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발 입국자 5명 중 1명 코로나…PCR검사 첫날 61명 확진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3-01-03 13:09:41
  • -
  • +
  • 인쇄
인천공항 입국 단기체류 외국인 309명 검사
7일간 격리…하루 만에 수용인원 절반 넘어
▲중국발 입국자에 대해 코로나19 PCR검사를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중국발 입국자 전원에 대한 입국 후 코로나19 PCR(유전자증폭)검사가 의무화된 2일 국내 입국자 중 61명이 확진됐다.

3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전날 하루 동안 인천공항으로 입국한 중국발 항공기 승객(승무원 포함)은 총 1052명이었으며, 이중 90일 이내 단기체류 외국인 309명이 도착 즉시 인천공항 검사센터에서 PCR검사를 받았고 이중 61명이 확진인 것으로 나타났다. 양성률은 19.7%로, 5명 중 1명꼴인 셈이다.

공항에서 확진 판정을 받은 단기체류자는 방역당국이 마련한 임시 재택시설에서 7일간 격리된다.

정부는 현재 최대 100명까지 수용 가능한 격리시설을 마련하고 인천·서울·경기에 예비시설을 추가로 확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제로 코로나'에서 '위드 코로나'로 급선회한 중국이 출국 시 코로나 검사를 폐지하는 등 방역을 완화하면서 해외로 나가려는 인파가 급증했기 때문에 전날과 같은 추세로 확진자가 입국하면 수용 가능 인원을 초과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발 입국자 가운데 90일 이내 단기체류자를 제외한 내국인과 90일 초과 장기체류 외국인은 입국 1일 이내에 거주지 인근 보건소에서 PCR검사를 받아야 한다.

따라서 전날 공항 검사센터에서 PCR검사를 받은 단기체류 309명을 제외한 나머지 743명은 이날 내로 검사를 하게 된다.

또 인천공항 외에 항구를 통해 들어온 입국자들도 있어 확진자 수는 더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한국의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고강도 방역 대책을 시행하자 중국 내 비판 여론이 나오고 있다. 중국 누리꾼들은 인터넷 커뮤니티에 "일본도, 미국도 아닌 한국이 이럴 줄 몰랐다", "모욕적이다", "한국에 갈 필요 없다" 등 비판적 글이 잇달아 올라오고 있다.

왕원빈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한국 정부의 방역 조치 강화에 대해 "각국의 방역 조치는 반드시 과학적이고 도를 넘지 말아야 한다"며 "정상적인 인원 교류와 교류 협력에 영향을 줘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불만을 내비쳤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경기도, 일회용품 없는 '특화지구' 6곳으로 확대

경기도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전국 최초로 운영하는 '일회용품 없는 경기특화지구'를 5곳에서 6곳으로 확대한다고 24일 밝혔다. 양평 양수리전통시장

LG화학, 한샘과 손잡고 세계 최초 친환경 소재 주방가구 생산

LG화학이 한샘과 손잡고 친환경 주방가구 소재 시장 공략에 나선다. LG화학은 지난 21일 한샘 송파점에서 한샘과 '친환경 가구용 성형자재 개발 업무협

프랑스, 내년부터 화장품·섬유에 'PFAS' 사용금지

프랑스가 내년부터 화장품과 섬유에 '영원한 화학물질'로 불리는 과불화화합물(PFAS) 사용이 금지된다.프랑스의 일간 르피가로에 따르면 20일(현지시간)

경기도, 전국 최초로 '기후테크 산업육성 조례' 제정

기후테크의 정의와 사업 육성 지원에 대한 제도적 근거를 담은 '기후테크 산업 육성 및 지원 조례'가 전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처음으로 경기도에서

LG화학, 여수공장과 中텐진 '폐기물 매립제로' 국제인증 획득

LG화학이 폐기물을 매립하지 않고 자원으로 재활용하는 국제인증을 한국과 중국 사업장에서 동시에 받았다.LG화학은 국내 여수 화치공장과 중국 톈진

SK케미칼, CDP 기후변화 분야 평가 'A등급' 획득

SK케미칼이 글로벌 평가기관으로부터 ESG경영 성과를 인정받았다. SK케미칼은 최근 국제 지속가능경영 평가기관인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로부터 기

기후/환경

+

수년째 '오락가락'하는 봄꽃 개화...올해는 언제 피려나?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기온이 오락가락하면서 봄꽃 개화 시기도 갈수록 예측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올해 예상시기도 마찬가지다.산림청은 올해 봄꽃

"기후연구도 하지마"...트럼프, 과학자들에 기후보고서 작성 금지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정부 과학자들에게 글로벌 기후보고서 작업을 중단하라고 지시했다. 이는 미국을 기후변화 대응·연구에서 철수시

반나절에 124cm '펑펑'...5m씩 쌓인 눈에 파묻힌 日북부

일본 각지에 폭설이 이어지는 가운데, 이번에는 북부 아오모리현에서 눈이 5m 넘게 쌓였다.NHK 등 현지언론은 이 지역에 위치한 온천관광지 스가유의 적

'2026 월드컵' 축구선수들 전례없는 기후스트레스 겪는다...왜?

오는 2026년에 치뤄지는 'FIFA 월드컵'에 참가하는 축구선수들은 높은 온도와 습도에 노출돼 건강에 큰 위협을 받을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20일(현

"석유 시추금지 풀지마"...환경단체들, 美트럼프 대상 소송제기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환경단체로부터 2건의 소송을 당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를 대상으로 제기한 첫번째 소송이다.19일(현지시간) 그린피스와 생물다

탄소감축의 획기적 방법?...CO2가 재생연료 '메탄올'로 변신

온실가스의 주범 이산화탄소(CO2)를 재생연료로 변신시킬 수 있는 촉매가 미국에서 개발됐다.왕해량 미국 예일대학 화학과 박사가 이끈 연구팀은 18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