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경제

thumbimg

아름다운가게, LG전자 H&A사업본부와 자원순환 캠페인 진행
▲아름다운가게와 LG전자 기부물품 전달식 (사진=아름다운가게) 재단법인 아름다운가게(이사장 박진원)가 LG전자 H&A 사업본부와 함께 생활 속 탄소저감을 위한 자원순환 캠페인을 진행했다고 12일 밝혔다.지난 5일 LG전자 H&A사업본부 창원사업장...2023-10-12 15:52:26 [김나윤]

thumbimg

코오롱플라스틱, 친환경 원료 확보해 탄소중립 나선다
▲허성 코오롱플라스틱 대표(우측 두번째)는 11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열린 청정메탄올 신산업 촉진을 위한 업무협약식에 참석했다. (사진=코오롱플라스틱) 코오롱플라스틱이 국내에서 생산되는 청정메탄올로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인 'POM'을 생산...2023-10-11 13:59:03 [이재은]

thumbimg

기아, 국내 최초 '배터리 생태계' 활성화 위한 민관 협력체계 구축
▲(왼쪽부터) 에코프로 이승환 미래전략본부장, 현대글로비스 이규복 대표이사, 기아 국내사업본부장 권혁호 부사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에코프로 송호준 대표이사, 에바싸이클 류지훈 대표이사, 경북테크노파크 하인성 원장, 기아 국내eBiz솔루션실장 윤승규 상무 (사진=기...2023-10-06 15:37:28 [이재은]

thumbimg

SK지오센트릭-우아한형제들, 배달용기 화학적 재활용 촉진 '맞손'
▲나경수 SK지오센트릭 사장(오른쪽)과 이국환 우아한형제들 대표가 6일 서울 종로구 SK그린캠퍼스에서 '배달용기의 화학적 재활용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SK지오센트릭) SK지오센트릭이 '배달의민족' 운영사 우아한...2023-10-06 13:18:16 [이재은]

thumbimg

"2040년까지 플라스틱 생산 75% 줄여야"...국제협약에 반영될까?
전세계 평균기온 상승폭을 1.5℃ 이내로 제한하려면 2040년까지 플라스틱 신재 생산량을 최소 75% 줄여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북유럽 국가들의 지역협력체 북유럽 각료회의는 지난 19일(현지시간) 유엔총회 국제플라스틱 협약 우호국연합(HAC) 제3차 장관회...2023-09-21 16:49:23 [이재은]

thumbimg

'그린워싱'에 칼빼든 EU...2026년부터 제품에 '친환경' 표시금지
유럽연합(EU)이 '그린워싱'을 뿌리뽑기 위해 오는 2026년부터 소비자제품의 포장라벨에서 친환경 광고표기를 모조리 금지하는 초강수를 둘 예정이다.지난 19일(현지시간) EU집행위원회 주도로 모인 유럽의회 및 EU회원국 협상대표들은 '자연친화적', '생분해성...2023-09-21 14:33:29 [이재은]

thumbimg

SKT-소프트뱅크, 日 후쿠오카 야구장서 다회용컵 순환 '해피해빗' 실증
▲후쿠오카 페이페이 돔을 찾은 SK텔레콤과 소프트뱅크, 행복커넥트 관계자들이 다회용컵을 들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대호 사회적기업 행복커넥트 상임이사, 이케다 마사토 소프트뱅크 CSR본부장, 이준호 SK텔레콤 ESG추진담당 (사진=SKT) SK텔레콤...2023-09-21 09:13:41 [이재은]

thumbimg

[플라스틱 지구] 꽉 막힌 국내 재활용 시장..."정부가 숨통 틔워야"
한번 생산되면 사라지는데 500년 이상 걸리는 플라스틱. 플라스틱은 1950년대 이후 지금까지 우리 생활 깊숙이 자리잡고 있다. 하지만 그 결과는 너무 참혹하다. 대기와 토양, 강과 바다. 심지어 남극과 심해에서도 플라스틱 조각들이 발견되고 있다. 미세플라스틱은 없는 ...2023-09-21 08:00:02 [이재은]

thumbimg

현대L&C, 친환경 건자재 사업 '잰걸음'...신축아파트에 재활용 필름 시공
▲현대L&C 전시장에서 고객들이 '친환경 가구용 R-PET(Recycle PET) 필름'을 둘러보고 있는 모습 (사진=현대L&C) 현대L&C가 부산광역시 남구에 신축중인 '두산위브더제니스 오션시티' 부엌가구용으로 재활용 'R-PET'(Re...2023-09-20 09:47:15 [이재은]

thumbimg

[플라스틱 지구] '폐플라스틱은 자원'...재활용 시장이 열린다
한번 생산되면 사라지는데 500년 이상 걸리는 플라스틱. 플라스틱은 1950년대 이후 지금까지 우리 생활 깊숙이 자리잡고 있다. 하지만 그 결과는 너무 참혹하다. 대기와 토양, 강과 바다. 심지어 남극과 심해에서도 플라스틱 조각들이 발견되고 있다. 미세플라스틱은 없...2023-09-15 08:00:02 [이재은]

thumbimg

LG화학, 伊 에너지기업과 차세대 바이오 오일 공장 세운다
▲LG화학 대산사업장 전경 (사진=LG화학) LG화학이 친환경 인증 제품 생산에 필요한 바이오 원료 내재화에 나선다.LG화학은 이탈리아 에니(ENI) SM(Sustainable Mobility)과 손잡고 충남 대...2023-09-14 18:45:46 [이재은]

thumbimg

코오롱플라스틱, 해양 폐플라스틱으로 산업용 소재 개발한다
▲허성 코오롱플라스틱 대표(좌)와 원종화 포어시스 대표는 '고순도 해양 폐플라스틱 원료 공급 및 엔지니어링 컴파운드 제품 개발 협약'을 체결했다. (사진=코오롱플라스틱) 코오롱플라스틱이 바다에 버려지는 폐플라스틱으로 만든 재생원료로 고기능성 플라스틱 소재를 개...2023-09-14 10:15:34 [조인준]

Video

+

ESG

+

'신한은행' 지난해 ESG경영 관심도 1위...KB국민·하나은행 순

지난해 1금융권 은행 가운데 ESG경영에 가장 많은 관심을 쏟은 곳은 신한은행으로 조사됐다.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이 뒤를 이었다.1일 데이터앤리서치

"AI시대 전력시장...독점보다 경쟁체제 도입해야"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전력시장에 경쟁체제를 도입하고, 전력수요처에 발전설비를 구축하는 분산형 시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대한상공

KCC그룹, 산불 피해복구 위해 3억5000만원 기부

KCC그룹이 산불 피해복구를 위해 3억5000만원을 기부했다고 31일 밝혔다.KCC는 2억원, KCC글라스는 1억원 그리고 KCC실리콘은 5000만원을 전국재해구호협회를

8년만에 바뀐 '맥심 모카골드' 스틱...친환경 디자인으로 변경

맥심 '모카골드'와 '슈프림골드' 스틱이 8년만에 친환경 디자인으로 바뀌었다.동서식품은 커피믹스의 주요제품인 '맥심 모카골드'와 '맥심 슈프림골드'

LG U+, CDP 기후변화대응 부문 최고등급 '리더십A' 획득

LG유플러스는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CDP)의 2024년 기후변화대응 부문 평가에서 최고등급인 '리더십 A등급'을 획득했다고 31일 밝혔다.CDP는 매년 전세계

코오롱ENP, 에코바디스 ESG 평가서 '상위 1%'

산업용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전문기업 코오롱ENP가 세계적 권위의 ESG 평가에서 '상위 1%' 등급을 획득했다. 코오롱ENP는 글로벌 ESG 평가기관 에코바디스(E

기후/환경

+

산불이 끝이 아니다...비오면 산사태 위험 200배

경북 대형산불이 지나간 자리에 산사태라는 또다른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2∼3개월 뒤 장마철과 겹치면 나무가 사라진 산은 속수무책으로 무너질 수

작년 이상고온 103일 '열흘 중 사흘'..."기후위기 실감"

지난해 열흘 중 사흘가량이 '이상고온'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9월은 절반 이상이 이상고온 상태였다.정부가 1일 공개한 '2024년 이상기후 보고서'

경북산불 연기 200㎞ 이동했다...독도 지나 먼바다까지

경상북도에서 발생한 산불 연기가 강풍을 타고 최초 발화지에서 최소 200㎞ 넘게 떨어진 동해 먼바다까지 퍼졌다.1일 기상청 국가기상위성센터와 대구

경북산불 피해 '눈덩이'...3700여채 불타고 3300명 터전 잃어

경상북도 북부에서 발생한 산불로 주택 3700여채가 불에 타고 주민 3300여명이 귀가하지 못하는 등 산불 피해규모가 갈수록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1

벌써 나타난 '빨간집모기'...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

일본뇌염을 옮기는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가 벌써 나타났다. 이에 질병관리청은 지난 27일 제3급 법정 감염병인 일본뇌염 주의보를 전국

잿더미로 변한 산…"생태계 복원까지 100년 이상 걸릴 것"

이번 산불로 잿더미로 변한 산림이 원상태로 복귀되는데 100년 이상 걸릴 수도 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이영근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관은 31일 "올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