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합병·회계부정 등 혐의와 관련해 1심에 이어 항소심에서도 무죄 판결을 받으면서 9년만에 사법리스크를 털어낸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위기에 직면한 삼성전자를 구하기 위해 등기이사로 복귀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3일 서울고등법원 형사13부는 삼성물산·제일모직 부당합병 혐의 등으로 기소된 이 회장과 함께 기소된 당시 삼성 임직원 모두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검찰의 대법원 상고 가능성이 아직 남아있지만, 상고한다고 해도 법리해석의 적설성에 문제가 없다면 대부분 항소심 그대로 확정되기 때문에 사실상 이 회장은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이후 지속된 사법리스크에서 벗어나게 됐다.
2020년 시작된 부당합병 사건 재판으로 이 회장은 4년여간 총 96차례 공판에 출석했다. 2016년 시작된 박근혜 정부 국정농단 사건까지 합치면 9년 가까이 사법리스크에 갇혀있었던 셈이다.
이제 사법리스크에서 벗어난 이재용 회장이 현재 삼성전자가 직면한 유례없는 위기를 타파할 수 있을지 이목을 집중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최근 회사의 주력 상품인 메모리 반도체 사업에서 '초격차'가 점차 사라지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및 고대역폭메모리(HBM) 사업에서도 SK하이닉스 등 경쟁사에 의해 주도권을 뺏기면서 인공지능(AI) 붐 시류를 타지 못했다. 실제로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15조원으로 처음으로 SK하이닉스에 추월당했다.
이같은 위기 상황에도 불구하고 이 회장의 직접적인 피드백은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이는 재판을 받는 도중 정치적·사법적 파장을 일으킬 만한 소지를 없애기 위해 몸을 사렸던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일각에선 오너의 사법리스크로 인해 HBM 등 주요 사업에 한발 늦게 뛰어들거나, 내부의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쇄신 인사를 단행하지 못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사법리스크를 벗은 이 회장이 당장 3월 삼성전자 주주총회에서 등기이사로 복귀하면서 위기 타개 행보에 적극 나설지도 관심사다. 국내 4대 그룹 회장 가운데 이재용 회장만 유일하게 등기이사가 아니다.
한편 이날 삼성전자 주가는 전일보다 2.67% 하락한 5만10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이는 엔비디아와 같은 고성능칩이 필요없는 중국의 AI '딥시크'가 등장하면서 엔비디아에 HBM을 공급하는 반도체 업체들이 일제히 불똥을 맞으면서 하락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