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어가 점친 기후위기..."1.5℃ 억제해도 남극 빙상 붕괴"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2-06 12:10:30
  • -
  • +
  • 인쇄
남극 해저문어 간빙기 때 유전자 교류 확인
붕괴로 바닷길 열린 탓..."1.5℃보다 낮았다"


문어의 유전자가 남극 빙상의 암울한 미래를 담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호주 제임스쿡대학교 샐리 라우(Sally Lau) 박사 연구팀이 '투르켓 문어'(Turquet's octopus)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기온 상승폭을 1.5℃ 이내로 제한한다 해도 남극 빙상이 녹아내리면서 해수면이 3~4m가량 상승할 수 있다는 가설이 제기됐다.

투르켓 문어는 지난 400만년간 남극 해저에서 서식하고 있는 문어의 일종이다. 연구팀은 30여년에 걸쳐 수집한 96개의 투르켓 문어 표본에서 DNA를 추출해 특정 투르켓 문어 무리가 과거 어느 시점에 어떤 곳으로 이동했고, 서로 다른 곳에 살던 무리들이 만나 어떤 방식으로 교류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유추해냈다.

분석 결과, 연구팀은 지구가 가장 최근 간빙기를 맞이한 12만5000년 전 남극대륙 서부 빙상 북편 웨들해(Weddell Sea)에 서식하던 투르켓 문어들과 반대편인 남쪽 로스해(Ross Sea)의 투르켓 문어들 사이에 교류가 있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리고 이는 빙상의 완전한 붕괴로 새로운 바닷길이 열렸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빙상은 면적이 5만㎢ 이상의 거대한 빙하 얼음덩어리를 말한다. 지구상에서 가장 큰 빙상은 면적이 1397만㎢에 달하는 남극 빙상이다. 전세계 민물의 절반 이상이 남극 빙상으로 얼어붙어 있다. 연구팀에 따르면 남극 빙하가 녹아내린 간빙기 당시 해수면은 현재보다 5~10m가량 높았다.

문제는 지난 간빙기 지구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인 1850년 대비 0.5~1.5℃ 높았다는 점이다. 파리기후변화협정을 통해 국제사회가 인류 생존의 마지노선으로 정해 놓은 '1.5℃ 목표'보다 낮은 수치다. 결국 인류가 지정한 '1.5℃ 목표'를 달성한다 해도 기온을 더 낮추지 않는 한 남극 빙상은 계속해서 녹아내리면서 붕괴될 공산이 크다는 것이다.

남극 빙상으로 얼어붙어 있는 물은 전세계 해수면을 3~4m 상승시킬 정도의 양이다. 이미 남극 빙상은 2003~2019년 연평균 118기가톤이 녹아내리면서 하루 최대 50m씩 후퇴하고 있다.

해수면이 3m만 상승하더라도 전세계 해안선을 새로 그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해수와 담수가 혼합된 한강 '기수'가 고양시 앞까지 몰려들 수 있고, 영산강, 낙동강 하구는 물론 금강 하구의 군산 장항 등이 수몰될 수 있다. 전세계적으로 저지대에 거주하는 6억7000만명, 군서 도서 국가에 사는 6500만여명이 직접적인 영향권 안에 들어온다.

남극 빙상이 지난 간빙기 실제로 붕괴했는 지는 의견이 분분하다. 이번 연구에 직접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보고서 공저자이자 태즈메이니아대학교 소속 빙하분야 전문가 네이선 빈도프(Nathan Bindoff) 교수는 "이번 연구는 과거 빙상이 어떻게 변해왔는 지에 대한 불확실성을 줄여가는 게 우리 미래에 있어 얼마나 중요한 지 입증했다"면서 "문어 DNA가 남극 빙상 붕괴에 따른 해수면 변화의 증거로 쓰일 수 있다는 건 생각도 못했다"고 밝혔다.

해당 연구논문은 정식 게재되기 앞서 피어리뷰를 진행중이지만 연구팀은 사태의 긴급성을 고려해 온라인 생물학 분야 논문 공유 및 저장소 '바이오아카이브'(bioRxiv)를 통해 지난 1월 29일 일반에 공개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네이버·국립생태원, 생물다양성 보호 나선다

네이버와 국립생태원이 13일 생물다양성 대응 및 생태계 보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네이버 본사에서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네이버와 국립생태

"이게 정말 세상을 바꿀까?"...주춤하는 'ESG 투자'

미국을 중심으로 '반(反) ESG' 기류가 거세진 가운데, 각 국의 정치·경제적 상황에 따라 정책 방향이 엇갈리면서 ESG 투자의 실효성 문제가 거론되고

SK이노베이션, MSCI ESG평가서 최고등급 'AAA' 획득

SK이노베이션이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최고 성과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SK이노베이션은 글로벌 ESG 평가기

산재사망 OECD평균으로 줄인다...공시제와 작업중지권 확대 추진

정부가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산업안전보건 공시제, 작업중지권 확대 등을 시행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13일 대국민 보고대회를 앞두고 있

우리금융, 글로벌 ESG 투자지수 'FTSE4Good' 편입

우리금융그룹이 글로벌 ESG 투자 지수인 'FTSE4Good'에 신규 편입됐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지수 편입을 통해 우리금융은 글로벌 투자자와 소통을 더욱 강

KT, 생물다양성 보전 나선다...수달서식지 '원동습지'에서 첫 활동

KT가 습지지역의 생물다양성 보전활동에 나선다.이를 위해 KT는 지난 11일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이스트에서 국립생태원과 기후변화로 급감하고 있

기후/환경

+

극과극 날씨 패턴...중부는 '물폭탄' 남부는 '찜통더위'

13일 우리나라 날씨가 극과극 상황을 맞고 있다. 서울과 수도권은 호우특보가 발령될 정도로 폭우가 쏟아지는 반면 남부지방은 폭염주의보가 내려질

북극이 스스로 지구온난화를 늦춘다?..."기후냉각 성분이 방출"

북극에서 온난화를 늦출 수 있는 자연적 조절 메커니즘이 작동하는 것으로 확인됐다.북극은 온난화 속도가 중위도보다 3~4배 빠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날씨] 다시 찾아온 장마...이틀간 수도권 최대 200㎜ '물폭탄'

13~14일 이틀간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쏟아지겠다.남쪽에서 북태평양고기압과 제11호 태풍 '버들'이 밀어올리는 고온다습한 공기가 북쪽에서

경기도, 호우 대비 13일 오전 6시 '비상1단계' 발령

13일 오전부터 14일 오후까지 경기도 전역으로 낙뢰와 돌풍을 동반한 많은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경기도는 13일 오전 6시부로 재난안전대책본

확진자가 1만6500명...기후변화로 태평양 섬나라 '뎅기열' 급증

기후위기로 모기 매개 감염병인 뎅기열이 태평양 국가 전역으로 확산하면서 국가비상사태로까지 번지고 있다.12일 세계보건기구(WHO)는 태평양 섬나라

부글부글 끓는 지중해...유럽 전역 산불과 40℃ 폭염에 '신음'

유럽 전역이 역대급 폭염과 산불에 신음하고 있다. 이탈리아에서는 4세 어린이가 열사병으로 숨지는 일이 발생했고, 프랑스에는 대형 산불로 인한 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