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리, 이차전지 '고농도 염폐수' 자원으로 되돌린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4-09-23 14:54:22
  • -
  • +
  • 인쇄
▲왼쪽부터 인프라프론티어 전응철 대표, 법무법인이유 변민혁 대표변호사, 제이엠씨 정민창 대표, 에코앤파트너스 이한경 대표, 필즈엔지니어링 나장훈 대표, 카리 양희경 사장, 카리 김판채 대표, 푸른파트너스 주신홍 대표, 화이트캐슬파트너스 정현서 한국파트너, SJ투자파트너스 옥진우 전무, DK파트너스 이덕기 대표 (사진=카리)

카리가 이차전지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독성 염폐수를 자원으로 되돌리는 상용화 사업에 본격 나섰다.

카리는 이차전지의 핵심소재인 양극재의 전구체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고농도 염폐수를 처리하고 자원화할 수 있는 플랜트를 착공했다고 23일 밝혔다. 

이차전지 염폐수에는 니켈 등 중금속뿐만 아니라 황산이온, 나트륨이온같은 독성물질이 다량 포함돼 있어 일반적인 폐수처리 방식으로 독성물질을 완벽하게 걸러내기 힘들다.

이에 카리는 2년전부터 이차전지 염폐수 처리방법을 연구하기 시작했고, 지난해 개발한 공법을 기반으로 이차전지 공장 2곳에서 실증사업을 진행한 결과, 매우 성공적이었다는 평가다. 이에 실증사업을 바탕으로 이번에 플랜트를 구축하기 시작한 것이다.

카리의 염폐수 처리공법은 오염원을 고순도의 망초 결정화(Crystallization)로 분리해내고, 중금속까지 완벽하게 제거해 처리하는 것이다. 오염 제거과정을 거친 처리수는 환경부의 생태독성(Toxic Unit) 지수 'TU1' 이하를 충족해 공업용수로 재이용하거나 농업용수로 활용할 수 있다. 또 염폐수 결정과정에서 만들어진 부산물로는 유가금속추출제, 암모니아제거제, 탈염제 등 고부가기치 가공제품들을 만들 수 있다.

카리의 플랜트를 구축하는 필즈엔지니어링은 초대형 이차전지 양극재의 전구체 생산기업들의 공장을 설계·시공한 경험이 있는 곳으로, 앞으로 카리와 함께 국내외 이차전지 기업들을 대상으로 염폐수 처리에 대한 영업활동도 함께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카리 관계자는 "이 기술이 시장에 성공적으로 정착되면 배터리산업 공급망에서 ESG경영 사업장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럽 EU 배터리법 공급망 실사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KCC그룹, 산불 피해복구 위해 3억5000만원 기부

KCC그룹이 산불 피해복구를 위해 3억5000만원을 기부했다고 31일 밝혔다.KCC는 2억원, KCC글라스는 1억원 그리고 KCC실리콘은 5000만원을 전국재해구호협회를

8년만에 바뀐 '맥심 모카골드' 스틱...친환경 디자인으로 변경

맥심 '모카골드'와 '슈프림골드' 스틱이 8년만에 친환경 디자인으로 바뀌었다.동서식품은 커피믹스의 주요제품인 '맥심 모카골드'와 '맥심 슈프림골드'

LG U+, CDP 기후변화대응 부문 최고등급 '리더십A' 획득

LG유플러스는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CDP)의 2024년 기후변화대응 부문 평가에서 최고등급인 '리더십 A등급'을 획득했다고 31일 밝혔다.CDP는 매년 전세계

코오롱ENP, 에코바디스 ESG 평가서 '상위 1%'

산업용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전문기업 코오롱ENP가 세계적 권위의 ESG 평가에서 '상위 1%' 등급을 획득했다. 코오롱ENP는 글로벌 ESG 평가기관 에코바디스(E

SKT, AI로 ESG 실현…'DO THE GOOD AI' 공개

SK텔레콤이 ESG 경영 전반에 인공지능(AI)을 도입한다.SKT는 ESG 경영 전반에 AI를 접목한 ESG 비전 'DO THE GOOD AI'를 27일 공개했다. SKT는 비전을 통해 AI와 ESG의

삼성, 산불 피해 복구에 30억원 지원

경상권 대형 산불 피해규모가 눈덩이처럼 커진 가운데, 삼성이 피해 복구를 돕기 위해 30억원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삼성 계열사 8곳은 대형 상불로

기후/환경

+

산에 불났는데 고깃배가 전소..."불씨 2㎞까지 날아갔다"

이번 산불로 75명의 사상자를 비롯해 역대급 피해가 발생한 데는 건조한 대기와 미흡한 초동대처 등이 원인으로 꼽히고 있지만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

강진에 폭삭 무너진 미얀마…아비규환 상황에 맨손구조 불사

규모 7.7 지진이 강타한 미얀마 중부는 모든 것이 무너져 그야마로 아비규환 상태다. 매몰된 사람들을 구조할 수 있는 장비가 턱없이 부족해 구조인력

산청 산불 10일만에 '꺼졌다'...213시간 34분 걸려

지난 21일 경남 산청군에서 발생한 산불이 약 213시간 만에 진화됐다.산림당국에 따르면 30일 오후 1시를 기점으로 열흘간 이어진 산청 산불의 주불 진화

"산림청이 산불 키웠다"...전문가들이 비판하는 이유는?

경상권의 산불 피해를 키운 원인은 산림청의 미흡한 산불 진화 체계라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지난 21일 경남 산청에서 시작된 산불은 하

올해 산불로 배출된 이산화탄소...작년의 2배

올해 산불로 배출된 이산화탄소가 이미 지난해 한 해 배출량의 약 2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산불로 증가한 온실가스에 기후변화가 가속되고, 온실가스

미얀마 강진 사망자 1만명 넘을 수도...피해 키운 원인은?

미얀마 강진 발생 이틀째인 29일(현지시간)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1600명대로 집계됐지만 미국 지질조사국(USGS) 분석 결과에 따르면 사망자가 1만명 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