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괴로 바닷길 열린 탓..."1.5℃보다 낮았다"
문어의 유전자가 남극 빙상의 암울한 미래를 담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호주 제임스쿡대학교 샐리 라우(Sally Lau) 박사 연구팀이 '투르켓 문어'(Turquet's octopus)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기온 상승폭을 1.5℃ 이내로 제한한다 해도 남극 빙상이 녹아내리면서 해수면이 3~4m가량 상승할 수 있다는 가설이 제기됐다.
투르켓 문어는 지난 400만년간 남극 해저에서 서식하고 있는 문어의 일종이다. 연구팀은 30여년에 걸쳐 수집한 96개의 투르켓 문어 표본에서 DNA를 추출해 특정 투르켓 문어 무리가 과거 어느 시점에 어떤 곳으로 이동했고, 서로 다른 곳에 살던 무리들이 만나 어떤 방식으로 교류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유추해냈다.
분석 결과, 연구팀은 지구가 가장 최근 간빙기를 맞이한 12만5000년 전 남극대륙 서부 빙상 북편 웨들해(Weddell Sea)에 서식하던 투르켓 문어들과 반대편인 남쪽 로스해(Ross Sea)의 투르켓 문어들 사이에 교류가 있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리고 이는 빙상의 완전한 붕괴로 새로운 바닷길이 열렸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는 게 연구팀의 설명이다.
빙상은 면적이 5만㎢ 이상의 거대한 빙하 얼음덩어리를 말한다. 지구상에서 가장 큰 빙상은 면적이 1397만㎢에 달하는 남극 빙상이다. 전세계 민물의 절반 이상이 남극 빙상으로 얼어붙어 있다. 연구팀에 따르면 남극 빙하가 녹아내린 간빙기 당시 해수면은 현재보다 5~10m가량 높았다.
문제는 지난 간빙기 지구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인 1850년 대비 0.5~1.5℃ 높았다는 점이다. 파리기후변화협정을 통해 국제사회가 인류 생존의 마지노선으로 정해 놓은 '1.5℃ 목표'보다 낮은 수치다. 결국 인류가 지정한 '1.5℃ 목표'를 달성한다 해도 기온을 더 낮추지 않는 한 남극 빙상은 계속해서 녹아내리면서 붕괴될 공산이 크다는 것이다.
남극 빙상으로 얼어붙어 있는 물은 전세계 해수면을 3~4m 상승시킬 정도의 양이다. 이미 남극 빙상은 2003~2019년 연평균 118기가톤이 녹아내리면서 하루 최대 50m씩 후퇴하고 있다.
해수면이 3m만 상승하더라도 전세계 해안선을 새로 그어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해수와 담수가 혼합된 한강 '기수'가 고양시 앞까지 몰려들 수 있고, 영산강, 낙동강 하구는 물론 금강 하구의 군산 장항 등이 수몰될 수 있다. 전세계적으로 저지대에 거주하는 6억7000만명, 군서 도서 국가에 사는 6500만여명이 직접적인 영향권 안에 들어온다.
남극 빙상이 지난 간빙기 실제로 붕괴했는 지는 의견이 분분하다. 이번 연구에 직접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보고서 공저자이자 태즈메이니아대학교 소속 빙하분야 전문가 네이선 빈도프(Nathan Bindoff) 교수는 "이번 연구는 과거 빙상이 어떻게 변해왔는 지에 대한 불확실성을 줄여가는 게 우리 미래에 있어 얼마나 중요한 지 입증했다"면서 "문어 DNA가 남극 빙상 붕괴에 따른 해수면 변화의 증거로 쓰일 수 있다는 건 생각도 못했다"고 밝혔다.
해당 연구논문은 정식 게재되기 앞서 피어리뷰를 진행중이지만 연구팀은 사태의 긴급성을 고려해 온라인 생물학 분야 논문 공유 및 저장소 '바이오아카이브'(bioRxiv)를 통해 지난 1월 29일 일반에 공개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