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큰 원인은 '기후위기'..."쌀값상승 전망"
지난해 기상이변에 이어 올해 엘니뇨까지 겹치면서 식품물가와 식량안보에 중요한 결정요인인 쌀 생산량이 20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19일(현지시간)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에 따르면 1퀸들(영·미권 곡물 무게단위로 약 50kg)당 벼값이 17.30달러(약 2만2800원)까지 올랐다. 지난해 4월 12달러대에 머물던 벼값이 1년 사이에 30%가량 오른 것이다.
최근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피치솔루션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쌀 생산량 미달분이 870만톤에 달할 전망이다. 이는 국제 쌀 시장이 미달분 1860만톤을 기록한 2004년 이래 20년만에 수확량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수치다.
쌀 수급에 차질이 빚어지는 원인으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공급망 대란도 한몫 하지만, 근본적으로 기후위기로 인한 수확량 저하가 심각한 문제라는 지적이다.
실제로 지난해 세계 최대 쌀 생산국인 중국의 농경지는 기후위기로 큰 타격을 입었다. 중국 쌀 생산량의 65.7%를 차지하는 양쯔강 중·하류 일대 지역은 강수량이 80% 이상 감소하면서 강바닥이 드러나기도 했다. 1961년 기상 관측 이래 가장 심각한 고온현상까지 닥치기도 했다.
고온현상은 여름이 아닌 시기에 예년보다 90퍼센타일(퍼센트와 달리 수치를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위치를 백분율로 나타낸 값)을 초과하는 기온이 나타나는 현상이다.
중국 최남단의 곡창지대인 주강 유역에 자리한 광시성·광둥성은 20년만에 2번째로 높은 누적강우량을 기록해 양쯔강 일대와는 정반대로 물난리를 겪으면서 한해 농사를 그르쳤다.
인도에서는 45℃를 넘나드는 '살인폭염'이 맹위를 떨치면서 지난해 5월 밀 수출을 금지한 데 이어 9월에는 싸라기 수출을 전면 금지했고, 찐 쌀과 비(非)바스마티 쌀을 제외한 모든 쌀 수출에 20% 관세를 부과했다. 인접국 파키스탄의 연간 쌀 생산량은 지난해 국토의 3분의 1이 잠기는 대홍수로 31% 폭락했다.
피치솔루션은 다만 코로나19 이후 급격하게 줄어들었던 쌀 재고가 다시 채워지면서 2024년에 이르면 1퀸들당 벼값이 15.50달러(약 20400원)로 10%가량 하락해 어느 정도 안정세를 잡아갈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이마저도 '날씨'가 관건이라는 분석이다.
미국해양대기청(NOAA)은 오는 5~7월 엘니뇨가 나타날 확률을 62%, 이후 가을에 나타날 확률을 80~90%로 전망했다.
엘니뇨가 발생하면 아시아, 호주, 중앙아프리카, 아프리카 남부엔 가뭄이 닥치면서 논농사가 큰 피해를 입게 된다. 지난 2월 국제학술지 '농업시스템'(Agricultural System)에 실린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쌀 수확량 감소의 13.4%가 엘니뇨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쌀, 밀, 옥수수, 대두 등 4대 곡물 가운데 엘니뇨에 가장 취약한 곡물은 쌀이었다.
피치솔루션의 찰스 하트 원자재 분석가는 미국 경제전문매체 CNBC와의 인터뷰에서 "쌀 수확량의 감소로 인한 가장 확연한 충격은 당연히 쌀값의 상승으로 나타날 것"이라며 "쌀을 주식으로 하는 아시아를 비롯한 여러 시장에서 쌀은 식품가격과 식량안보의 중요 결정요인이기 때문에 특히 가장 빈곤한 가구가 가장 큰 충격을 입게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