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역대급 강진에도 '멀쩡'…초고층 빌딩 '타이베이 101' 비결은?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4-04-05 15:31:48
  • -
  • +
  • 인쇄
▲강한 진동에도 멀쩡한 '타이베이 101' 빌딩(영상=X 캡처)

대만이 규모 7.4의 강진으로 건물붕괴·산사태 등 피해가 잇따르는 가운데, 대표적인 명소이자 508m 높이의 '타이베이 101' 빌딩이 이번 강진에도 끄떡없었던 것으로 드러나 내진 비결에 관심이 쏠렸다.

대만 수도 타이베이에 위치한 지상 101층 지하 5층짜리 타이베이 101빌딩은 2004년 완공 당시 세계 최고층 빌딩으로 높이가 508m에 달한다. 그런데 지난 3일 동부 화롄 인근에서 발생한 규모 7.4 지진이 약 150㎞ 떨어진 타이베이까지 영향을 미쳤으나 이 빌딩은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불의 고리'로 불리는 환태평양 지진대에 자리 잡고 있는 대만에는 지진이 잦기 때문에 이 빌딩은 강력한 내진 설계를 토대로 지어진 점이 특징이다. 이 빌딩이 가진 내진 비결 중 하나는 87층과 92층 사이에 있는 660톤짜리 철구다. 이 철구는 두계 12.5㎝짜리 강철 원판 41장을 붙여서 만들었고 강철 케이블 93개에 연결해 매달아 놨다.

▲'타이베이 101' 빌딩 내진용 거대 철구(사진=X 갈무리)

내진 설계를 맡았던 A+H튠드매스댐퍼 사는 직경 약 5.5m의 철구가 추 역할을 하면서 지진과 강풍이 발생하면 좌우로 약 1.5m 움직이면서 건물 진동을 최대 40%까지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건물이 한쪽으로 기울면 철구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건물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절반가량 흡수한다는 것이다. 

미국 뉴욕 센트럴파크타워나 아일랜드 더블린첨탑 등 전세계의 고층 구조물에도 비슷한 설비가 있지만, 타이베이 101 빌딩은 관람객들이 직접 볼 수 있도록 노출돼있어 관광 요소로 쓰이고 있다.

한편 25년 만에 역대급 강진으로 현재까지 대만 전역에서는 건물 100여 채가 파손됐고, 열차 운행 등이 중단됐다. 또 9명이 숨진 것으로 확인됐으며 1000여명 이상의 부상자가 발생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BP, 기후전환 실패에 '주주 반발'...주주 24.3%가 회장 연임 반대

BP의 친환경 전환 전략이 실패하면서 투자자들의 반발에 직면했다.가디언, CNBC 등 외신들은 17일(현지시간) 열린 BP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주의 약 4분의 1

포스코 '그린워싱'으로 공정위 제재...허위·과장 광고

객관적인 근거없이 철강 자재를 '친환경 제품'이라고 홍보하는 등 '그린워싱'(Greenwashing·위장 환경주의)'을 한 포스코가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동물성 식재료 쏙 뺐더니...탄소배출 확 줄어든 '지속가능한 한끼'

지속가능한 식단을 직접 먹어보면서 알아보는 특별한 토크콘서트가 서울 성수동 헤이그라운드 성수시작점에서 열렸다. 기후솔루션 주최로 16일 오후

가나초콜릿에 '지속가능한 카카오' 사용한다

가나초콜릿에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재배된 카카오가 사용된다.롯데웰푸드는 대표 제품인 가나초콜릿에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재배된 가나산 카카오

셀트리온, 글로벌 ESG평가 생명공학 부문 상위 5%에 선정

셀트리온은 글로벌 신용평가기관 S&P글로벌이 주관하는 '기업지속가능성평가'(Corporate Sustainability Assessment, 이하 CSA) 생명공학 부문에서 국내 바이오

[최남수의 ESG풍향계] 논란의 DEI '한국은 낙제점'

최근 ESG 이슈 중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는 DEI(다양성, 형평성, 포용성)이다. 직장에서 성별, 인종 등 기준에 따른 차별을 없애자는 내용

기후/환경

+

한여름엔 어쩌라고?...4월 중순인데 벌써 49℃ '살인폭염'

몬순 우기를 앞둔 인도와 파키스탄이 벌써부터 살인폭염에 시달리고 있다.보통 5~6월에 폭염이 절정에 이르는 시기인데 이 지역은 4월에 벌써부터 연일

전세계 농경지 15% '중금속 범벅'...14억명이 위험지역 거주

전세계 농경지의 약 15%가 중금속에 오염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금속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약 14억명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이다.17일(현지

[영상] 홍수로 물바다 됐는데...'나홀로' 멀쩡한 집

미국의 한 마을 전체가 홍수로 물에 잠겼는데 나홀로 멀쩡한 집 한채가 화제다. 이 집은 마치 호수에 떠있는 듯했다.미국 남부와 중서부 지역에 지난 2

끝없이 떠밀려오는 '미역 더미'...제주 해수욕장 '날벼락'

제주시 유명 해수욕장인 이호해수욕장이 미역 쓰나미가 덮쳤다.최근 이호해수욕장 해변으로 엄청난 양의 미역더미가 떠밀려오면서 이를 치우는데 고

콜드플레이, 내한공연서 '생수병 반입금지'..."당황했지만 오히려 좋아"

8년만에 국내에서 열린 영국 4인조 록밴드 콜드플레이 내한공연에 일회용 플라스틱 생수병 반입이 금지돼 화제다. 콜드플레이는 지난 16일부터 오는 25

산림청, 경북 산불피해 4.5만여ha라더니...9만ha 넘게 '잿더미'

의성에서 시작돼 인근 지역까지 번진 경북 산불로 인한 산림 피해가 9만헥타르(㏊)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당초 산림청이 추산한 피해규모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