닮은꼴 '투명페트vs투명페트병'...함께 버리면 안된다고?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2-03-11 18:32:43
  • -
  • +
  • 인쇄
투명페트 재질도 용도에 따르 종류 천차만별
다른 재질 함께 섞이면 고품질 재활용 방해돼


아파트에 사는 A씨는 분리배출을 위해 플라스틱에 붙어있는 라벨을 일일이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분류한다. 특히 '투명 페트병' 분리배출 제도가 시행된 이후에는 '페트' 표시가 돼 있는 투명 플라스틱은 항상 따로 모아서 배출한다. A씨는 자신의 행동으로 재활용률이 높아진다 생각하니 뿌듯했다. 그런데 얼마 후 자신이 한 분리배출이 오히려 고품질 플라스틱 재활용에 방해가 된다는 사실을 알고 황당했다.

'투명 페트병' 별도 분리배출 제도가 시행된지 15개월이 지났다. 처음엔 귀찮다는 이유로 그냥 버렸지만 지금은 페트병을 헹구고 라벨까지 떼서 버리는 사람들이 늘었다.

투명 페트병만 따로 모으는 이유는 플라스틱을 고품질로 재활용하기 위해서다. 페트(PET)는 고품질 재활용이 가능한 재질이지만 색이 들어갔거나 라벨, 접착제 등 이물질이 붙어있으면 품질이 떨어진다. 그래서 '투명 페트병'만 따로 모으는 제도를 2020년 12월 25일부터 아파트에서 시행하기 시작했다. 지난해 12월 25일부터는 단독주택에서도 분리배출하도록 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뉴스트리와 통화에서 "민간 선별장에 들어온 투명 페트병이 2020년 12월 461톤에서 2021년 11월 1233톤으로 늘었다"며 "이에 따라 투명 페트병을 비롯한 국내 고품질 플라스틱 재생원료 생산량은 같은 기간 약 2.2배 늘었다"고 밝혔다.

그런데 '투명 페트병' 수거함에 투명페트 재질의 플라스틱을 버리면 안된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마트에서 과일이나 채소를 담은 투명페트는 분명 '페트'로 표시돼 있지만 생수를 담은 투명 페트병과 다르다고 한다. 

▲분리배출된 투명 페트병, 대부분 라벨까지 제거돼 있다.


◇ 'PET'는 한 종류가 아니다


'PET'라고 하면 대부분 페트병을 먼저 떠올린다. 그러나 페트의 종류는 의외로 다양하다. 페트병을 만드는 재질도 있고, 카페에서 사용하는 일회용컵에 쓰이는 페트 재질도 있다. 식품 포장재나 세제통, 심지어 필름도 페트로 만든다. 색이 입혀진 것도 있지만 대부분 투명한 재질이다. 눈으로 보면 다 같은 재질처럼 보이지만 각 용도에 따라 재질이 다르다는 게 전문가들의 얘기다. 이 때문에 환경부는 '투명 페트병'에 한정해서 분리배출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페트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의 약자로, 탄소중합체로 이뤄진 고분자 물질이다. 투명도, 물성(경도) 등을 조절하기 위해 분자량을 늘리거나 줄이기 때문에 화학적으로 같은 페트 재질이지만 종류가 구별돼 있는 것이다. 같은 밀가루라도 분맥법에 따라 강력분이나 소맥분으로 나뉘어져 있는 것과 같다.

모든 페트 재질은 재활용이 가능하다. 다만 종류가 서로 다른 재질이 섞이면 고품질 재활용을 할 수가 없다. 일정한 성질을 갖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만약 카페의 페트컵을 고품질 재활용하고 싶으면 동일한 용도의 컵만 모아야 한다.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장은 "따로 배출해야 하는 투명페트병의 종류를 명확하게 홍보해야 한다"며 "투명한 페트재질이면 모두 투명 페트병에 배출하면 되는줄 아는 소비자가 아직도 많기 때문에 정확한 기준을 알려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수많은 페트 재질 가운데 '투명 페트병'만 분리배출하는 이유도 소비자들이 헛갈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무엇보다 소비자들이 육안으로 페트 재질을 구분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 카페의 일회용 플라스틱 컵도 'PET·PP·PS' 등 다양한 재질이 사용된다. 그러나 모두 투명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같은 재질이라고 착각한다. 게다가 일부 플라스틱은 복합재질로 돼 있어서 분리배출을 더 어렵게 만든다.

그러나 음료나 생수를 담는 '페트병'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단일 재질을 사용한다. 투명재질이므로 이물질 여부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 '페트병'이 다른 페트 재질에 비해 세척도 쉽다.

환경부는 "이물질이 묻어있으면 고품질 재활용에 방해가 된다"며 "음료나 생수는 물로 간단히 세척할 수 있지만 간장, 식초같은 양념이나 세제 등을 보관했던 용기는 기름 성분이 남아 있어 깨끗하게 세척하기 어렵다"고 했다. 이어 "페트병은 라벨을 떼고 이물질을 제거해 배출하면 입구 부분의 뚜껑만 제거해 쉽게 재활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양념류, 식용유, 식품 포장 용기 등은 투명한 PET지만 일반 플라스틱으로 버려진다.(사진=서울특별시)


◇ 다른 플라스틱도 '페트병'처럼


소비자들이 분리배출하는데 헷갈리지 않도록 '페트' 마크를 재질별로 구별할 수는 없을까?

아쉽게도 이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한다. 전문가에 따르면 화학적 표기는 모두 같은 'PET'이고, 용도에 따른 미세한 차이에 의해 수많은 재질로 나뉘어지기 때문에 이를 구별하는 마크가 오히려 소비자들의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오동엽 한국화학연구원 박사는 "분리배출에 대해 시민들에게 요구하는 것이 많아질수록 혼란이 가중되고 참여율도 떨어질 수밖에 없다"며 "투명 페트병 분리배출이 성공적으로 시행될 수 있었던 건 페트병이 PET로 된 단일 소재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른 플라스틱 제품들도 페트병처럼 용도에 적합한 소재로 단일화한다면 플라스틱 재활용률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정부 "한국형 탄소크레딧 시장 활성화 대책 하반기 발표"

정부가 한국형 탄소크레딧 시장을 활성화하는 대책을 하반기 발표하겠다고 밝혔다.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은 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탄소크레딧 유

화석연료 보험 늘리는 국내 손보사들...기후위험 대응력 높이려면?

글로벌 주요 보험사들은 화석연료 배제를 선언하고 있지만 국내 석탄 보험은 1년 사이에 82%가 늘어날 정도로 기후위기에 둔감하다는 지적이다. 이승준

네이버·국립생태원, 생물다양성 보호 나선다

네이버와 국립생태원이 13일 생물다양성 대응 및 생태계 보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네이버 본사에서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네이버와 국립생태

"이게 정말 세상을 바꿀까?"...주춤하는 'ESG 투자'

미국을 중심으로 '반(反) ESG' 기류가 거세진 가운데, 각 국의 정치·경제적 상황에 따라 정책 방향이 엇갈리면서 ESG 투자의 실효성 문제가 거론되고

SK이노베이션, MSCI ESG평가서 최고등급 'AAA' 획득

SK이노베이션이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최고 성과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SK이노베이션은 글로벌 ESG 평가기

산재사망 OECD평균으로 줄인다...공시제와 작업중지권 확대 추진

정부가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산업안전보건 공시제, 작업중지권 확대 등을 시행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13일 대국민 보고대회를 앞두고 있

기후/환경

+

'루돌프' 못보는 거야?...세기말 온난화로 80% 줄어든다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북유럽과 북극 등에 서식하는 야생 순록 개체수가 지난 수십 년간 3분의 2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 추세로 간다면 세기말

신라때 만든 저수지 인근 공장화재로 유해물질 '범벅'...물고기 떼죽음

신라 시기에 만들어진 국보급 저수지가 인근 화장품 공장 화재로 발생한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되면서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했다.14일 연합뉴스에 따르

"현 2035 NDC는 위헌"...국가온실가스 결정절차 가처분 신청

정부의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결정절차에 가처분 신청이 제기됐다.14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환경보건위원회와 기후위기 헌법소원

에어로졸의 반전...지구 식히는줄 알았더니 온난화 부추겨

햇빛을 반사해 지구를 식히는 '냉각효과'로 지구온난화를 억제한다고 알려진 에어로졸이 오히려 온난화를 부추기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광

[연휴날씨] 폭우 끝 폭염 시작…낮에는 '찜통' 밤에는 '열대야'

물벼락을 맞았던 서울과 수도권은 광복절인 15일부터 또다시 불볕더위가 찾아온다. 폭우 끝에 폭염이 시작되는 것이다. 광복절을 시작으로 이번 연휴

잠기고 끊기고 무너지고...수도권 200㎜ 물폭탄에 곳곳 '물난리'

7월 경남과 광주를 할퀴었던 집중호우가 이번에는 수도권 일대를 강타하면서 많은 피해를 낳았다.13일 서울과 수도권 등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내린 집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