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펀드'는 미끼상품? 상당수 파리협약 목표치 미달

이준성 기자 / 기사승인 : 2021-09-02 14:37:27
  • -
  • +
  • 인쇄
기업이 ESG를 마케팅으로만 활용
ESG투자의 투명성을 명확하게 감사할 수 있어야

글로벌 ESG 채권 상품 중 상당수가 실제로는 파리협약에서 기준으로 삼은 기후협약 목표치에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사실상 투자를 받기 위한 꼼수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일 영국 싱크탱크 인플루언서맵(InfluenceMap)은 지난달 발간한 '기후 기금이 파리협약에 맞춰져 있는가?'(Climate Funds: Are They Paris Aligned?) 라는 보고서에서 "ESG 범주로 등록된 593개의 펀드 상품 중 421개의 상품과 기후위기 개선을 테마로 한 펀드 130개 중 72개의 상품이 파리 기후 협약 목표치에 미달한다"고 밝혔다. 또 "기후위기 개선 펀드조차도 화석 연료를 통해 상품을 생산하는 업체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1억5300만달러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국제 ESG 및 기후 투자 상품은 2020년 총 가치가 1조7000억달러로 급성장했지만 이러한 투자 상품에 대한 감사는 미미한 실정이다. 실제 지난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는 도이치 은행의 자산 관리 부서가 투자사의 환경과 사회 인증을 허위로 표기했다는 혐의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ESG 투자의 불투명성과 도덕적 해이가 지속적으로 이슈가 되면서 일각에서는 기업이 ESG 자체를 일종의 마케팅의 일환으로 볼 뿐 실제 기후위기 해결과 환경 보호는 등한시한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실제로 올해 3월 옥스포드 대학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2000대 공기업 중 21%가 탄소 배출량 0%을 공약했지만, 국제연합(UN) 'Race to Zero'에서 설정한 기준을 충족한 곳은 이들 중 25%에 불과했다. 또한 해당 보고서는 “이른바 ‘탄소제로’ 정책을 발표한 기업들 중 3분의 1은 운송 과정에서 나오는 탄소를 고려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러한 폐단을 막기위해 유럽연합(EU)에서는 올해 3월 10일 부터 지속가능금융공시규제(SFDR)을 시행하고 있다. 지속가능금융공시규제란 유럽연합 내에서 판매하는 모든 투자상품의 ESG 요소를 공개적으로 평가하는 제도이다. 국제금융센터는 "지속가능금융공시규제가 글로벌 금융권의 ESG 제도화에 있어 첫걸음이라는점에서 중요하다"고 의의를 설명했다. 그러나 이 제도는 유럽연합에 진출하는 금융권만 대상으로 한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투자상품의 ESG 요소와 기준치 등을 투명하게 평가하는 국제기준 마련이 시급할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KB국민은행, 서울숲에서 어린이 꿀벌 체험 프로그램 진행

KB국민은행은 생태계 다양성 보전에 앞장서고자 서울숲 꿀벌정원에서 어린이 꿀벌체험 '안녕, 꿀벌' 프로그램을 진행한다고 22일 밝혔다.이번 프로그램

22일 지구의 날...뷰티·식품업계 '기후감수성' 살리는 캠페인 전개

뷰티·식품 등 유통업계가 4월 22일 지구의 날을 맞아 '기후감수성'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친환경 캠페인을 전개한다.동원F&B는 제주 해안

'친환경 소비촉진'...현대이지웰, 국내 첫 '온라인 그린카드' 도입

현대이지웰이 국내 최초로 '온라인 그린카드'를 도입해 친환경 소비촉진에 나선다. 현대백화점그룹 계열 토탈 복지솔루션기업 현대이지웰은 21일 한국

경기도, 사회적경제조직·사회복지기관에 'ESG경영' 지원한다

경기도가 오는 5월 16일까지 'ESG 경영지원 사업'에 참여할 도내 사회적경제조직 및 사회복지기관을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사회적경제조직과 사회복지

BP, 기후전환 실패에 '주주 반발'...주주 24.3%가 회장 연임 반대

BP의 친환경 전환 전략이 실패하면서 투자자들의 반발에 직면했다.가디언, CNBC 등 외신들은 17일(현지시간) 열린 BP 정기 주주총회에서 주주의 약 4분의 1

포스코 '그린워싱'으로 공정위 제재...허위·과장 광고

객관적인 근거없이 철강 자재를 '친환경 제품'이라고 홍보하는 등 '그린워싱'(Greenwashing·위장 환경주의)'을 한 포스코가 공정거래위원회의 제재를

기후/환경

+

산불 트라우마 '의사결정' 능력에도 영향..."적절한 결정 못해"

산불 등 기후재해를 겪은 생존자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적절한 의사결정을 잘 내리지 못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오랜시간 기다리면 더 큰

"한국 2035년까지 온실가스 61% 감축 가능"...어떻게?

우리나라는 국제감축 활용 없이도 2035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 61% 감축 가능하다는 주장이 나왔다.21일 기후솔루션과 미국 메릴랜드대학 글로벌

한여름엔 어쩌라고?...4월 중순인데 벌써 49℃ '살인폭염'

몬순 우기를 앞둔 인도와 파키스탄이 벌써부터 살인폭염에 시달리고 있다.보통 5~6월에 폭염이 절정에 이르는 시기인데 이 지역은 4월에 벌써부터 연일

전세계 농경지 15% '중금속 범벅'...14억명이 위험지역 거주

전세계 농경지의 약 15%가 중금속에 오염돼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금속 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인구는 약 14억명에 달할 것이라는 추정이다.17일(현지

[영상] 홍수로 물바다 됐는데...'나홀로' 멀쩡한 집

미국의 한 마을 전체가 홍수로 물에 잠겼는데 나홀로 멀쩡한 집 한채가 화제다. 이 집은 마치 호수에 떠있는 듯했다.미국 남부와 중서부 지역에 지난 2

끝없이 떠밀려오는 '미역 더미'...제주 해수욕장 '날벼락'

제주시 유명 해수욕장인 이호해수욕장이 미역 쓰나미가 덮쳤다.최근 이호해수욕장 해변으로 엄청난 양의 미역더미가 떠밀려오면서 이를 치우는데 고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