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獨공장 확장하려 50만그루 '싹둑'...시민들 '분노'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4-08-22 16:33:56
  • -
  • +
  • 인쇄
▲테슬라 독일 공장 설치 전과 후(사진=구글 어스)

테슬라가 독일 공장을 확장하기 위해 약 50만그루의 나무가 벌목한 것으로 밝혀지면서 시민들의 공분을 샀다.

환경정보회사 케이로스가 위성을 분석한 결과 테슬라가 베를린 기가팩토리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329헥타르(ha)의 산림이 사라진 것으로 밝혀졌다고 영국 가디언이 22일(현지시간)이 보도했다. 약 50만그루의 나무가 잘려나간 것이다.

기가팩토리는 테슬라가 2022년 3월부터 가동한 연간 50만대 생산 능력을 갖춘 독일 공장으로, 당초 테슬라는 해당 부지를 넓히고 생산 라인을 증설해 1년에 최대 100만 대 차량을 만드는 유럽 내 생산 거점으로 키울 방침이었다. 그러나 부지 일부가 수자원 보호구역으로 묶여 환경당국 승인이 필요했고, 현지 환경단체들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혀 공장이 일시적으로 멈춰선 적도 있었다.

이후 지난 7월 테슬라는 환경당국의 승인을 받아내면서 기가팩토리 확장이 재개했다. 테슬라는 170ha 규모의 부지를 확장할 예정이었지만 협의를 통해 100ha로 규모를 줄이고 생태 영향성을 검사하는 등 최대한 환경적인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케이로스의 수석 애널리스트 앙투안 할프는 "독일에 테슬라 공장이 들어서면서 이미 50만그루의 나무가 베어졌다"며 "내연기관차를 전기차로 대체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과 비교해도 너무 많은 산림이 훼손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수목 손실로 흡수되지 못하고 배출된 이산화탄소량이 약 1만3000톤(tCO2eq)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이는 내연기관차 2800대가 연간 배출하는 양과 맞먹는다. 할프는 "테슬라가 매분기 생산하고 판매하는 전기차 대수는 이중의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미국을 비롯해 세계 곳곳에서 전기차 수요가 급감하면서 여러 완성차 업체들이 전기차 생산을 줄이고 있는 데 비해 테슬라는 오히려 생산 규모를 늘리고 있어 불필요한 확장이 아니냐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저가 전기차와 자율주행택시(로보택시) 출시로 수요 둔화를 극복하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지만, 로보택시는 물론 저가형 전기차 모델조차 출시 일정이 제시된 바 없어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아기상어' 코스닥行...더핑크퐁, 연내 상장 목표로 공모절차 착수

전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토종 콘텐츠 '아기상어'로 유명한 더핑크퐁컴퍼니가 연내 코스닥에 입성한다.더핑크퐁컴퍼니는 22일 금융위원회에 코

대한항공, SAF 사용확대...고베·오사카 노선도 국산SAF 1% 혼입

대한항공은 국내에서 생산한 지속가능항공유(SAF·Sustainable Aviation Fuel)를 사용하는 상용운항 노선을 확대한다고 22일 밝혔다.SAF는 폐기름, 동·

폐기된 서버 '로그기록' 있었다...KT, 소액결제 사태 새로운 단서?

KT가 폐기한 서버에서 로그기록이 별도로 백업된 사실이 확인되면서 중국 해커집단의 국내 통신사 해킹 수법의 새로운 단서가 될지 주목된다.22일 KT가

하이트진로, 제주 이호테우해변서 ‘해변 가꾸기’ 환경정화

하이트진로가 '국제 연안 정화의 날'을 맞아 지난 19일 제주 이호테우해변에서 환경정화활동을 펼쳤다고 22일 밝혔다.하이트진로는 2020년 제주 표선해

2027년부터 국내급유 국제선 지속가능항공유 '1% 의무화'

2027년부터 국내에서 급유하는 모든 국제선 여객기에 지속가능항공유(SAF) 1% 혼합이 의무화된다.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항공업계 탄소중

대기업 취업시장 '활짝'…하반기 2만5000명 채용한다

삼성과 현대차 그리고 SK 등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하반기 대규모 신규 채용에 나사면서 침체됐던 취업시장이 활기를 띨 것으로 보인다.19일 재계에 따

기후/환경

+

"美 산불 연기로 2050년까지 190만명 사망할 것"

북미지역에서 발생하는 산불 규모가 매년 커지고 있는 가운데 미국에서 산불 연기로 인한 사망자가 2050년까지 190만명에 이를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

美서 '살 파먹는' 박테리아 번성...기후위기 때문이라고?

올해 미국 루이지애나주 해안에서 일명 '살 파먹는' 박테리아로 인해 5명이 사망했다. 기후변화로 인해 박테리아가 번성한 것이 원인이라는 지적이다.1

붉게 변하는 알래스카 연어 하천…녹고있는 영구동토층이 원인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알래스카 북부 브룩스 산맥의 하천이 주황빛으로 변하며 새로운 수질 위기가 드러났다.미국 워싱턴대와 알래스카대 연구진은 9

트럼프는 반친환경 정책 펴지만...美 '기후주간' 역대 최대 규모로 개막

'클라이밋 위크(Climate Week) 2025'가 미국 뉴욕에서 21일(현지시간) 8일간의 일정으로 개막했다. 이번 행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반친환경적 정

저수율 52%로 가뭄 벗어났지만...강릉, 투명페트 쓰레기에 '몸살'

강릉은 열흘전만 해도 저수율이 11.5%까지 떨어져 최악의 상황에 직면했지만 최근 잇달아 내린 비 덕분에 저수율이 52%까지 높아지면서 가뭄에서 벗어났

가뭄 벗어난 강릉...단비에 도암댐 방류덕에 저수율 50.8%

강릉이 드디어 가뭄에서 벗어났다. 몇 일 간격으로 내린 단비에 평창 도암댐 방류까지 시작하면서 저수율이 50%를 넘어섰다.강릉지역 생활용수의 87%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