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 해조류 미세플라스틱 오염 심각...주변 바다보다 10배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4-24 12:25:14
  • -
  • +
  • 인쇄
▲AWI 연구팀이 북극 빙하와 바닷물에서 미세플라스틱 함량을 조사하고 있다. (사진=AWI)


북극 해빙 아래에 서식하는 해조류의 미세플라스틱 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독일 알프레드베그너연구소(AWI) 연구팀은 북극 조류의 일종인 '멜로시라 아티카'(Melosira arctica)의 미세플라스틱 농도가 주변 바닷물보다 10배 높다는 연구결과를 지난 17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연구팀은 2021년 여름 멜로시라 조류와 주변 물을 채취해 미세플라스틱 함량을 분석한 결과 조류 입방미터당 평균 3만1000±1만9000개의 미세플라스틱 입자가 검출됐다고 보고했다. 이는 주변 해수 농도의 약 10배다.

해조류는 먹이사슬의 기초를 이루고 있어 조류에 미세플라스틱이 축적되면 이를 먹이삼는 생물 전체에 위협을 미칠 수 있다. 조류가 죽어 해저에 가라앉으면 미세플라스틱도 그대로 심해 바닥에 침전돼 해저 생태계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멜로시라 아티카는 봄과 여름 해빙 아래에서 수 미터 길이까지 빠르게 자란다. 이렇게 성장한 조류가 죽으면 녹은 얼음과 달라붙어 하루 만에 해저 수천 미터까지 가라앉고, 해저생물과 박테리아에게 중요한 먹이공급원이 된다. 이 과정에서 조류에 든 미세플라스틱이 심해까지 오염시킨다.

섬모조류인 멜로시라 아티카는 특성상 끈적한 점액질을 지니고 있어 주변 미세플라스틱을 끌어모으기 쉽다. 점액에 갇힌 미세플라스틱은 그대로 해저로 이동해 해양생물들에게 먹힌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더욱이 조류가 해저로 하강할 때는 원위치에서 거의 일직선으로 떨어진다. 이번 연구를 이끈 멜라니 버그만(Melanie Bergmann) AWI 생물학자는 "해조류가 미세플라스틱을 해저로 직접 운반하는 것으로 밝혀져 해빙 가장자리 아래 위치의 해저에서 유독 높은 수치의 미세플라스틱이 측정되는 이유가 어느 정도 설명된다"고 보았다.

▲해빙 아래 붙어 서식하는 해조류 '멜로시라 아티카'. 최근 이 조류에서 주변보다 10배 높은 농도의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사진=AWI)

심해뿐만 아니라 해수면에 서식하는 동물성 플랑크톤도 조류를 먹이로 먹는다. AWI 측은 미세플라스틱이 빙하지대 동물성 플랑크톤 유기체에 미세플라스틱이 만연해진 원인도 이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다. 이 플랑크톤이 물고기에게, 물고기는 바닷새와 바다표범에게, 이들이 다시 북극곰에게 먹히며 플라스틱이 쌓여가는 셈이다.

북극에서는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아크릴 등 다양한 플라스틱이 발견됐다. "북극 거주민들은 해양 생태계에 의존해 단백질을 공급받는데 이 과정에서 미세플라스틱과 화학물질에 노출될 수 있다"고 버그만 박사는 우려했다.

미세플라스틱은 이미 인간의 장을 비롯한 인체와 다른 생물들에서도 발견된 바 있다. 플라스틱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연구되지 않았지만 유기체의 행동, 성장, 번식력 및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또 인간의 혈액과 정맥, 폐, 태반, 모유에도 염증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시사됐다. 더욱이 플라스틱에 들어간 화학물질은 인간에게 유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기후위기로 심각한 환경격변을 겪는 북극생태계가 미세플라스틱과 화학물질에까지 오염되면 상황이 더욱 악화될 것이라고 우려하며, 신규 플라스틱 생산량을 줄여 플라스틱 오염을 줄일 것을 촉구했다. 버그만 박사는 현재 협상 중인 세계플라스틱협약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오는 5월말 파리에서 열릴 차기 협상에 참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환경과학기술'(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학술지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우리금융, 다문화자녀를 위한 '우리아트스쿨' 참여기관 모집

우리금융이 '2025년 우리아트스쿨'에서 다문화자녀를 대상으로 미술교육을 진행할 기관을 모집한다.우리금융그룹의 우리다문화장학재단은 다문화자녀

패션업계 그린워싱 잡는다…공정위, 자라·미쏘·스파오 등 제재

패션업체들이 자사 제품에 친환경적인 표현을 쓰며 거짓 광고를 하는 이른바 '그린워싱' 혐의로 잇따라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받았다.공정위는 표

국내 제조사 62.7% "탄소중립 정책은 규제"로 인식

국내 제조업 3곳 중 2곳은 현행 탄소중립 정책을 규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경제인협회에서 매출액 기준 1000대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우리은행, 공공기관과 손잡고 '자립준비청년' 지원한다

우리은행이 공공기관과 자립준비청년 지원에 나선다.우리은행이 서민금융진흥원, 한국자활복지개발원과 함께 '취약청년의 자립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코오롱ENP, 영종도 용유해변을 '반려해변'으로 입양

코오롱ENP가 인천 영종도 용유해변을 반려해변으로 입양하고 해양 생태계 보호 활동에 나섰다. 코오롱ENP는 14일 임직원 40명과 함께 첫 공식 반려해변

'우유·주스팩 수거해요'...카카오·환경부 '종이팩 회수서비스' 나선다

일반 종이로 재활용하기 힘든 우유나 주스팩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정부와 카카오가 손잡고 종이팩 회수시스템 구축 시범사업을 추진한다.카카오

기후/환경

+

"올해 전기차 판매 2천만대 돌파예상...신차 판매 25% 차지"

올해 전기차는 신차 판매량의 25% 이상을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국제에너지기구(IEA)는 14일(현지시간) '2025년 세계 전기차 전망 보고서'(Global EV Outloo

지구 9가지 한계선 중 6가지 '위험상태'...되돌릴 5가지 방법은?

인류 생존을 위한 지구는 이미 한계선을 넘어 위험한 상태지만, 지속가능한 정책을 펼친다면 지구를 2015년으로 되돌릴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

남성 온실가스 배출량 여성보다 26% 많다...이유는?

여성보다 남성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요인이 자동차 운전과 육류 섭취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14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 온딘 버

작년 우주쓰레기 3000개 발생…매일 3개씩 지구로 추락

지난해 우주에서 발생한 인공위성 잔해물이나 발사체 파편 등 '우주쓰레기'가 3000개 이상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우주쓰레기 가운데 하루평균 3개

[새 정부에게 바란다] "화석연료 퇴출...확실한 로드맵 필요"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

훼손된 산림 회복속도 길어진다..."기온상승과 수분부족탓"

나무가 훼손된 산림이 기온상승과 강수량 부족 등으로 회복하는 시간이 점점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베이징대학교와 미국 콜로라도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