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바이 '100만그루' 나무심기 10년...나무는 다 말라죽었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1-08-26 18:30:52
  • -
  • +
  • 인쇄
▲ 두바이 전경


두바이가 사막화를 막기 위해 심었던 수십만 그루의 나무들이 10년도 안돼 죽었다고 영국 가디언이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두바이는 녹지를 늘려 사막화를 막고 도시미관을 정비하기 위해 지난 2010년 '100만그루 나무심기'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통상 새로 심은 나무들이 탄소를 흡수하려면 최소 20년이 걸리는데, 두바이에서 심은 나무들은 10년도 되지 않아 대부분 죽어버린 것이다. 

나무심기 프로젝트를 담당했던 그린랜드(Green Land)라는 회사는 정부가 지원하는 환경단체와 함께 나무 묘포(묘목을 심은 밭)를 개발했다. 당시 그린랜드는 재활용수와 담수를 이용해 13만㎡에 이르는 묘포를 조성해 올리브와 야자수, 가프 등 사막환경에 강한 30여종의 묘목을 심었다. 이 묘목이 자라면 아랍에미리트(UAE) 전역에 보낼 예정이었다. 

그러나 애써 조성한 묘포 부지는 오래가지 못했다. 두바이 정부 소유의 투자기업 두바이홀딩이 묘포 부지를 포함해 440만m²에 이르는 땅에 50억파운드(약 8조원)를 들여 세계 최대 쇼핑센터 '몰 오브 더 월드'(Mall of the World)를 건설하겠다고 나선 것이다.

그러던 두바이홀딩은 2016년 쇼핑몰 건설사업을 돌연 연기하고, 해당 부지에 140억파운드(약 22조5000억원)을 들여 '주메이라 센트럴'(Jumeirah Central) 도시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하겠다고 전격 발표했다. 

13만㎡ 규모의 묘포 부지는 410만m²에 이르는 '주메이라 센트럴' 건설부지에 수용돼 버린 것이다. 이로 인해 그린랜드는 2016년 12월부터 2017년 3월까지 묘목을 이전하라는 통보를 수차례 받아야 했다.

환경운동가들과 그린랜드는 심은지 얼마되지 않은 어린 나무를 옮기는 것은 위험하다며 3년이 필요하다고 했지만 이전 압박은 거세졌다. 묘포가 조성된 곳에는 수도와 전기가 간헐적으로 끊기고 굴착기가 들어와 공사를 시작했으며 게이트가 세워졌다.

2017년에는 그린랜드 직원들이 묘포 철거를 막기 위해 굴착기 캐빈 안에 들어앉아 있는 모습이 목격되기도 했다. 부지에 심어놓은 나무에 물을 주기 위해 게이트 밑으로 땅을 파고 들어가기도 했다. 

하지만 부지에 있던 묘목들은 다른 곳으로 옮기지 못했다. 직원들도 더이상 부지에 접근할 수 없었다고 한다. 결국 주메이라 센트럴 계획은 2017년 10월 보류됐지만 나무들은 이미 말라죽어 버렸다.

2018년 3월 현장을 방문했더니 59만9338그루 정도만 살아있었다고 한다. 이는 처음 심은 나무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그리고 2020년 12월에 마지막으로 방문한 현장 책임자 및 근로자들에 따르면 2018년 3월 살아남았던 나무 가운데 80%가 죽어있었다고 했다. 100만그루 나무 대부분이 말라죽은 것이다. 

두바이의 '100만그루 나무심기'는 개발계획에 밀려 결국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산업은행 녹색채권 25% '전기차 구매지원'...기후테크 투자는 '쥐꼬리'

산업은행 녹색채권 자금이 전기자동차 보급에 치우쳐 있고, 기후테크 분야에 대한 투자는 등한시하고 있다는 지적이다.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박정(더

삼성중공업, 11.5만톤급 수소연료전지 추진 선박 만든다

삼성중공업은 프랑스 선급(BV)으로부터 '암모니아 기반 수소 연료전지 추진 원유운반선'의 기본설계 인증(Approval in Principle)을 받았다고 24일 밝혔다. 암

韓 금융당국 기후정책 亞 '중하위권'…"인니와 필리핀보다 점수 낮아"

우리나라가 동남아시아권 국가들에 비해 경제규모와 제도적 역량이 월등함에도 금융권의 기후대응 정책 수준은 '중하위권'에 머물고 있다는 분석이다

LG U+, 표준협회 콜센터품질지수 통신업종 2개 부문 1위

LG유플러스가 한국표준협회(KSA)가 주관하는 '2025년 콜센터품질지수(KS-CQI) 조사'에서 이동통신과 초고속인터넷·IPTV 2개 부문에서 최우수기업으로

셀트리온, 美 일라이 릴리 공장 인수..."인수와 증설에 1.4조원 투자"

셀트리온이 글로벌 빅파마 일라이 릴리(Eli Lilly)와 미국 뉴저지주 브랜치버그에 소재한 약 4600억원 규모의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장 인수 계약을 체결했

CJ제일제당, 폭염도 견디는 배추 신품종 '그린로즈' 개발

CJ제일제당이 국내 최초로 여름철 폭염에도 잘 자라는 고온적응성 배추 품종 개발에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배추는 기후변화로 생산량이 줄고 있는 대

기후/환경

+

230㎞ 강풍과 폭우로 '초토화'...태풍 '라가사' 대만 휩쓸고 중국行

올해 발생한 태풍 가운데 가장 강력한 제18호 태풍 '라가사'가 필리핀 북부와 대만을 강타하며 엄청난 피해를 낳고 있다. 라가사는 계속 북서진하고 있

산업은행 녹색채권 25% '전기차 구매지원'...기후테크 투자는 '쥐꼬리'

산업은행 녹색채권 자금이 전기자동차 보급에 치우쳐 있고, 기후테크 분야에 대한 투자는 등한시하고 있다는 지적이다.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박정(더

정부 "2035 재생에너지 37% 늘려 전력부문 탄소감축 높이겠다"

정부가 2035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최대 37%까지 늘려서 전력생산 부문 탄소배출량을 2018년 대비 68~79% 줄이겠다는 계획이다. 재생에너지 발전비

韓 금융당국 기후정책 亞 '중하위권'…"인니와 필리핀보다 점수 낮아"

우리나라가 동남아시아권 국가들에 비해 경제규모와 제도적 역량이 월등함에도 금융권의 기후대응 정책 수준은 '중하위권'에 머물고 있다는 분석이다

[날씨] 가을 알리는 '요란한 비'...24일 시간당 20∼30㎜ 폭우

오는 23일 밤부터 남해안에 비가 내리기 시작해 24~25일 많은 비가 오겠다. 이 비가 그치면 가을이 성큼 다가온다.23일 오전 제주에서 내리기 시작한 비가

공기보다 더 빨리 뜨거워지는 강물...'하천폭염' 속도 4배 빠르다

하천의 수온이 상승하는 '하천폭염'(Riverine Heatwaves) 속도가 공기가 데워지는 대기폭염 속도보다 최대 4배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미국 펜셀베니아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