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휴대폰 매매, 매입세액공제 적용해달라" 청와대 청원

백진엽 기자 / 기사승인 : 2020-11-19 16:02:38
  • -
  • +
  • 인쇄
"판매가액 아닌 실제 차액에 세금 부과해야"
"중고휴대폰 시장 활성화 위해 반드시 필요"
중고휴대폰 판매에 대해 매입세액공제 적용이 필요하다는 청와대 청원이 제기됐다.

18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중고휴대폰 매장을 운영하는 개인사업자라고 소개한 사람이 '중고휴대폰시장 활성화에 꼭 필요한 매입세액공제 적용을 청원합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렸다. 이날 오후 4시 현재 해당 청원에는 238명이 참여했다.

▲중고휴대폰 매입세액공제 청원.(사진=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캡처)

청원인은 중고휴대폰 시장 활성화를 위해 매입세액공제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우선 매입세액공제는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없는 일반 개인, 면세사업자, 간이과세자로부터 물품을 취득해 제조 또는 가공, 공급하는 경우에 취득가액의 110분의 10에 해당하는 금액만큼 부가세 매출세액에서 매입세액으로 공제할 수 있는 제도다.

예컨대 중고차의 경우 500만원에 개인에게 매입해 600만원에 다시 판매할 경우, 약 9만1000원의 부가세를 납부하도록 돼 있다. 실제 손익금액인 100만원에 대해서만 부가세가 납부되는 것이다.

하지만 중고휴대폰의 경우에는 판매가액에 대해 부가세가 부과된다. 만약 중고휴대폰을 90만원에 매입해 100만원에 판매할 경우 판매가인 100만원에 대해 110분의 10인 9만1000원정도가 과세된다. 중고휴대폰 사업자는 실제 손익금액은 10만원인데 세금을 9만1000원 내야 하는 것이다.

청원인은 "이 경우 실질적인 소득은 9000원이며, 판매 시 고객들에게 제공되는 각종 부자재와 직원들 급여, 매장 임대료 등을 포함하면 오히려 손해를 보게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 경우 발생하는 문제는 휴대폰의 매입가는 낮게 책정되고, 다시 구매하는 소비자는 비싸게 사게 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사업자가 수익을 얻기 위해 불가피하게 위와 같은 상황이 일어나는 구조라는 설명이다.

1인 1휴대폰을 넘어 1인 2~3휴대폰 시대가 되면서 중고휴대폰 시장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통신사의 약정 중 휴대폰이 고장이 나거나 분실하였을 경우에도 중고휴대폰은 더욱 필요해지는 상황이다. 또 자원 재활용 차원에서도 중고휴대폰 시장은 중요한 시장이다.

청원인은 점차 중요해지는 중고휴대폰 시장을 정부 차원에서 활성화시키려면 매입세액공제를 제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고휴대폰 시장에 매입세액공제가 적용될 경우 소비자들은 위험한 개인 간의 거래 대신에 빠르고 편리한 업체를 이용해 휴대폰을 사고 팔 수 있게 되고, 이 과정에서 현재보다 높은 매입가와 저렴한 판매가로 좋은 휴대폰을 거래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SK AX, ASEIC과 51개국 제조업 탄소중립 전환 나서

SK AX가 'ASEIC'과 손잡고 국내외 51개국 중소·중견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공급망 탄소관리, 기후공시 등 탄소중립 전환을 돕는다. SK AX은 ASEIC(아셈중

쿠팡 '비닐봉투' 사라지나?...지퍼 달린 다회용 '배송백' 도입

쿠팡이 신선식품 다회용 배송용기인 프레시백에 이어, 일반 제품 배송에서도 다회용 '에코백'을 도입한다.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CLS)는 인천, 부산, 제

삼성, 수해 복구에 30억 '쾌척'…기업들 구호손길 잇달아

삼성그룹은 전국 각지에서 발생한 집중호우 피해 복구를 돕기 위해 30억원을 21일 기부했다. 기부에는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삼성전기, 삼

삼성전자-LG전자, 침수지역 가전제품 무상점검 서비스

삼성전자서비스와 LG전자가 집중호우 피해지역을 대상으로 침수된 가전제품 세척과 무상점검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삼성전자서비스는 지난 18일부

"ESG 정책 중 '기본법 제정'과 '공시 의무화' 가장 시급해"

ESG 정책 가운데 기본법 제정과 공시 의무화가 가장 시급하다는 것이 기업들의 목소리다.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은 지난 17일 여의도 FKI타워 파인홀에서

한숨돌린 삼성전자...이재용 사법리스크 9년만에 털었다

삼성전자가 이재용 회장의 무죄가 확정되면서 2016년 국정농단 사건 이후 9년째 이어지던 '사법리스크'를 털어냈다. 그동안 1주일에 두번씩 법정에 출두

기후/환경

+

유해기체 제거하는 '촉매' 개발...대기오염 저감기술 새 장

미세한 백금 원자를 이차원 신소재에 고르게 퍼뜨려 일산화탄소 등 유해 기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새로운 촉매 기술이 개발됐다. 기존 백금 촉매보

시간당 100㎜ 퍼붓는데...시간당 50㎜ 배수시설 괜찮나?

기후변화로 시간당 50~100㎜에 이르는 '극한호우'가 매년 반복되는 것에 대비해 도시의 하수관로를 비롯한 빗물처리시설을 재설계할 필요가 있다는 지

'산림 벌채'...홍수 최대 18배 더 자주 발생시킨다

산림을 벌채하면 극심한 홍수가 최대 18배 더 자주 발생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UBC) 산림학부 헨리 팜 박사 연구팀

상반기 전세계 보험손실액 117조원 '역대 최대'...절반이 美산불 손실액

올 상반기 자연재해로 전세계 보험손실액이 840억달러(약 117조6000억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역대 상반기 보험손실액 가운데 최고치다. 미

"기상이변에 야외공연은 위험해"...美록밴드 스티브 밀러 투어 취소

미국 록밴드 스티브 밀러밴드가 올여름 예정됐던 북미 투어 일정을 전면 취소했다. 극심한 폭염과 산불, 예측 불가능한 폭우 등 기상이변이 이유다.밴

극한폭우가 산사태 피해 키웠다..."비는 그쳤지만 산사태 위험 여전"

5일간 이어지던 '극한폭우'는 멈췄지만 빗물을 머금은 토사가 무너져내리는 산사태 위험은 여전하다. 이에 산림청은 여전히 전국 12곳에 산사태 경보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