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합성 식용색소가 들어간 제품은 그렇지 않은 제품에 비해 설탕 함량이 약 2.4배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합성 식용색소는 과자, 액상과당 음료, 에너지드링크, 인스턴트 음식 등 각종 식음료 제품에 알록달록한 색깔을 입히는 데 쓰인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교 엘리자베스 던포드 박사 연구팀은 미국 상위 25개 식음료 기업이 생산한 3만9763개 제품에 들어간 합성색소 사용량과 당류, 나트륨, 포화지방 함량을 분석한 결과, 합성색소를 포함한 제품의 평균 당 함량이 그렇지 않은 제품보다 평균 141% 높았다고 24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연구팀은 5개 중 1개 제품에 합성색소가 포함돼 있었다고 밝혔다. 즉 미국 상위 25개 식품 및 음료회사가 판매하는 7428개(19%) 제품에 합성색소가 들어가 있었다. 가장 흔한 합성색소는 적색 40호로, 이 색소를 사용한 제품은 14%나 됐다. 제품당 합성색소는 최대 7개까지 들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판매하는 과자, 액상과당음료, 인스턴트 음식 등의 제품에는 합성색소가 포함될 가능성이 높고, 설탕 함량도 더 높았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면서 합성색소를 포함한 제품은 합성색소를 포함한 다른 제품보다 설탕 함유량이 264% 높았다.
연구에 따르면, 어린이 대상으로 판매하는 제품의 28%에 합성색소가 들어가 있었다. 일반 제품의 경우에는 11%에 불과했다. 페레로로쉐 초콜렛으로 유명한 페레로의 경우에도 2164개 제품을 어린이 대상으로 판매하고 있지만 이중 60%가 합성색소를 사용했다.
연구에 따르면, 과자 중 54%, 탄산음료 중 39%, 시리얼 중 20%가 합성색소를 사용하고 있었다. 주스 농축액, 콜드브루 원액, 탄산음료 시럽 등 음료 농축액(Beverage concentrate)의 경우 71%, 스포츠 음료 중 79%, 에너지 드링크 중 39%가 합성색소가 함유돼 있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단음식과 음료에 합성색소가 널리 퍼져 있음을 시사한다"며 "어린이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고려해 합성색소 노출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캘리포니아는 2023년에 적색 3호를, 지난해에는 학교 급식에서 흔히 사용되는 6가지 합성색소를 금지했다. 2010년 이후 유럽연합(EU)은 적색 40호, 황색 5호, 황색 6호를 포함한 특정 합성 식용색소를 함유한 식품에 '어린이의 활동성과 주의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경고 라벨을 붙이도록 했다.
지난 1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2027년까지 전국적으로 모든 식품에서 적색 3호를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적색3호는 1990년 쥐에게 암을 발생시켰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된 바 있다.
적색 3호는 우리나라에서 과자, 사탕, 아이스크림, 액상과당 음료 등에 제한적으로 허용된다. 다만, 일일섭취허용량(ADI)을 설정하고 섭취 및 사용량을 제한하고 있다. 식약처는 적색3호의 유해성에 대해 재검토에 나서겠다고 밝힌 바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