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리브연안 사슴뿔산호 97% 사라졌다...튀르키예 산호도 '멸종위기'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3-06-15 16:03:27
  • -
  • +
  • 인쇄


카리브해와 튀르키예 연안 등 전세계 해안가의 산호가 멸종위기에 처해있다.

미국 해양대기청(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 수산국에 따르면 카리브해에서 발견되는 사슴뿔 산호가 기후변화로 멸종위기에 직면해 있다. 사슴뿔산호는 주로  카리브해와 바하마, 플로리다 일부지역에서 서식하는데, 얕은 수심에서 덤불이나 밀집된 무리를 형성해 수많은 물고기 및 기타 생물에게 서식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기후위기로 인한 질병과 생태계 파괴가 사슴뿔산호를 멍들게 하고 있다. NOAA 수산국에 따르면 흰띠산호병으로 인해 사슴뿔산호 개체수의 97%가 사라졌다. NOAA는 "질병은 성체 산호를 죽이고, 번식 성공률을 낮추며, 군집 성장을 방해한다"고 설명했다.

바다 수온이 올라갈수록 해양 질병은 더 증식한다. 물이 따뜻하면 병균이 더 잘 번식하는 반면 산호의 면역력은 떨어진다.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학교(UNSW) 연구에 따르면 여름 해수면 평균온도가 올라가면 산호 질병도 급증한다. 또 수온 상승은 산호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친다. NOAA 수산국은 "수온이 올라가면 사슴뿔산호는 공생 관계에 있는 조류를 퇴거시킨다"며 "문제는 이 과정에서 산호도 약해진다는 것이다"고 말했다.

해양 전문가들은 "수온 변화로 산호가 하얗게 변식되는 산호 표백과 해양 산성화도 산호를 위협하는 큰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사슴뿔산호만 위기에 처한 것은 아니다. 튀르키예에 서식하는 돌산호의 일종인 클라도포라 세스피토사(Cladocora caespitosa)도 멸종위기에 처해있다. 클라도포라 세스피토사는 그 생김새 때문에 쿠션산호라고도 불리며 현지 해양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튀르키예 해양연구재단(Turkish Marine Research Foundation, TMRF)과 차나칼레 온세키즈 마트대학교(Çanakkale Onsekiz Mart University) 연구에 따르면 튀르키예 연안에 서식하는 쿠션산호가 기후변화와 어업으로 인해 멸종될 처지다. 이들이 주로 서식하는 튀르키예 북서쪽 산호초 보호구역은 튀르키예에서 가장 광범위한 산호초 서식지로 알려져 있다.

TMRF 재단장이자 이스탄불대학교 해양과학부(Istanbul University)의 바이람 외즈투르크(Bayram Öztürk) 교수는 "쿠션산호는 튀르키예 연안에서 백화 현상이 일어나는 유일한 산호"라며 "온도가 상승해 결국 죽게 된다"고 경고했다.

외즈투르크 교수는 "중요한 것은 이 산호들이 고유종"이라며 "이번 연구에서 거의 400개의 산호초 군락이 확인됐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이 돌산호들은 기후위기의 위협을 받아 특정 지점에서 점차 하얗게 변하고 있다"며 "기후변화는 돌산호에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외래종의 지중해 유입에 영향을 미쳐 생물 다양성의 변화와 감소를 초래한다"고 지적했다. TMRF는 "기후변화로 인해 산호초와 같은 해양생태계가 점차 악화되고 있다"며 "온도변화와 이상 현상으로 인해 서서히 무너지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온세키즈마트 대학의 바리스 외잘프(Barış Özalp) 해양학부 부교수는 "튀르키예 에는 절묘하고 인상적인 해안이 있지만 하지만 산호초는 단 하나뿐이다"며 "이곳이 보호구역이라는 사실을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패션업계 그린워싱 잡는다…공정위, 자라·미쏘·스파오 등 제재

패션업체들이 자사 제품에 친환경적인 표현을 쓰며 거짓 광고를 하는 이른바 '그린워싱' 혐의로 잇따라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받았다.공정위는 표

국내 제조사 62.7% "탄소중립 정책은 규제"로 인식

국내 제조업 3곳 중 2곳은 현행 탄소중립 정책을 규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경제인협회에서 매출액 기준 1000대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우리은행, 공공기관과 손잡고 '자립준비청년' 지원한다

우리은행이 공공기관과 자립준비청년 지원에 나선다.우리은행이 서민금융진흥원, 한국자활복지개발원과 함께 '취약청년의 자립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코오롱ENP, 영종도 용유해변을 '반려해변'으로 입양

코오롱ENP가 인천 영종도 용유해변을 반려해변으로 입양하고 해양 생태계 보호 활동에 나섰다. 코오롱ENP는 14일 임직원 40명과 함께 첫 공식 반려해변

'우유·주스팩 수거해요'...카카오·환경부 '종이팩 회수서비스' 나선다

일반 종이로 재활용하기 힘든 우유나 주스팩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정부와 카카오가 손잡고 종이팩 회수시스템 구축 시범사업을 추진한다.카카오

[최남수의 ESG풍향계] 기후변화와 생물다양성...'통합 논의' 필요

ESG 환경이슈 가운데 가장 중요도가 높은 사안을 고르라면 역시 '기후변화'다. 지구 기온의 상승폭이 저지선인 1.5℃를 이미 돌파했을 정도로 지구 온난

기후/환경

+

남성 온실가스 배출량 여성보다 26% 많다...이유는?

여성보다 남성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요인이 자동차 운전과 육류 섭취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14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 온딘 버

작년 우주쓰레기 3000개 발생…매일 3개씩 지구로 추락

지난해 우주에서 발생한 인공위성 잔해물이나 발사체 파편 등 '우주쓰레기'가 3000개 이상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우주쓰레기 가운데 하루평균 3개

[새 정부에게 바란다] "화석연료 퇴출...확실한 로드맵 필요"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

훼손된 산림 회복속도 길어진다..."기온상승과 수분부족탓"

나무가 훼손된 산림이 기온상승과 강수량 부족 등으로 회복하는 시간이 점점 늦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베이징대학교와 미국 콜로라도주

탄소만 줄이는 온실가스 정책...'탄소고착' 현상 초래한다

영국 정부의 탈탄소화 정책이 오히려 새로운 기술혁신을 제한하고, 장기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저해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아랍에미

곤충도 못 버티는 '열대야'...도시 꿀벌 65% 줄었다

꿀벌을 비롯한 곤충도 열대야를 견디지 못하고 있다.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JMU) 연구팀은 독일 바이에른주 전역 179곳에서 곤충 현황을 조사해보니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