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SG 정책 가운데 기본법 제정과 공시 의무화가 가장 시급하다는 것이 기업들의 목소리다.
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은 지난 17일 여의도 FKI타워 파인홀에서 '이재명 정부의 ESG 정책과 기업의 대응전략'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하고, 정책 변화에 따른 기업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고 18일 밝혔다.
세미나에 앞서 실시된 민간기업 및 공공기관 ESG 담당자 134명 대상 사전 설문조사에서는 "정부의 ESG 정책 추진에 대한 기대감은 높지만, 기업 내부적으로는 공감대 부족과 실행 역량의 한계가 병존한다"는 평가가 나왔다.
응답자들이 이재명 정부에서 가장 시급하다고 꼽은 ESG 정책 과제는 △ESG 기본법 제정(37.3%)이 가장 높았다.
이어 △ESG 공시 조기 의무화(29.1%) △재생에너지 공급 강화(20.9%)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ESG 공시가 제도화돼야만 EU 공급망 실사법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인식과 맞닿아 있다.
응답자 다수는 "ESG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기업 생존과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필수 조건"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ESG 미이행은 글로벌 경쟁력 약화로 직결된다"는 우려와 함께 "지속가능 역량이 곧 기업 성과로 이어진다"는 전략적 관점도 제기됐다.
ESG 경영 추진에 있어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는 △ESG 방향성에 대한 내부 공감대 부족(34.3%)이 가장 많이 지목됐으며 △경영진의 낮은 관심(26.9%) △정보 부족(18.7%) △예산 부족(14.2%) 등이 뒤를 이었다.
실무자의 역량 부족은 1.5%에 그쳤지만 "실질적인 인센티브 부족"과 "ESG 관련 역할·책임 분담의 불명확성"을 지적한 의견도 일부 포함됐다.
ESG 경영 수준에 대한 자평에서는 "국내 평균 이상"이라는 응답이 많았으나 "글로벌 기준에는 여전히 미치지 못한다"는 자기반성도 나타났다. 특히 "기준이 불명확하다"거나 "실무자의 부담 대비 조직 차원의 지원이 부족하다"는 점이 과제로 지목됐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이종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사무총장, 손기원 대주회계법인 부대표, 윤해정 한국ESG경영개발원 ESG연구소장이 참여해 정부의 ESG 정책 방향과 기업 전략 수립 간의 연결고리를 짚었다.
손기원 부대표는 "ESG는 이제 단순한 보고서 대응이 아닌, 기업의 제품·서비스·운영모델을 전환하는 전략적 도구로 기능해야 한다"며 전략–공시–성과를 통합하는 ESG 밸류업(Value-Up) 구조로의 전환을 제안했다.
한국ESG경영개발원 이한성 원장은 "ESG는 이제 조직 전체의 전략으로 내재화돼야 한다"며 "단기적 규제 대응이 아닌 장기적 경쟁력 확보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