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땐 탄소포집기능의 6~9% 상실
아프리카 열대우림에 서식하는 코끼리가 멸종하면 열대우림의 탄소포집기능 6~9%를 잃어 지구온난화를 앞당길 것이라는 연구가 나왔다.
23일(현지시간) 미국 세인트루이스대학 연구팀은 아프리카숲코끼리(African forest elephant)로도 불리는 둥근귀코끼리가 숲을 번성시켜 대기 중 탄소저장량을 늘리고 숲의 생물다양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했다. 이미 심각한 멸종위기종인 둥근귀코끼리가 멸종할 경우 지구상에서 두 번째로 큰 열대우림인 중앙·서부 아프리카 열대우림이 대기 중 탄소를 포집하는 기능의 6~9%를 잃을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초대형 초식동물의 생태가 아프리카 열대우림의 탄소 보유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했다. 논문의 수석저자 스티븐 블레이크(Stephen Blake) 세인트루이스대학 생물학 조교수는 "코끼리가 수천 년간 인간에게 사냥당한 결과 심각한 멸종위기에 처했다"며 "코끼리가 사라지면 숲의 생물다양성도 사라지고 기후변화에서도 전세계적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결론 내렸다. 그는 지구환경 및 기후완화에서 숲 코끼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정책입안자들이 이를 진지하게 받아들여 코끼리 보존을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숲에는 탄소밀도가 낮은 가벼운 나무가 있는가 하면 탄소밀도가 높은 무거운 나무도 있다. 탄소밀도가 낮은 나무는 햇빛을 받기 위해 다른 나무보다 위로 빠르게 자라는 반면 탄소밀도가 높은 나무는 천천히 자라며 햇빛을 덜 필요로 해 그늘에서 자랄 수 있다.
코끼리를 비롯한 대형 초식동물들은 고탄소 나무보다 맛과 영양가가 풍부한 저탄소 나무를 더 많이 먹는다. 이러한 행위는 산림관리인이 나무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하는 '솎아내기'와 유사하다는 것이다. 솎아낸 숲에 생긴 간벌은 나무 간 경쟁을 줄이고 더 많은 빛과 공간, 토양 영양분을 확보해 고탄소 나무가 번성하도록 돕는다.
또 코끼리는 탄소밀도가 높은 나무의 씨앗을 분산시킨다. 코끼리가 고탄소 나무의 열매를 섭취하면 그 씨앗은 배설물을 통해 배출 후 발아해 숲에서 가장 큰 나무로 자라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러한 선호도로 인해 코끼리는 대기 중 탄소 수치와 직접적으로 연관돼있다고 설명했다. 탄소밀도가 높은 나무는 탄소밀도가 낮은 나무보다 대기 중 탄소를 더 많이 저장해 지구온난화 방지에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블레이크 조교수는 "코끼리들이 탄소밀도가 낮은 소위 '잡초'를 제거해 탄소밀도가 높은 나무 위주로 숲을 조성하고 숲의 다양성을 촉진한다"며 이들을 가리켜 '숲의 정원사'라고 비유했다.
공동저자 파비오 베르차기(Fabio Berzaghi) 프랑스 기후환경과학연구소(LSCE) 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코끼리와 동일한 영향을 미치는 다른 동물종이 있는지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영장류나 아시아코끼리 같은 다른 큰 초식동물도 열대 숲에서 탄소밀도가 높은 나무의 성장에 기여할 가능성이 크다"며 "이를 조사해 이번 연구의 의미를 둥근귀코끼리 이상으로 확장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를 기반으로 콩고분지와 서아프리카 코끼리를 보호하자는 주장은 그 어느 때보다 커졌다. 이미 코끼리 개체수가 급감해 많은 지역에서 기능적 멸종(개체수가 너무 적어 자연생존·번식이 불가능한 상태)이 된 것으로 판명됐다.
블레이크 조교수는 "코끼리 밀렵 및 불법거래는 여전히 활발하다"며 코끼리 보호의 확대를 촉구했다. 그에 따르면 한때 1천만 마리였던 코끼리는 현재 50만 마리 미만으로 약 30년에 걸쳐 그 수가 80% 이상 급감했다. 그는 "코끼리가 국내법과 국제법에 의해 보호받고 있음에도 밀렵은 계속되고 있다"며 "이는 코끼리 멸종을 막기 위해 중단돼야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