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태풍의 위력이 강해지면서 그 피해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현재 태평양의 휴양지 괌을 향해 돌진하고 있는 태풍 '마와르'(MAWAR)는 중심 기압이 930헥토파스칼(hPa)로 매우 강력한 위력을 지니고 있다. 시속 180km에 달하는 바람과 함께 괌 인근으로 접근하고 있어, 현지는 초비상 상태다.
미국 기상청은 현지시간으로 24일 정오쯤 태풍이 괌 남부를 강타할 수 있다고 예보했다. 마와르가 초강력 태풍인만큼 20년만에 괌에 엄청난 피해를 입힐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비상선언'까지 내렸다.
루 레온 게레로 괌 주지사는 소셜서비스(SNS)를 통해 해안 저지대에 거주하는 주민 15만여명에게 대피할 것을 지시했다. 괌 주민들은 생필품을 비축하고 창문을 단단히 고정하는 등 태풍 상륙에 대비하고 있다.
당초 우리나라로 향할 것으로 예상됐던 마와르는 괌을 강타한 이후 필리핀 동쪽 해상을 향해 이동하다가 27일부터 서북서진하면서 마닐라 북동쪽으로 움직일 것으로 기상청은 예상하고 있다.
'마와르'처럼 태풍들이 이동하면서 위력이 점점 강해져 수퍼태풍으로 돌변하는 원인은 기후변화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지목했다. 지구 기온과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허리케인과 태풍을 포함한 열대성 사이클론은 점점 더 강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한 피해도 점점 커질 수밖에 없다.
지난 2017년 미국 텍사스를 강타한 허리케인 '하비'는 홍수 피해를 입혔다. 당시 수일동안 내린 비로 인해 강우량이 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9년 일본에 상륙한 태풍 '하기비스'는 예년의 다른 태풍에 비해 최소 40억달러의 추가피해가 발생했다. 모두 기후변화가 태풍의 피해를 더 키웠다는 것이다.
해수면 상승도 태풍의 위험을 가중시키고 있다. 19세기 이후 전세계 해수면은 20.32cm 상승해 해안지역을 위협하고 있고, 폭풍우에 따른 홍수 위험도 증가시키고 있다.
해수면 상승으로 폭풍이나 해일의 완충 역할을 하는 늪, 습지까지 물에 잠기고 있다. 미국 북동부 체사피크만 주변 지역사회를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해수면 상승으로 습지가 사라질 경우 폭풍으로 인한 침수지역이 4배 이상 늘고 피해금액이 80억달러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2020년 미국의 한 연구에 따르면 습지보호 가치를 연간 평균 제곱킬로미터당 180만달러로 매겼다. 습지가 더 많은 지역이 폭풍으로 인한 재산피해를 적게 입는다는 것이다.
온난화로 바다 자체가 뜨거워지는 것도 태풍의 위력을 키우고 있다. 전문가들은 온실가스 배출로 발생한 열의 약 90%가 바다에 흡수됐다고 계산했으며, 미국 메사추세츠주 우즈홀해양학연구소는 해수층의 가장 위층인 혼합층이 1901년 이후 약 1.5℃ 더 뜨거워졌다고 밝혔다.
대기와 해양의 온난화는 강한 바람을 일으키고 구름 양을 증가시켜 허리케인 성장을 촉진한다. 미국해양대기청(NOAA)은 기후위기가 허리케인에 미치는 영향이 "불에 연료를 더하는 것과 같다"고 비유했다.
허리케인의 속도도 느려지고 있다. 한 연구는 지난 70년동안 허리케인의 속도가 10% 감소했다고 관측했다. 원인은 규명되지 않았지만 전문가들은 기후위기의 결과일 수 있다고 추측했다.
허리케인이 느려지면서 해안지역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져 피해가 더 커지고 있다. 허리케인 '하비'는 소멸하는데 오랜시간 걸렸으며 그때까지 텍사스 걸프해안을 초토화시켰다. 그 결과 일부 지역은 1000mm가 넘는 비가 내리면서 홍수가 발생했다. 이 홍수로 주택 수천채가 파손되고 100여명 이상이 사망했다.
이밖에도 지난 4년간 루이지애나의 허리케인 '로라', 바하마의 허리케인 '도리안', 모잠비크의 열대 사이클론 '이다이', 필리핀의 태풍 '망쿳' 등 열대성 폭풍으로 세계 곳곳에서 인명과 재산 피해를 입었다. 2017년에만 허리케인 하비, 이르마, 마리아가 텍사스, 카리브해, 푸에르토리코를 초토화시켰으며 같은 해 사이클론 오키가 인도와 스리랑카를 강타해 900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갔다.
전문가들은 기후변화로 인해 앞으로도 태풍 피해가 더 심각해질 것이라며, 이에 대비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