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도 '소똥구리' 살리기...생태계 복원 위해 60마리 방사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5-02 11:46:51
  • -
  • +
  • 인쇄
▲프랑스 남서부 에탕 드 쿠소 보호구역에 방사되는 소똥구리. 소똥구리는 분해 및 종자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진=리와일딩유럽)


프랑스의 한 비영리단체가 지역에서 완전히 사라진 '소똥구리'를 지역 생태계 복원을 위해 다른 지역에서 들여와 방사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유럽 비영리단체 '리와일딩유럽'(Rewilding Europe)은 최근 소똥구리 약 60마리를 프랑스 가스코뉴 지역의 에탕 드 쿠소 습지 자연보호구역에 방사했다. 이들은 소똥구리가 지역 생태계 기능을 회복시킬 것으로 기대했다.

방사된 소똥구리는 식별을 위해 마커펜으로 등에 녹색 점으로 표시했다. 이 소똥구리들은 프랑스 남부 몽펠리에에서 들여온 종(scarabaeus laticollis)으로 최대 2년까지 살고 애벌레를 배설물 덩어리에 낳는다.

리와일딩유럽은 소똥구리 무리 중 한 쌍이 방사 직후 짝짓기하는 것을 목격했다고 전했다. 이는 소똥구리가 에탕 드 쿠소 지역에 자리잡을 수 있는 신호로 해석했다.

▲방사되는 소똥구리는 식별을 위해 마커펜으로 등에 녹색 점을 표시했다. (사진=리와일딩유럽)

프랑스 가스코뉴 지역의 소똥구리는 1960년대 야생 소 개체수가 감소하면서 자취를 감췄다. 크리스텔 샤를릭스(Christelle Charlaix) 에탕 드 쿠소 자연보호구역 부소장은 "전세계적으로 농축산업이 집약화하고 산업에 쓰이는 구충제가 폐기물로 누출되면서 소똥구리 개체수가 크게 줄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 이 지역 소에는 약물을 쓰지 않는다"며 "소에게 기생충이 있어도 이는 생명주기와 생물다양성의 일부"라고 말했다.

소똥구리는 남극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서 5000종 이상이 발견된다. 모든 소똥구리가 배설물을 공 모양으로 만들어 굴리는 습성을 가진 것은 아니다. 어떤 종은 똥 속에 터널을 파는가 하면, 다른 소똥구리가 만든 똥 경단을 훔치거나 아예 배설물 위에 사는 종도 있다. 이들은 생태계에서 분해 및 종자분산 역할을 해 핵심종으로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소똥구리'는 우리나라에서도 사실상 멸종됐다. 지난달 25일 국립생물자연관이 발표한 바에 따르면  '소똥구리' 1종은 '지역절멸'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역절멸이란 '지역 내 잠재적 번식능력을 가진 마지막 개체가 죽거나 지역 내 야생에서 사라져 버렸다는 점을 의심할 이유가 없는 경우'를 뜻한다.

소똥구리는 원래 농촌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었지만 서식지 훼손과 합성사료 속 화학물질에 노출되면서 개체수가 줄어 1970년대 이후 멸종 판정을 받았다. 현재 국내에 있는 소똥구리는 자연복원을 위해 국립생태원이 몽골에서 들여와 번식시키고 있는 것이 전부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우리금융, 다문화자녀를 위한 '우리아트스쿨' 참여기관 모집

우리금융이 '2025년 우리아트스쿨'에서 다문화자녀를 대상으로 미술교육을 진행할 기관을 모집한다.우리금융그룹의 우리다문화장학재단은 다문화자녀

패션업계 그린워싱 잡는다…공정위, 자라·미쏘·스파오 등 제재

패션업체들이 자사 제품에 친환경적인 표현을 쓰며 거짓 광고를 하는 이른바 '그린워싱' 혐의로 잇따라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받았다.공정위는 표

국내 제조사 62.7% "탄소중립 정책은 규제"로 인식

국내 제조업 3곳 중 2곳은 현행 탄소중립 정책을 규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경제인협회에서 매출액 기준 1000대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우리은행, 공공기관과 손잡고 '자립준비청년' 지원한다

우리은행이 공공기관과 자립준비청년 지원에 나선다.우리은행이 서민금융진흥원, 한국자활복지개발원과 함께 '취약청년의 자립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코오롱ENP, 영종도 용유해변을 '반려해변'으로 입양

코오롱ENP가 인천 영종도 용유해변을 반려해변으로 입양하고 해양 생태계 보호 활동에 나섰다. 코오롱ENP는 14일 임직원 40명과 함께 첫 공식 반려해변

'우유·주스팩 수거해요'...카카오·환경부 '종이팩 회수서비스' 나선다

일반 종이로 재활용하기 힘든 우유나 주스팩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정부와 카카오가 손잡고 종이팩 회수시스템 구축 시범사업을 추진한다.카카오

기후/환경

+

"올해 전기차 판매 2천만대 돌파예상...신차 판매 25% 차지"

올해 전기차는 신차 판매량의 25% 이상을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국제에너지기구(IEA)는 14일(현지시간) '2025년 세계 전기차 전망 보고서'(Global EV Outloo

지구 9가지 한계선 중 6가지 '위험상태'...되돌릴 5가지 방법은?

인류 생존을 위한 지구는 이미 한계선을 넘어 위험한 상태지만, 지속가능한 정책을 펼친다면 지구를 2015년으로 되돌릴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

남성 온실가스 배출량 여성보다 26% 많다...이유는?

여성보다 남성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요인이 자동차 운전과 육류 섭취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14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 온딘 버

작년 우주쓰레기 3000개 발생…매일 3개씩 지구로 추락

지난해 우주에서 발생한 인공위성 잔해물이나 발사체 파편 등 '우주쓰레기'가 3000개 이상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우주쓰레기 가운데 하루평균 3개

[새 정부에게 바란다] "화석연료 퇴출...확실한 로드맵 필요"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

훼손된 산림 회복속도 길어진다..."기온상승과 수분부족탓"

나무가 훼손된 산림이 기온상승과 강수량 부족 등으로 회복하는 시간이 점점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베이징대학교와 미국 콜로라도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