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 제쳤다"…신흥경제국 재생에너지 가파르게 성장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4-10-18 15:15:07
  • -
  • +
  • 인쇄

신흥경제국들이 저렴한 재생에너지 모듈과 풍부한 일조량을 바탕으로 재생에너지 산업을 빠르게 성장시키고 있다.

14일(현지시간) 글로벌 에너지 컨설팅 기업 RMI가 발간한 'Powering Up the Global South' 보고서에 따르면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등 신흥경제국에서 태양광과 풍력 등 청정에너지 성장세가 북미와 유럽 등 선진국보다 훨씬 빠르다.

보고서는 남미,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을 '글로벌 사우스'로 북미, 유럽, 호주, 동아시아 등을 '글로벌 노스'로 구분해 재생에너지 비중 등을 비교했다. 중국과 중동, 유라시아의 석유지역은 이미 유럽보다 1인당 에너지 수요가 높아 별개의 그룹으로 분류했다. 글로벌 사우스는 전세계 인구의 60%를 차지한다.

RMI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신흥경제국들의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연평균 23% 성장했으며, 이는 선진국의 11% 성장률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또 멕시코, 브라질, 모로코 등 신흥경제국의 17%는 이미 태양광과 풍력 발전에 있어 선진국들보다 높은 비율을 기록 중이다.

아직 절대량을 비교하면 개발도상국이 선진국보다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더 적지만, 재생에너지 기술의 급격한 비용 하락 덕분에 이후 10년이 지나면 발전량이 역전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태양광과 배터리 기술이 발달하면서 비용이 절반 수준으로 줄어들어 브라질과 인도 등 중위소득 국가에서도 충분한 경쟁력을 갖추기 시작했다.

이처럼 신흥경제국의 재생에너지 성장이 빠르게 이뤄질 수 있는 것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우선 대부분의 신흥경제국들이 적도에 가까워 일조량이 풍부하고, 화석연료 인프라가 덜 발달됐기 때문에 발전원 전환 장벽이 낮은 편이다. 또 선진국의 로드맵을 참고해 효율적인 전환 계획을 세울 수 있던 것도 성장에 박차를 가했다.

여기에 더해 중국산 재생에너지 기술 도입을 경계하는 북미, 유럽 등 서구권 국가들과 달리 개방적이어서 경제적 효율성이 뛰어나다. 지금도 미국과 유럽연합(EU)은 중국산 전기차 및 재생에너지 기술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등 보호주의를 강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RMI 보고서 공동저자 비크람 싱은 "신흥경제국은 더이상 선진국 자원에만 의존하지 않는다"며 "이런 상황에서 중국의 저렴한 기술을 차단하는 건 해당 부문의 추가적인 성장을 오히려 방해하는 것일지도 모른다"라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아기상어' 코스닥行...더핑크퐁, 연내 상장 목표로 공모절차 착수

전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토종 콘텐츠 '아기상어'로 유명한 더핑크퐁컴퍼니가 연내 코스닥에 입성한다.더핑크퐁컴퍼니는 22일 금융위원회에 코

대한항공, SAF 사용확대...고베·오사카 노선도 국산SAF 1% 혼입

대한항공은 국내에서 생산한 지속가능항공유(SAF·Sustainable Aviation Fuel)를 사용하는 상용운항 노선을 확대한다고 22일 밝혔다.SAF는 폐기름, 동·

폐기된 서버 '로그기록' 있었다...KT, 소액결제 사태 새로운 단서?

KT가 폐기한 서버에서 로그기록이 별도로 백업된 사실이 확인되면서 중국 해커집단의 국내 통신사 해킹 수법의 새로운 단서가 될지 주목된다.22일 KT가

하이트진로, 제주 이호테우해변서 ‘해변 가꾸기’ 환경정화

하이트진로가 '국제 연안 정화의 날'을 맞아 지난 19일 제주 이호테우해변에서 환경정화활동을 펼쳤다고 22일 밝혔다.하이트진로는 2020년 제주 표선해

2027년부터 국내급유 국제선 지속가능항공유 '1% 의무화'

2027년부터 국내에서 급유하는 모든 국제선 여객기에 지속가능항공유(SAF) 1% 혼합이 의무화된다.국토교통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항공업계 탄소중

대기업 취업시장 '활짝'…하반기 2만5000명 채용한다

삼성과 현대차 그리고 SK 등 국내 주요 대기업들이 하반기 대규모 신규 채용에 나사면서 침체됐던 취업시장이 활기를 띨 것으로 보인다.19일 재계에 따

기후/환경

+

"美 산불 연기로 2050년까지 190만명 사망할 것"

북미지역에서 발생하는 산불 규모가 매년 커지고 있는 가운데 미국에서 산불 연기로 인한 사망자가 2050년까지 190만명에 이를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

美서 '살 파먹는' 박테리아 번성...기후위기 때문이라고?

올해 미국 루이지애나주 해안에서 일명 '살 파먹는' 박테리아로 인해 5명이 사망했다. 기후변화로 인해 박테리아가 번성한 것이 원인이라는 지적이다.1

붉게 변하는 알래스카 연어 하천…녹고있는 영구동토층이 원인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알래스카 북부 브룩스 산맥의 하천이 주황빛으로 변하며 새로운 수질 위기가 드러났다.미국 워싱턴대와 알래스카대 연구진은 9

트럼프는 반친환경 정책 펴지만...美 '기후주간' 역대 최대 규모로 개막

'클라이밋 위크(Climate Week) 2025'가 미국 뉴욕에서 21일(현지시간) 8일간의 일정으로 개막했다. 이번 행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반친환경적 정

저수율 52%로 가뭄 벗어났지만...강릉, 투명페트 쓰레기에 '몸살'

강릉은 열흘전만 해도 저수율이 11.5%까지 떨어져 최악의 상황에 직면했지만 최근 잇달아 내린 비 덕분에 저수율이 52%까지 높아지면서 가뭄에서 벗어났

가뭄 벗어난 강릉...단비에 도암댐 방류덕에 저수율 50.8%

강릉이 드디어 가뭄에서 벗어났다. 몇 일 간격으로 내린 단비에 평창 도암댐 방류까지 시작하면서 저수율이 50%를 넘어섰다.강릉지역 생활용수의 87%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