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권 보장 적극적으로 담아야" 비판 목소리도
#포스코는 4년간 재해사고가 113건 일어났고, 이로 인한 사망자가 21명에 달하는 기업이다. 사망자 중 하청노동자는 16명이다. 이 기업에서 발생한 제철소 하청노동자 사망사고는 인원부족, 안전규정 미준수, 사고은폐 등 이른바 '위험의 외주화'의 대표적인 사례로 불린다.
#네이버에서는 노동자가 직장 내 괴롭힘 끝에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건이 이슈화되면서, 기업문화가 수평적이라고 알려진 것과는 달리 사내에 '갑질'이 만연하다는 증언이 속속 나오고 있다.
민주노총 부설 민주노동연구원이 31일 발간한 'ESG는 환경과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가?'라는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ESG평가는 기업이 공개하는 보고서를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보고서 자체가 부실하거나 중요 내용을 누락했을 경우에 이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보고서는 "ESG평가가 평가기관의 자의적 기준에 의해 치러지는 경우가 상당수"라며 "이렇게 부여된 등급은 ESG에 부합하는 행위와 그와 반대되는 행위를 엄밀하게 평가하지 못하고 있어 실제 사회변화로 이어지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특히 기업들이 제출한 보고서는 현장 노동자들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을 문제로 꼽았다. 산업재해가 많이 발생했는데도 이를 보고서에서 누락하거나 은폐하는 경우에는 ESG평가에 반영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실제로 올해 포스코가 발간한 기업시민보고서는 2018년~2020년까지 산재사망자수가 13명으로 기재돼 있다. 그러나 같은 기간 금속노조가 집계한 산재 사망자수는 19명으로 차이가 났다. 금속노조는 "포스코의 실제 산재 사망자수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한다"고 주장했다.
ESG평가의 허점이 드러나면서, 노동계에서 ESG평가에 노동자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발간한 ESG 모범규준에는 '기업은 헌법에서 정한 노동3권과 국제노동기구(ILO)에서 규정한 근로자의 기본적 권리를 존중하고 보장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지만 실제 해당 내용을 등급 평가에 반영하지 않고 있다는 비판이다.
이에 류승민 민주노동연구원 연구위원은 "노동자를 비롯해 가장 취약한 사람들을 중심으로 환경, 노동, 사회적 이슈가 논의되고 그에 기반하는 대응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