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2023년부터 투자대상국 인권상황 법제화"
투자 결정시 인권을 고려한다고 떠벌렸던 블랙록과 얼라이언스번스틴(AB), 크레디 아그리콜 등 대표적인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자산운용사들이 정작 인권을 침해하는 정권의 국채를 사들여 빈축을 사고 있다.
최근 ESG 열풍이 불면서 많은 자산운용사들이 ESG 요소와 지속가능성을 강조했지만, 실제 투자에 있어 인권보다 수익성을 우선했다고 13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일례로 벨라루스의 민주주의 운동가 니콜라이 프라코프유는 세계적인 자산운용사 블랙록과 UBS가 벨라루스의 국채를 상당량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벨라루스는 '유럽의 마지막 독재자'로 불리는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대통령이 집권하고 있다.
니콜라이는 블랙록과 UBS를 향해 벨라루스의 국채를 매입해 루카셴코가 정권을 유지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투자방침이냐고 비판했다. 이에 블랙록은 답변을 거부했고, UBS는 자사 투자항목 가운데 벨라루스 국채 비중이 크지 않다고 해명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자말 카슈끄지 살해 사건 등 인권 논란에도 불구하고 2019년부터 현재까지 320억달러(약 37조원)의 국채를 팔았다. 러시아도 크림반도 강제합병과 시리아 내전 개입 등의 사건이 있었음에도 100억달러(약 12조원) 규모의 국채를 팔았다. 중국 역시 홍콩보안법 통과, 위구르족 탄압이 무색하게 해외 투자자들이 크게 늘어나는 추세다.
ESG와 인권을 주요 투자지표로 삼고 있는 블랙록과 AB, 크레디 아그리콜 등도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 중국의 국채를 상당량 보유하고 있다. FT가 이에 대해 해명을 요구하자 블랙록과 AB는 응답하지 않았다. 크레디 아그리콜은 자사가 계약을 맺은 국가들 가운데 "어느 곳도 100% 이상적인 정책·전략을 실현하고 있지는 못하다"고 답했다.
몇몇 자산운용사들은 윤리적 기준이 깨끗하게 나눠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이런 식으로 투자 결정을 압박하는 것은 불공평하다고 밝혔다. 실제로 민주주의 국가인 미국에도 심각한 인종차별 문제가 존재하고, 카슈끄지 암살 사건의 배후로 지목된 무하마드 빈 살만 왕세자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여성인권 증진에 힘쓴 바 있다.
또 신흥국은 정치적으로 불안한 경우가 많지만, 친환경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자산운용사들에게 높은 수익을 가져다준다. 블루베이의 티모시 애쉬 신흥국 국채시장 선임전략가는 "자산운용사들은 투자자들을 위해 수익을 창출할 책무가 있고, 신흥국들의 경우 ESG 점수가 낮더라도 높은 수익률을 보장하기 때문에 자금 쏠림 현상은 당연하다"고 밝혔다.
하지만 인권운동가들은 자산운용사들이 인권침해로 일어나는 금전적 손실을 지표에 반영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게다가 ESG를 단순히 그간 주목받지 않았던 리스크를 피하기 위한 새로운 시장전략 정도로 보고 있다며 목적이 아닌 하나의 수단으로 치부했다고 꼬집었다.
이에 유럽연합(EU)은 지난 3월부터 펀드매니저들의 투자가 ESG 요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힐 것을 요구하고 있고, 2023년에 이르면 펀드매니저가 투자하는 국가의 인권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투자자들에게 한층 더 높은 수준의 투명성을 마련하도록 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