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밤에도 푹푹 찐다...'에어컨' 전기요금 절약 비법은?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7-03 17:43:16
  • -
  • +
  • 인쇄
▲서울 시내 대형마트 가전제품 매장에 진열된 에어컨 (사진=연합뉴스)

연일 30℃가 넘는 폭염이 지속되면서 냉방을 하지 않고 견디기가 힘들지만 치솟은 전기요금 탓에 에어컨 켜기가 부담스러운 지경이 됐다. 전기요금은 올 1월 1일 인상된 데 이어, 지난 5월 16일에도 1㎾h당 21.1원으로 인상됐다. 이렇다보니 에어컨 전기요금 절약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실제로 에어컨을 어떻게 가동하냐에 따라 전기요금은 천차만별이다. 우선 에어컨 필터를 자주 청소하면 요금 절약에 도움이 된다. 필터에 먼지가 쌓이면 냉방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필터를 2주에 한번꼴로 중성세제로 청소하면 그만큼 냉방효과를 높일 수 있다.

에어컨을 켤 때는 처음부터 온도를 최대한 낮게, 바람 세기를 강하게 설정하는 것이 좋다. 설정 온도에 따른 전력소비량 차이는 의외로 크지 않다. 처음부터 가동 세기를 높여 빠르게 실내온도를 낮춘 다음, 풍향을 약하게 설정해 낮아진 실내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에어컨을 가동한 다음에 방문이나 창문을 30분 정도 열어두도록 하자. 공기가 순환되면서 더욱 빠른 냉방 효과를 볼 수 있다. 선풍기를 함께 틀어놓으면 공기순환을 원활하게 하므로 실내 온도를 낮추는 효과가 커진다.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에어컨과 함께 선풍기를 약하게 틀어줄 때 전기료가 20~30% 절감된다. 커튼 등으로 햇빛을 차단하는 것도 냉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에어컨을 켰다끄기를 반복하는 것보다 일정 온도로 한 번에 오래 틀어두는 것이 전기절약에 훨씬 도움이 된다. 2011년 이후 출시된 최신 에어컨 대부분은 인버터(절전)형인데, 이 유형은 자체적으로 출력을 조절해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에어컨은 실외기 작동원리에 따라 인버터형과 정속형으로 나뉜다. 인버터형은 설정 온도까지 빠르게 도달시킨 후 온도를 유지하면서 전력 소비를 최소화한다. 인버터형은 대부분 에어컨이나 실외기에 '인버터'라고 표기된 스티커가 부착돼 있다.

반면 정속형은 전력을 일정하게 소비하므로 에어컨을 꺼두고 필요할 때만 조금씩 켜야 요금을 절약할 수 있다. 정속형은 설정 온도에 도달하면 가동이 중단됐다가 온도가 높아지면 다시 가동되는 방식이다.

한편 한국전력공사는 7월부터 주택용 '에너지 캐시백'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에너지 캐시백은 전기사용을 줄이면 1㎾h당 최대 100원까지 돌려받는 제도다.

올 7월분은 6월부터 미리 신청을 받고 8월 31일까지 신청한 고객도 소급 적용하는 방식이다. 9월부터 신청한 고객은 신청일이 속하는 달부터 에너지 캐시백에 참여할 수 있다. 신청은 주민등록표상 구성원 중 1명만 하면 된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강릉에 '반가운 비'...폭우 쏟아졌지만 가뭄 해갈 역부족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단비'가 내렸다. 아직 가뭄이 해갈될 정도는 아니지만 간밤에 내린 비 덕분에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인 오봉저수지의

[주말날씨] 전국 이틀간 '세찬 비'...강릉에도 '가뭄에 단비'

이번 주말에는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린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이번 비는 중국에서 형성된 비구름대가 우리나라로 진입하면서

"환경장관 약속 못믿어"...세종보 천막농성 철회 안한다

4대강 보 철거를 요구하며 금강 세종보에서 500일간 농성했던 환경단체들이 농성을 중단하기로 했다가 이를 철회했다.11일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직접

화석연료 기업들 내뿜는 탄소...치명적인 폭염을 낳았다

엑손모빌 등 석유 대기업들의 탄소배출량이 2000년 이후 전세계에서 발생했던 수십건의 폭염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강릉 식수원 고갈 일보직전 '비소식'...이틀간 20~60㎜ 내린다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으로 쓰이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1일 오전 8시 기준 11.8%까지 낮아진 가운데 토요일인 13일 동해안에 비가 내린다는 소식이다.

1.5℃ 임계점 넘었나?...전세계 산호 84% 하얗게 변했다

전세계 바다의 산호초 84%가 해양폭염으로 백화 현상을 겪는 등 최근 해양생태계가 전례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이 지난 2일 발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