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와 독일에 이어 호주에서도 공유 전동킥보드가 퇴출당하고 있다.
호주 멜버른시는 공유 전동킥보드를 도입한지 2년만에 사용을 전면금지했다고 13일(현지시간) 영국 BBC가 보도했다. 지난 2022년 2월부터 공유 전동킥보드를 시범운행했던 멜버른시는 시범운행 기간동안 수백건이 넘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면서 시민들의 불만이 끊이질 않자,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
프랑스 파리도 지난해 4월 공유 전동킥보드 이용을 금지시켰다. 파리시는 이용자 연령을 제한하고 번호판을 도입하는 등 나름대로 사용규정을 마련했지만 시민들의 불만이 끊이지 않았기 때문에 이같은 결정을 내린 것이다.
일본과 독일도 공유 전동킥보드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일본은 전동킥보드를 도입할 당시에 강력하게 규제했다가 이용률이 저조하자 지난해 7월 규제를 다소 완화시켰다. 규제완화로 이용자들은 늘었지만 교통법규 위반사례와 사고는 급증했다.
독일 중서부에 위치한 도시 겔젠키르헨도 전동킥보드 이용을 전면 금지시켰다. 전동킥보드 이용행태에 따른 민원이 줄줄이 이어지는 데다, 올 3월 자전거 도로에 방치된 전동킥보드에 자전거가 걸려 넘어지면서 운전자가 숨지는 사고가 발생하자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
우리나라에서도 전동킥보드 관련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한국도로교통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전동킥보드 교통사고는 2389건으로 3년전에 비해 2.6배나 늘었고 사망자도 2배 이상 늘었다. 최근에는 고등학생이 몰던 전동킥보드에 60대 여성이 치여 숨지는 사고도 벌어졌다.
전동킥보드와 같은 퍼스널 모빌리티(PM)는 거주지와 대중교통 이용시설까지의 거리인 '라스트 마일'을 해결해줄 교통수단임과 동시에 탄소배출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 이동수단으로 주목받았다. 한국교통연구원에 따르면 PM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승용차의 100분의 1 수준으로 1㎞를 주행하면 온실가스가 단 1g만 배출된다. 실제로 호주 멜버른은 전동킥보드 덕분에 도시의 탄소배출량이 400톤 이상 줄었고 대중교통 이용량도 늘었다.
그러나 전동킥보드의 이같은 다양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이용자들의 잘못된 사용행태가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보호 장구 없이 전동킥보드를 타거나, 인도를 주행하거나, 2명이 타는 일이 비일비재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사용 후 아무렇게나 방치해놓는 일도 부지기수다. 골목길에서 불쑥 튀어나와 교통사고를 유발하기도 한다. 이에 국내에서도 규제를 더욱 강화하거나 공유 전동킥보드 이용을 금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정부에서도 이같은 상황을 인지해 올해말까지 전국에서 킥보드 최고속도를 시속 20㎞로 제한하는 시범사업을 실시하기로 했다. 또 지난 6월 27일에는 △PM의 안전요건 규정 및 제재 △학교에서 PM에 관한 교통안전교육 실시 등을 골자로 담은 '개인형 이동수단의 안전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이 발의되기도 했다. PM 공유업체들도 PM 안전모 설치, 인공지능(AI) 카메라 설치 등 잘못된 사용 행태를 바로잡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
PM업계 한 관계자는 "PM은 대중교통 이용불편을 해소해주고 차량의 단거리 주행을 줄이는 등 확실한 장점이 있다"며 "안전문제에 대해선 아직 여러 개선이 필요하지만 이를 포기하기엔 아깝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