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thumbimg

[포토]남산타워도 편의점도 '깜깜'…1시간 불끄기 캠페인 동참
▲지구촌 전등 끄기 캠페인 '어스아워'(Earth Hour)에 참여한 국내 기업과 랜드마크 주말 밤거리를 걷고 있는데 간판이 하나둘 꺼지기 시작했다. 정전이라도 된 것인가 싶었는데 기후위기 심각성을 알리는 환경캠페인 '어스아워'가 펼쳐진 것이었다.지난 25일 지구를 ...2023-03-27 10:42:13 [조인준]

thumbimg

두나무 '회복의 숲' 캠페인 성료...산불피해지에 3만그루 식재
▲세컨블록 내 세컨포레스트에 가상나무를 식재한 이들이 함께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두나무) 블록체인·핀테크 전문기업 두나무가 산불피해지역에 3만그루 이상의 나무를 식재한다.두나무는 산림청, 한국산림복지진흥원과 손잡고 진행한 '세컨포레스...2023-03-27 09:47:21 [이재은]

thumbimg

식물로 만든 인조가죽...모두 친환경일까?
식물성 가죽이 천연가죽과 합성피혁을 대체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대안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식물성 가죽의 대부분은 플라스틱의 일종인 폴리우레탄(PU)을 함유하고 있어 미세섬유 유출 및 매립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신발제조업체 RM윌리엄스(RM Will...2023-03-27 09:27:57 [김나윤]

thumbimg

전기차·가전도 '전력자원'..."분산전력 묶는 '가상발전소' 늘려야"
▲'분산형 전력 플랫폼 사례 분석'을 주제로 발표중인 60Hertz 김종규 대표 재생에너지 비중을 늘리기 위해서는 연료전지, 스마트가전, 전기자동차 등 '분산형 전력'을 적극 활용하고, 이에 따라 복잡하게 얽힌 전력의 수요와 공급을 IT기술을 활용한 '가상발전...2023-03-25 12:20:02 [이재은]

thumbimg

한해 3억톤 쏟아지는 합성의류...재활용 가능한 재질 있을까?
매년 전세계에서 생산되는 합성섬유 의류는 3억톤에 달한다. 그에 비해 전체 의류폐기물 중 재활용 비율은 1%에도 미치지 못한다. 특히 2가지 이상의 다른 섬유가 섞인 혼방재질은 재활용이 더욱 어렵다.의류·패션산업의 환경문제가 두드러지면서 소비자의...2023-03-24 14:20:21 [김나윤]

thumbimg

세계은행 '기후금융' 최전선 나서나?...4월 대대적 개혁 예고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 (사진=연합뉴스) 세계은행이 기후위기 대응를 위해 오는 4월 대대적인 개혁을 단행하겠다고 예고하면서 '기후금융'의 역할이 전방위적으로 확산될 전망이다.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과 스베냐 슐츠 독일 연방경제협력개발부 장관은 최근 회담을...2023-03-23 16:37:30 [이재은]

thumbimg

버려지던 편의점 식품…친환경 소재 '밀웜' 사료로 쓴다
▲케일의 연구원이 스마트팜 공장 내 사육중인 밀웜에 배합 사료를 공급하고 있다. (사진=BGF리테일) 편의점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이 유통기한이 임박해 버려야 했던 식품을 식용곤충 '밀웜' 사료로 사용하기로 했다.BGF리테일은 이를 위해 그린바이오 소재기...2023-03-23 10:02:30 [조인준]

thumbimg

현대차·기아, 美어드벤트와 '수소연료전지' 개발한다
▲현대자동차·기아는 22일(현지시간) 미국 보스턴에 위치한 어드벤트 본사에서 초고온 연료전지용 MEA개발을 위해 어드벤트사와 공동 개발 협약을 체결했다. 왼쪽부터 현대차·기아 기초소재연구센터장 홍승현 상무와 어드벤트 테크놀로지스 최고운영책임...2023-03-23 09:51:06 [이재은]

thumbimg

하이트진로, 제주 표선해변에서 쓰레기 220kg 수거
▲하이트진로 제주지점 임직원들이 지난 22일 표선해변 환경 정화활동을 실시했다. (사진=하이트진로) 하이트진로 제주지점 임직원들이 제주 표선해수욕장에서 하루동안 220kg의 쓰레기를 수거했다.하이트진로는 3월 22일 세계 물의 날을 맞아 임직원들이 표선해변 정...2023-03-23 09:37:20 [김나윤]

thumbimg

2050년 도시의 물이 말라간다..."24억명은 마실 물 없을 것"
안전한 식수를 마시지 못하는 전세계 도시인구 수가 2050년까지 2배 늘어날 것이라는 보고서가 유엔 물총회(Water Conference) 직전에 발표됐다.21일(현지시간) 발간된 '유엔세계물개발보고서(UN World Water Development Repo...2023-03-22 15:49:20 [김나윤]

thumbimg

숨막히는 베이징...중국발 역대급 황사 한반도로 몰려온다
▲중국 베이징 최악의 황사 때문에 안경 위에 고글까지 쓴 시민 (사진=연합뉴스) 황사가 중국 수도 베이징을 삼켜버렸다. 10년만의 최악의 황사가 덮치면서 시민들은 마스크와 고글까지 무장하고 길을 나서지만 숨쉴 때마다 황사가 마스크를 뚫고 들어올 정도로 심각한 ...2023-03-22 15:35:12 [조인준]

thumbimg

산림청, 올해 4900만그루 나무 심는다...남산 면적의 74배
산림청은 올해 2만2000헥타르(㏊)에 4900만 그루의 나무를 심는다. 이는 서울 남산 면적의 74배에 달한다.산림청은 경제림 1만4000㏊, 지역특화 조림 1060㏊, 꿀벌 활동을 위한 밀원수림 150㏊를 조성해 단기소득과 산림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계획이...2023-03-22 15:17:07 [김나윤]

Video

+

ESG

+

BP, 기후전환 실패에 '주주 반발'...주주 24.3%가 회장 연임 반대

BP의 친환경 전환 전략이 실패하면서 투자자들의 반발에 직면했다.가디언, CNBC 등 외신들은 17일(현지시간) 열린 BP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주의 약 4분의 1

포스코 '그린워싱'으로 공정위 제재...허위·과장 광고

객관적인 근거없이 철강 자재를 '친환경 제품'이라고 홍보하는 등 '그린워싱'(Greenwashing·위장 환경주의)'을 한 포스코가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동물성 식재료 쏙 뺐더니...탄소배출 확 줄어든 '지속가능한 한끼'

지속가능한 식단을 직접 먹어보면서 알아보는 특별한 토크콘서트가 서울 성수동 헤이그라운드 성수시작점에서 열렸다. 기후솔루션 주최로 16일 오후

가나초콜릿에 '지속가능한 카카오' 사용한다

가나초콜릿에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재배된 카카오가 사용된다.롯데웰푸드는 대표 제품인 가나초콜릿에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재배된 가나산 카카오

셀트리온, 글로벌 ESG평가 생명공학 부문 상위 5%에 선정

셀트리온은 글로벌 신용평가기관 S&P글로벌이 주관하는 '기업지속가능성평가'(Corporate Sustainability Assessment, 이하 CSA) 생명공학 부문에서 국내 바이오

[최남수의 ESG풍향계] 논란의 DEI '한국은 낙제점'

최근 ESG 이슈 중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는 DEI(다양성, 형평성, 포용성)이다. 직장에서 성별, 인종 등 기준에 따른 차별을 없애자는 내용

기후/환경

+

한여름엔 어쩌라고?...4월 중순인데 벌써 49℃ '살인폭염'

몬순 우기를 앞둔 인도와 파키스탄이 벌써부터 살인폭염에 시달리고 있다.보통 5~6월에 폭염이 절정에 이르는 시기인데 이 지역은 4월에 벌써부터 연일

전세계 농경지 15% '중금속 범벅'...14억명이 위험지역 거주

전세계 농경지의 약 15%가 중금속에 오염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금속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약 14억명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이다.17일(현지

[영상] 홍수로 물바다 됐는데...'나홀로' 멀쩡한 집

미국의 한 마을 전체가 홍수로 물에 잠겼는데 나홀로 멀쩡한 집 한채가 화제다. 이 집은 마치 호수에 떠있는 듯했다.미국 남부와 중서부 지역에 지난 2

끝없이 떠밀려오는 '미역 더미'...제주 해수욕장 '날벼락'

제주시 유명 해수욕장인 이호해수욕장이 미역 쓰나미가 덮쳤다.최근 이호해수욕장 해변으로 엄청난 양의 미역더미가 떠밀려오면서 이를 치우는데 고

콜드플레이, 내한공연서 '생수병 반입금지'..."당황했지만 오히려 좋아"

8년만에 국내에서 열린 영국 4인조 록밴드 콜드플레이 내한공연에 일회용 플라스틱 생수병 반입이 금지돼 화제다. 콜드플레이는 지난 16일부터 오는 25

산림청, 경북 산불피해 4.5만여ha라더니...9만ha 넘게 '잿더미'

의성에서 시작돼 인근 지역까지 번진 경북 산불로 인한 산림 피해가 9만헥타르(㏊)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당초 산림청이 추산한 피해규모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