노트 감소하는 추세가 나타났다.

맞바람이 강할수록 양력이 커지므로 이륙에 유리하다. 윌리엄스 교수는 기후변화로 지표면에서의 바람속도가 줄어들고 있다는 연구결과도 소개했다.

윌리엄스 교수 연구팀은 이같은 기온과 맞바람 데이터를 에어버스 A320 등 다양한 기종 항공기들의 이륙 성능 계산식에 대입해 봤다. 그랬더니 항공기의 이륙시 최대 허용 중량이 해마다 127㎏ 감소한 것으로 나왔다. 승객의 체중과 수하물 무게를 감안하면, 비행기에 태울 수 있는 승객 수가 매년 1명씩은 줄어들었다는 얘기다.

A320 여객기가 활주로 길이가 1500m 안팎인 그리스의 히오스섬 국립공항에서 이륙하는 경우를 계산해 보면, 1988년 도입 때부터 2017년까지 최대 이륙 중량이 3600㎏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윌리엄스 교수는 설명했다.

런던의 시티 공항 역시 활주로 길이가 1500m 안팎이다. 이 공항에서는 2018년 폭염 당시 항공편 10여편이 취소됐다.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의 스카이하버 국제공항에서는 2017년 6월 최고 기온이 50°C를 넘나드는 폭염 탓에 며칠간에 걸쳐 항공편 수십편이 취소됐다.

이 때문에 일부 공항에서 보잉 737 등 협폭동체 항공기(동체의 가로가 좁아 기내 복도가 한 줄인 항공기)에 대해 실시하는 중량제한 조치의 확대가 불가피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다만 항공사들이 이를 위한 대비와 대응을 하고 있어, 당장 문제가 되는 경우는 드물 것으로 전망된다.

일부 중동 지역 공항에서는 하루 중 가장 더운 시간대를 피해서 이륙시간을 잡거나, 경량 소재를 채택해 항공기 중량을 줄이거나, 기온이 높고 고지대에 위치한 공항에서도 이륙이 가능하도록 공기역학적 면적을 늘리고 추력을 증강한 항공기 모델을 설계하는 등 대응책이 마련돼 있다.

공항의 활주로 길이를 늘리는 해결책도 경우에 따라서는 가능하다.

만약 이런 해결책들로도 해결이 안 되는 경우는 승객들이 자리를 포기해야 할 수도 있지만, 적어도 근미래에 걱정할 일은 아니라고 윌리엄스 교수는 설명했다. 대부분의 항공편은 이륙시 최대 허용 중량보다 훨씬 가벼운 상태로 이륙하기 때문이다.

윌리엄스 교수는 "다만 장기적으로 문제가 악화할 수 있다"며 "항공업계의 큰 골칫거리로 떠오르지는 않겠지만, 앞으로 상황이 악화될 것이라는 증거만큼은 확실하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관련기사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하나금융, 장애인 거주시설 개보수·친환경 차량 지원

하나금융그룹이 장애인의 건강한 일상과 이동권 보장을 위해 노후화된 장애인 거주시설 개보수 및 친환경 차량 지원사업을 실시한다고 24일 밝혔다.이

자동차부품산업 'ESG·탄소중립 박람회' 25일까지 개최

자동차 부품산업의 지속가능 경영을 위한 청사진을 제시하는 '2025 자동차부품산업 ESG·탄소중립 박람회'가 서울 서초동 aT센터에서 23일부터 25일까

KB국민은행, 서울숲에서 어린이 꿀벌 체험 프로그램 진행

KB국민은행은 생태계 다양성 보전에 앞장서고자 서울숲 꿀벌정원에서 어린이 꿀벌체험 '안녕, 꿀벌' 프로그램을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이번 프로그램

22일 지구의 날...뷰티·식품업계 '기후감수성' 살리는 캠페인 전개

뷰티·식품 등 유통업계가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기후감수성'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친환경 캠페인을 전개한다.동원F&B는 제주 해안

'친환경 소비촉진'...현대이지웰, 국내 첫 '온라인 그린카드' 도입

현대이지웰이 국내 최초로 '온라인 그린카드'를 도입해 친환경 소비촉진에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 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21일 한국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사회복지기관에 'ESG경영' 지원한다

경기도가 오는 5월 16일까지 'ESG 경영지원 사업'에 참여할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및 사회복지기관을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복지

기후/환경

+

화석연료 기업들 배출한 온실가스...30년간 28조달러 폭염피해 유발

지난 30년동안 전세계 화석연료 기업들로 인한 폭염 피해가 28조달러(약 4경185조원)에 달한다는 분석이다.미국 스탠퍼드대 크리스토퍼 캘러핸 박사와

습지 미생물 메탄배출량 대폭 증가...원인은 기온상승

기온이 오를수록 습지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메탄배출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3일(현지시간) 미국 스미소니언 연구소는 메릴랜드주 스미소니

美 원격진료가 의료와 교통의 탄소발자국 줄였다

미국에서 '원격진료'가 증가하면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감소해 기후위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UCLA 데이비드 게펜 의과

"새끼는 안굶겨"...남극 '아델리펭귄'의 영리한 사냥전략

남극에 사는 아델리펭귄이 주변환경 변화에 따라 사냥 전략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24일 극지연구소는 남극 로스해 아델리펭귄 약 50여마리의 이

대지진 참사 2년만에 또?...이스탄불 인근서 규모 6.2 지진

튀르키예 이스탄불 인근 해상에서 규모 6.2의 지진이 발생해 151명이 부상을 입었다.23일(현지시간) 낮 12시49분경 독일지구과학연구센터(GFZ)는 이같이 밝

한반도 바다 이대로 괜찮나?...해수온 벌써 1.58℃ 상승

1968년부터 2024년까지 지난 57년간 지구의 표층 수온은 0.74℃ 상승했는데 우리나라 해역의 수온은 이보다 2배 높은 1.58℃까지 상승했다.해양수산부 국립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