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는 대통령이 나서 챗GPT 사용 독려
인공지능(AI) 챗봇 '챗GPT' 열풍이 이어지면서 우리나라는 정부부터 기업·대학까지 챗GPT를 발빠르게 수용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과 달리, 미국 등 해외에서는 사용을 제한하는 곳이 늘어나고 있다.
22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최근 미국 최대 은행 'JP모건'과 이동통신업체 '버라이즌'은 직원들의 챗GPT 사용을 제한했다. 고객정보나 소스코드가 빠져나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미국 학계에서도 챗GPT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 지난 1월 미국 뉴욕시 공립학교들은 자체 인터넷망과 학교 컴퓨터에서 챗봇 사용을 금지했고, 시애틀 일부 공립고에서도 챗GPT 사용이 제한됐다. 미국 내 여러 대학들도 학생들의 챗GPT 사용을 막기 위해 장기간 작성해야 하는 과제를 줄이고 자필 에세이 과제와 구술시험을 확대하고 있다.
프랑스 명문대인 파리정치대학과 인도 벵갈루루의 RV대학도 챗GPT나 유사한 AI 도구 사용을 전면 금지했고, 호주의 일부 대학에서도 AI 도구 사용 근절을 위해 시험 형식을 변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국도 공식적으로 챗GPT를 사용할 수 없도록 규제했다. 중국 당국은 미국에서 개발된 AI 챗봇을 매우 경계하는 모습이다. 사전검열없이 중국 국가주석이나 중국 공산당 체제, 인권 문제 등에 대해 비판적인 답변을 내놓을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3일 서비스를 시작했던 중국 위안위가 개발한 AI 챗봇 '챗위안'은 중국 정부와 반대되는 입장의 답변을 하는 바람에 출시 사흘만에 '관련 규정 위반'을 이유로 서비스가 중단됐다.
반면 우리나라는 정부가 앞장서서 챗GPT를 활용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22일 챗GPT로 작성한 보도자료를 배포했고, 앞으로 활용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전문가 특강도 열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도 지난달 27일 부처 업무보고에서 "공무원들이 챗GPT를 활용할 수 있길 바란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챗GPT를 활용해야 하는 강의를 개설한 대학도 등장했다. 서울사이버대학교는 이번 학기 교양과목으로 '메타버스 현황과 미래'를 개설하고, 과제 제출시 챗GPT가 작성한 내용을 반드시 포함하도록 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