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자동차 배터리 손상사고의 91.4%는 차량이 도로 위 돌출물이나 구조물과 충돌하면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가 2022년~2024년 자사에 접수된 전기차 배터리 손상사고 405건을 분석한 '전기차 고전압 배터리 손상 사고 분석 결과'에 따르면 차량 단독사고는 370건(91.4%)으로 91.4%를 차지했다. 차량간 충돌사고는 8.6%에 그쳤다.
370건의 단독사고 가운데 도로 물체와 접촉·충돌로 인한 사고가 약 91%를 차지했다. 도로 돌출물·낙하물 비중이 42%, 방지턱·연석에 의한 사고가 24%, 맨홀·배수구 덮개로 인한 사고가 11% 순이었다. 돌출물 중에서는 돌멩이 충돌 사례가 30.8%로 가장 많았다.
배터리 손상은 사고 직후 바로 확인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전체 사고의 23.7%는 사고 발생 1주일이 경과한 후 접수됐고, 차량단독 사고 중 즉시 손상 확인 사례는 50%에 불과했다. 이는 시동 불능, 경고등 점등 이후 점검 과정에서 손상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사고 발생 지역은 지방권이 60%로, 수도권·광역시(40%)보다 높게 나타났다. 박원필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여름철에는 고온·다습한 환경에서 고전압 배터리 고장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며 "강한 충격이 있었던 경우 빠르게 점검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