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계 보호비용 누가 내나?…COP15 보이콧 나선 개도국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12-17 08:42:01
  • -
  • +
  • 인쇄
개도국 "지원 확대…새 기금 만들자"
선진국 "中·브라질도 비용 부담하라"


생물다양성 보호의 비용문제를 두고 선진국과 개도국이 분열되면서 COP15회담이 탈선할 위험이 커졌다.

14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지는 유엔 COP15생물다양성정상회담에서 지구 생태계 보호비용을 누가 지불해야 하는지를 두고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 입장이 엇갈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에 세계 남부 개도국 대표들이 논의를 중단하고 보이콧하면서 이번 회담이 위기에 빠졌다.

아프리카,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의 많은 생물다양성국가들은 더 많은 보존지원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일부 남반구 국가는 부유한 국가의 지원기금 증가와 함께 생물다양성에 특화된 새로운 국제기금 창설을 원하는 입장이다.

그러나 유럽을 비롯한 북반구 부유한 기부국들은 새로운 기금의 창설에 반대하고 있다. 유엔 환경조약 체결 이후 지난 30년간 눈부신 성장을 이룬 중국, 브라질 등 다른 경제대국들이 더 많은 기여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중국, 브라질, 인도, 멕시코, 인도네시아는 생물다양성을 보호하기 위한 유엔 지구환경기금(GEF)의 5대 수혜국이다. 게다가 이들 국가는 2022년부터 2026년까지 53억 달러의 자금 조달기간 동안 상위 5위 안에 포함될 예정이다.

따라서 한 소식통은 회담에서 중국, 브라질과 같은 GEF의 최대 수혜국들을 수혜자 목록이 아닌 기부자 목록에 추가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브라질은 이 수혜를 즐기며 협력을 더 어렵게 만들고 있다"며 "새 기금에 찬성하는 브라질의 주장은 부분적으로 이들이 새로운 시스템을 설계하고 비용을 지불할 필요가 없음을 확실히 하려는 의도"라고 꼬집었다.

소식통은 "이번 보이콧은 서로의 현실적인 한계선에 귀를 기울이고 타협을 시도하는 데 더 노력해야 한다는 분명한 메시지를 전달한다"고 말했다.

오스카 소리아(Oscar Soria) 행동주의단체 아바즈(Avaaz) 캠페인책임자는 이번 보이콧을 두고 개도국들이 생물다양성 금융에 대한 부유국가들의 행동에 지쳤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개발도상국들은 선진국들이 타협할 준비가 돼있지 않아 논의를 진전시킬 수 없다고 판단해 회의장을 떠났고 논의에 걸림돌이 되는 당사국들의 입장을 반영해 달라고 요청했다. 소리아는 당사자들이 "몇 주간 재정적 문제를 제대로 다루지 않고 논의가 진전될 수 있는 것처럼 행동했다"고 비판했다.

이날 COP15 주최국인 중국은 중국, 브라질 등 부유국가들이 받는 생물다양성 원조의 확대 문제로 보이콧이 계속되자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표단 지도자들과 위기회담을 조직했다.

한 관측통은 "재정이 움직이기 전에는 아무것도 움직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으며 파업에 참여한 협상가는 "개도국들은 정말 화가 나 있다"고 전했다. 그는 대화가 위기 지점에 이르렀다며 선진국들이 비용을 더 내야한다고 주장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우리금융, 다문화자녀를 위한 '우리아트스쿨' 참여기관 모집

우리금융이 '2025년 우리아트스쿨'에서 다문화자녀를 대상으로 미술교육을 진행할 기관을 모집한다.우리금융그룹의 우리다문화장학재단은 다문화자녀

패션업계 그린워싱 잡는다…공정위, 자라·미쏘·스파오 등 제재

패션업체들이 자사 제품에 친환경적인 표현을 쓰며 거짓 광고를 하는 이른바 '그린워싱' 혐의로 잇따라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받았다.공정위는 표

국내 제조사 62.7% "탄소중립 정책은 규제"로 인식

국내 제조업 3곳 중 2곳은 현행 탄소중립 정책을 규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경제인협회에서 매출액 기준 1000대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우리은행, 공공기관과 손잡고 '자립준비청년' 지원한다

우리은행이 공공기관과 자립준비청년 지원에 나선다.우리은행이 서민금융진흥원, 한국자활복지개발원과 함께 '취약청년의 자립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코오롱ENP, 영종도 용유해변을 '반려해변'으로 입양

코오롱ENP가 인천 영종도 용유해변을 반려해변으로 입양하고 해양 생태계 보호 활동에 나섰다. 코오롱ENP는 14일 임직원 40명과 함께 첫 공식 반려해변

'우유·주스팩 수거해요'...카카오·환경부 '종이팩 회수서비스' 나선다

일반 종이로 재활용하기 힘든 우유나 주스팩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정부와 카카오가 손잡고 종이팩 회수시스템 구축 시범사업을 추진한다.카카오

기후/환경

+

"올해 전기차 판매 2천만대 돌파예상...신차 판매 25% 차지"

올해 전기차는 신차 판매량의 25% 이상을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국제에너지기구(IEA)는 14일(현지시간) '2025년 세계 전기차 전망 보고서'(Global EV Outloo

지구 9가지 한계선 중 6가지 '위험상태'...되돌릴 5가지 방법은?

인류 생존을 위한 지구는 이미 한계선을 넘어 위험한 상태지만, 지속가능한 정책을 펼친다면 지구를 2015년으로 되돌릴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

남성 온실가스 배출량 여성보다 26% 많다...이유는?

여성보다 남성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요인이 자동차 운전과 육류 섭취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14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 온딘 버

작년 우주쓰레기 3000개 발생…매일 3개씩 지구로 추락

지난해 우주에서 발생한 인공위성 잔해물이나 발사체 파편 등 '우주쓰레기'가 3000개 이상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우주쓰레기 가운데 하루평균 3개

[새 정부에게 바란다] "화석연료 퇴출...확실한 로드맵 필요"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

훼손된 산림 회복속도 길어진다..."기온상승과 수분부족탓"

나무가 훼손된 산림이 기온상승과 강수량 부족 등으로 회복하는 시간이 점점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베이징대학교와 미국 콜로라도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