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후판 최대 38% 반덤핑 관세...국내 철강업계 '숨통'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2-21 12:36:03
  • -
  • +
  • 인쇄
▲현대제철 후판 생산 모습(사진=현대제철)

국내 수입되는 중국산 후판에 대해 덤핑 방지를 위해 최대 38%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저가의 밀어내기식 중국산 철강이 국내에 대량 유입돼 시장을 교란시키는 행위를 막아 국내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는 지난 20일 제457차 회의에서 중국산 '탄소강 및 그밖의 합금강 열연강판 후판제품'에 대해 넉달간의 예비조사를 실시한 결과, 덤핑으로 국내 산업이 피해를 입었다고 추정할만한 충분한 근거가 있다고 예비 판정을 내렸다.

무역위는 앞으로 진행된 본조사 기간에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잠정 덩핑 방지 관세를 부과하는 것을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건의하기로 했다. 기업별 예비 덤핑률은 바오스틸 27.91%, 장쑤샤강 29.62%, 샹탄스틸·사이노 인터내셔널·샤먼 ITG 38.02%, 기타 공급자 31.69%다.

우리나라의 덤핑 방지 관세 부과 체계는 산업부 무역위원회가 조사를 거쳐 건의하고, 기획재정부가 이를 집행하는 체계로 되어있다. 덤핑 방지 관세는 외국 기업이 자국 판매 가격보다 낮은 가격에 해당하는 덤핑으로 상품을 수출했을 때, 해당 수출품에 추가 관세 격인 반덤핑 관세를 부과해 국내 산업을 보호하는 조치다.

중국산 후판에 대한 덤핑 조사는 지난해 7월 현대제철이 피해를 보고 있다며 무역위원회에 제소하면서 시작됐다. 무역위 관계자는 "넉달간의 예비조사에서 중국산 후판의 덤핑 사실이 발견됐다"면서 "덤핑 수입으로 국내 산업이 피해를 봤다는 충분한 근거가 있어 이같이 조치했다"고 설명했다.

후판은 두께 6㎜ 이상의 두꺼운 철판으로 선박이나 교량 등 건설 자재의 기초 소재로 쓰인다. 주로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 같은 국내 주요 철강사가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수년전부터 자국에서 물량을 소화시키지 못한 중국산 철강들이 대량 국내로 유입돼 시장가격을 교란시켜왔다. 중국산 후판 가격은 국산에 비해 30~40% 저렴하게 판매되고 있다.

한국철강협회의 수입통계에서도 이같은 사실이 잘 나타난다. 중국산 후판 수입량은 2022년 81만3000톤에서 2023년 130만9000톤으로 1년 사이에 61% 늘었고, 지난해는 138만1000톤으로 5% 더 늘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국내에서 사용된 후판 700만톤의 16.8%가 중국산이었던 셈이다. 덤핑을 제소한 현대제철의 경우 후판 매출비중이 약 15% 정도다.

국내 철강업체들의 정부의 반덤핑 조치에 한숨 돌린 모습이다. 중국산 후판이 높은 관세로 국내 판매가가 인상될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국내 시장에서 가격경쟁력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중국산 후판 수입도 줄어들 것이라는 기대도 있다.

관련 소식이 전해지면서 동국제강 주가는 21일 오후 12시30분 기준 전일보다 12.34% 오른 9650원을 기록하고 있다. 현대제철도 전일보다 4.50% 오른 2만6700원에 거래되고 있고, 포스코홀딩스도 5.21%, 28만2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김진범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21일 보고서를 통해 "중국업체들을 대상으로 후판 반덤핑관세 적용시 국내 철강업계의 판매량 확대 및 판가 인상이 가능할 것"이라며 업계 전반의 점진적인 이익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편 중국산 저가 철강에 대한 제동은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다. 유럽연합(EU)은 최근 중국산 철강 제품 3종에 대해 반덤핑 조사를 개시했으며 말레이시아도 지난 7일 중국에서 수입되는 아연도금 합금과 비합금 강판 수입품에 대한 관세 조사에 나섰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CJ제일제당, 유럽 인조잔디에 '생분해 플라스틱' 공급

CJ제일제당이 유럽서 생산되는 인조잔디 충전재에 생분해성 바이오 소재 'PHA'를 공급한다.CJ제일제당은 스웨덴 바이오소재 컴파운딩 기업 'BIQ머티리얼

남양유업, 포장재 전환 '속도'…42종 ‘지속가능성 A등급’ 달성

남양유업이 주요 제품 포장재 42종에 대해 '지속가능성 A등급' 인증을 받았다.남양유업은 사단법인 한국포장재재활용사업공제조합으로부터 대표 제품

"한달짜리 계약에 CCTV로 감시까지"...런베뮤 산재 '63건'

직원 과로사 의혹이 불거진 유명 베이커리 '런던베이글뮤지엄'이 오픈 이래 63건의 산업재해가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근로계약을 매달 작성하고, CCT

현대백화점그룹, 48명 임원인사..."변화보다 안정성에 방점"

현대백화점그룹이 30일 사장 1명, 부사장 2명을 포함해 승진 27명, 전보 21명 등 총 48명에 대한 정기 임원 인사를 2026년 1월 1일부로 단행했다. 인사 폭은

SK AX, 김완종 CCO 사장으로 승진..."AX 이끌 적임자"

SK㈜ AX는 김완종 최고고객책임자(CCO)를 신임 사장으로 승진 선임했다고 30일 밝혔다.국내 산업 전반에서 AX(AI Transformation) 확산이 본격화되고 기업들의

SKT 사령탑 교체...신임 CEO에 정재헌 사장 선임

SK텔레콤은 정재헌 대외협력 사장을 신임 CEO로 선임했다고 30일 발표했다.정재헌 신임CEO는 법조인 출신으로 2020년 법무그룹장으로 SKT에 합류했다. 2021

기후/환경

+

호주 봄날씨 실화냐?...한낮 기온이 46℃ '지글지글'

호주 북부지역이 봄철인 10월에 40℃를 웃도는 폭염을 겪고 있다.호주 기상청(BoM)은 북부 지역인 퀸즐랜드주와 노던 준주의 일부 지역이 올해 가장 더운

폭염에도 실내온도 6℃ '뚝'…호주에서 옥상용 냉각코팅제 개발

폭염에 실내온도를 낮을 수 있는 옥상 코팅기술이 새로 개발됐다.호주 시드니대학교 연구진은 폭염시 실내온도를 최대 6℃까지 낮출 수 있는 옥상용

[주말날씨] 단풍 보러갈 수 있을까...'가을비' 내린 후 쌀쌀

11월 첫 주말은 단풍이 물들며 완연한 가을날씨지만, 곳곳에 비가 내린 후 다시 초겨울 날씨가 오겠다.1일은 전국이 오전까지 대체로 흐리다가 오후부

“기후위기 시대, 아이 낳기 두렵다”…출산 기피하는 美 Z세대

기후위기에 대한 불안이 미국 젊은 세대의 출산 결정까지 흔들고 있다.피유리서치센터(Pew Research Center)가 미시간대 사회연구소와 공동으로 실시한 조

1분마다 1명씩 열사병으로 사망...온난화로 年54.6만명 목숨잃어

지구온난화로 전세계 인구 가운데 1분에 1명씩 열사병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난화에 따른 영향으로 90년대에 비해 23% 증가한 54만6000명의 전

섬나라 쑥대밭 만든 허리케인 '멀리사'...4일만에 괴물로 변한 이유

카리브해 섬나라들을 쑥대밭으로 만든 허리케인 '멀리사'(Melisa)가 짧은 시간에 역대급 초강력 폭풍우로 발달한 것은 '해양온난화'가 원인으로 꼽혔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