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주도한 블랙록, 독재국가 채권보유 '들통'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1-07-14 14:16:39
  • -
  • +
  • 인쇄
FT "블랙록과 AB 등 독재국가 채권 다수 보유"
EU "2023년부터 투자대상국 인권상황 법제화"

투자 결정시 인권을 고려한다고 떠벌렸던 블랙록과 얼라이언스번스틴(AB), 크레디 아그리콜 등 대표적인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자산운용사들이 정작 인권을 침해하는 정권의 국채를 사들여 빈축을 사고 있다.

최근 ESG 열풍이 불면서 많은 자산운용사들이 ESG 요소와 지속가능성을 강조했지만, 실제 투자에 있어 인권보다 수익성을 우선했다고 13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일례로 벨라루스의 민주주의 운동가 니콜라이 프라코프유는 세계적인 자산운용사 블랙록과 UBS가 벨라루스의 국채를 상당량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벨라루스는 '유럽의 마지막 독재자'로 불리는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대통령이 집권하고 있다.

니콜라이는 블랙록과 UBS를 향해 벨라루스의 국채를 매입해 루카셴코가 정권을 유지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투자방침이냐고 비판했다. 이에 블랙록은 답변을 거부했고, UBS는 자사 투자항목 가운데 벨라루스 국채 비중이 크지 않다고 해명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자말 카슈끄지 살해 사건 등 인권 논란에도 불구하고 2019년부터 현재까지 320억달러(약 37조원)의 국채를 팔았다. 러시아도 크림반도 강제합병과 시리아 내전 개입 등의 사건이 있었음에도 100억달러(약 12조원) 규모의 국채를 팔았다. 중국 역시 홍콩보안법 통과, 위구르족 탄압이 무색하게 해외 투자자들이 크게 늘어나는 추세다.

ESG와 인권을 주요 투자지표로 삼고 있는 블랙록과 AB, 크레디 아그리콜 등도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 중국의 국채를 상당량 보유하고 있다. FT가 이에 대해 해명을 요구하자 블랙록과 AB는 응답하지 않았다. 크레디 아그리콜은 자사가 계약을 맺은 국가들 가운데 "어느 곳도 100% 이상적인 정책·전략을 실현하고 있지는 못하다"고 답했다.

몇몇 자산운용사들은 윤리적 기준이 깨끗하게 나눠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이런 식으로 투자 결정을 압박하는 것은 불공평하다고 밝혔다. 실제로 민주주의 국가인 미국에도 심각한 인종차별 문제가 존재하고, 카슈끄지 암살 사건의 배후로 지목된 무하마드 빈 살만 왕세자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여성인권 증진에 힘쓴 바 있다.

또 신흥국은 정치적으로 불안한 경우가 많지만, 친환경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자산운용사들에게 높은 수익을 가져다준다. 블루베이의 티모시 애쉬 신흥국 국채시장 선임전략가는 "자산운용사들은 투자자들을 위해 수익을 창출할 책무가 있고, 신흥국들의 경우 ESG 점수가 낮더라도 높은 수익률을 보장하기 때문에 자금 쏠림 현상은 당연하다"고 밝혔다.

하지만 인권운동가들은 자산운용사들이 인권침해로 일어나는 금전적 손실을 지표에 반영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게다가 ESG를 단순히 그간 주목받지 않았던 리스크를 피하기 위한 새로운 시장전략 정도로 보고 있다며 목적이 아닌 하나의 수단으로 치부했다고 꼬집었다.

이에 유럽연합(EU)은 지난 3월부터 펀드매니저들의 투자가 ESG 요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힐 것을 요구하고 있고, 2023년에 이르면 펀드매니저가 투자하는 국가의 인권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투자자들에게 한층 더 높은 수준의 투명성을 마련하도록 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화석연료에 46조 투자한 유럽 ESG펀드들...규제 앞두고 '이름지우기' 분주

유럽 투자회사들이 'ESG펀드'를 통해 화석연료 기업에 투자한 규모가 330억달러(약 46조1200억원)가 넘는다는 폭로가 나왔다. '무늬만 EGS펀드'는 이달부터

LG, 생태계 살리는 ‘토종꿀벌’ 키운다…2년 후 400만마리 목표

LG가 꽃의 수분을 도우며 생태계를 유지시키는 '꿀벌 지키기'에 나섰다.LG는 최근 LG상록재단이 운영하는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 생태수목원인 화담숲 인

KCC, 지역 사회시설 환경개선 활동..."ESG경영 앞장"

KCC가 전국 사업장 소재지를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 밀착형 사회공헌 활동으로 ESG경영에 앞장선다.KCC는 전라북도 진안군에 위치한 지적장애인 거주시설

SPC삼립, 제빵공장 근로자 사망사고에 "죄송하다" 사과문

경기 시흥시에 위치한 SPC삼립 제빵공장에서 50대 여성 노동자가 숨지는 사고가 또 발생했다.사고는 19일 오전 3시쯤 시화공장에서 발생했으며, 숨진 A씨

KB국민은행, 2만3000여명 소상공인 금융지원 '100억' 돌파

KB국민은행이 비대면 대출받은 소상공인에게 보증료 및 대출 이자를 지원해주는 'KB소상공인 응원 프로젝트'의 지원금액이 100억원을 돌파했다고 19일

'청소기 폐배터리 반납하면 새제품 할인'..LG전자 '배터리턴' 캠페인

LG전자가 오는 6월 30일까지 청소기 배터리 등 폐부품을 반납하면 새 부품을 구매할 때 할인해주는 '배터리턴'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19일 밝혔다.환경부

기후/환경

+

환경부, 수도권 폐기물 직매립 금지 유예 '고려'…환경단체 "정책 퇴보" 비판

환경부가 내년부터 시행하기로 한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조처를 유예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환경단체가 강도 높은 비판

LG, 생태계 살리는 ‘토종꿀벌’ 키운다…2년 후 400만마리 목표

LG가 꽃의 수분을 도우며 생태계를 유지시키는 '꿀벌 지키기'에 나섰다.LG는 최근 LG상록재단이 운영하는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 생태수목원인 화담숲 인

"올해 전기차 판매 2천만대 돌파예상...신차 판매 25% 차지"

올해 전기차는 신차 판매량의 25% 이상을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국제에너지기구(IEA)는 14일(현지시간) '2025년 세계 전기차 전망 보고서'(Global EV Outloo

지구 9가지 한계선 중 6가지 '위험상태'...되돌릴 5가지 방법은?

인류 생존을 위한 지구는 이미 한계선을 넘어 위험한 상태지만, 지속가능한 정책을 펼친다면 지구를 2015년으로 되돌릴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

남성 온실가스 배출량 여성보다 26% 많다...이유는?

여성보다 남성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요인이 자동차 운전과 육류 섭취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14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 온딘 버

작년 우주쓰레기 3000개 발생…매일 3개씩 지구로 추락

지난해 우주에서 발생한 인공위성 잔해물이나 발사체 파편 등 '우주쓰레기'가 3000개 이상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우주쓰레기 가운데 하루평균 3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