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끼리 말다툼? 과연 가능?...그래서 전문가에게 물어봤다

박유민 기자 / 기사승인 : 2021-05-18 19:18:04
  • -
  • +
  • 인쇄
임해창 고려대 컴퓨터공학과 명예교수 "현재 기술로는..."
▲ 두 로봇이 말다툼을 벌이고 있다. (출처='삘리삘리'(bilibili)화면 캡처)


"너 나한테 좀 부드럽게 말할 순 없어?"
"난 충분히 부드러운 것 같은데?"

"너 너의 그 나불대는 입 좀 봐"
"너 나 아주 잡아먹겠다?"

"사과는 이미 늦었어. 잘 가"
"너 아직도 화났어? 돌아서 나 좀 봐봐"
"싫어"
"네 마음대로 해. 진짜 짜증 난다."

목소리만 언뜻 들으면 연인끼리 싸우는 것 같다. 그런데 어라, 사람이 아니라 로봇끼리 싸우고 있다. 중국 장시 난창의 한 도서관에서 로봇끼리 말다툼하는 장면이 중국 SNS에서 큰 화제다. 이 영상은 현재 중국 영상플랫폼 '삘리삘리'(bilibili)에서 조회 수 60만을 넘었다. 

이 로봇들의 역할은 도서관 방문객에게 즐거움을 주고 도서관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인처럼 다투는 로봇 영상을 본 네티즌은 '웃겨 죽겠다.' '저게 진짜면 웃긴 게 아니라 무서울 정도'라는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영상을 본 한국 네티즌들은 '로봇 산업이 상당히 발전했다' 면서 '우리나라의 로봇 기술은 어느 정도인지 궁금하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그런데 이 로봇끼리 다투는 장면은 사람이 연출한 것일까? 아니면 로봇기술의 진화된 현주소를 보여주는 것일까. 이 영상을 본 상당수의 사람은 '사람이 원격조정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한 네티즌은 "내가 아는 형도 3일 동안 모니터실에서 원격조정한 적이 있다"면서 "뒤에서 누가 원격조정했을 것"이라고 장담했다. 다른 네티즌도 "진짜 믿냐? 현재 AI의 대화 기술은 이 정도까지 발전하지 못했다"며 원격조정 의혹을 제기했다.

로봇이 인간처럼 말을 하게 하기 위해서는 자연어 처리(NLP)기술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NLP란 컴퓨터가 인간의 말인 자연어를 분석하는 기술로, AI 주요 연구 분야이다. 

그래서 뉴스;트리가 NLP 전문가에게 직접 물어봤다. 로봇끼리 싸우는 장면이 설정인지, 아니면 현재 기술로 가능한 것인지에 대해. 이에 대해 임해창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명예교수이자 엔씨소프트 NLP 자문 교수는 기자의 질문에 "현재 음성 대화 시스템으로는 불가능하다"고 단언했다.

임 교수는 "로봇이 상대의 말에 화를 내기 위해서는 사람이 대화할 때처럼 상대의 감정 및 의도, 대화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는데 현재 기술로는 아직 멀었다"고 설명했다.

컴퓨터의 음성대화 시스템(SDS) 구성은 이러하다. 사람의 음성이 인식되면 인식된 텍스트를 분석한다. 형태소 분석, 통사 분석, 의미 분석, 화용 분석 등을 거치는데 이것이 자연어처리 과정이다.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그 발화에 적합한 응답 문장을 만들고, 음성합성을 통해 스피커로 내보낸다.

▲IT 기업과 학계에서 NLP 전문가로 활약하고 있는 임해창 교수

그렇다면 현재 음성대화시스템 수준은 어느 정도까지 왔을까.

'시리'나 '빅스비'를 향해 "오늘 날씨 알려줘"라고 말하면 "오늘 날씨는~~"이라고 답하는 것이 정형화된 포맷에 맞춰 응답하도록 미리 설정돼 있기에 가능하다는 얘기다. 질문의 유형을 미리 설정해서, 그에 맞춰 적절한 답변을 내보내도록 하는 식이다.

임 교수는 "현재 음성인식과 대화 시스템의 처리속도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딥러닝을 이용하여 데이터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딥러닝은 인간의 뇌 구조를 모방한 인공신경망을 이용해 수많은 데이터에서 패턴을 발견하고 구분하는 기술이다. 

아울러, AI 연구자들은 '멀티 모달'에 대한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멀티 모달'은 텍스트와 음성 그리고 영상 등을 동시에 인식할 수 있는 기술이다. 

임 교수는 "멀티 모달로 사람의 표정을 인식하여 감정을 읽어낼 수 있다면 보다 자연스러운 대화를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AI 기술이 발달하면 머지않아 인간과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로봇이 등장할지도 모른다. 그렇게 되면 로봇끼리 싸움도 현실에서 볼 수 있지 않을까.

박유민 기자 youmeaningful@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새벽배송 금지' 놓고 극과극 입장차...합리적 해법 나올까

최근 발생한 쿠팡 새벽배송 노동자 사망 사건을 계기로 새벽배송 문제가 다시 '뜨거운 감자'로 대두됐다. 숨진 노동자는 극심한 업무강도에 시달린 것

"국민연금, ESG 원칙 위반한 키움·흥국증권을 거래사로 선정"

국민연금이 ESG 경영 강화를 내세우며 거래증권사 평가에서 ESG 비중을 확대했지만, 신규 석탄발전소 채권을 주관한 증권사들이 여전히 거래증권사 명

[손기원의 ESG 인사이드] 美캘리포니아 '기후공시 3법'의 위력

최근 글로벌 ESG 공시 지형이 복잡하게 흘러가고 있다. 미국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기후공시 규칙이 무력화됐고,

현대차그룹, 평택항 '탄소중립 수소항만' 구축 참여

현대자동차그룹이 평택시 등과 함께 수소 생태계 조성에 앞장선다.현대차그룹은 11일 평택 시청에서 현대차그룹 켄 라미레즈 에너지&수소 사업본부

현대백화점, 업사이클 옷 2000벌 에너지 취약계층에 전달

현대백화점이 업사이클 다운베스트 2000벌을 에너지 취약계층에 전달했다.현대백화점은 서울 중구 서울시청 8층 간담회장에서 '에너지 취약계층을 위

"에어컨 물도 다시"...LG화학 리사이클 공모전서 초등학생 최우수상

한 초등학생이 에어컨 물을 재활용하는 아이디어로 리사이클 공모전서 최우수상을 받았다. LG화학은 지난 8월 주최한 '리사이클 사회공헌 임팩트 챌린

기후/환경

+

60℃까지 버틴다...고온에서 오히려 성장하는 식물의 원리

60℃ 기온에서도 잘 자라는 식물의 기전이 밝혀졌다.9일(현지시간) 미국 미시간주립대학 연구팀은 데스밸리에 서식하는 '티데스트로미아 오블롱기폴리

녹을 이용해 독성 황화물 제거하는 미생물 발견

산화철을 이용해 독성 황화물을 제거하는 미생물이 발견됐다.오스트리아 비엔나대학교의 미생물학자 마크 무스만(Marc Mussmann)과 알렉산더 로이(Alexander

벼농사·태양광발전 동시에 했더니...수익 8배 늘었다

벼농사와 태양광 발전을 동시에 진행한 논의 소득이 벼농사만 지은 것보다 8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지난 2023년 농림축산식품부의 지원을 받

북극이 녹색으로..."기후변화로 지구 최북단에 녹지 생겨"

새하얀 북극이 기후변화로 인해 녹색으로 변하고 있다.극지연구소는 지구의 최북단인 북그린란드 북위 82도에서 급격히 진행 중인 녹화 현상과 토양

[COP30] 고함치고 격렬한 몸싸움...원주민 시위대와 경비원 충돌

유엔 기후총회에서 원주민과 비정부기구(NGO)로 구성된 시위대와 경비원이 충돌하는 일이 발생했다.12일 AP, AFP, 가디언 등 외신에 따르면 지난 11일 밤(

[COP30] "트럼프는 침입종"...美 캘리포니아 주지사의 직격

차기 미국 민주당 대권주자로 유력한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가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향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