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라·H&M·아소스' 퇴출되나?...EU '2030년 패스트패션 종식' 추진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4-01 16:30:39
  • -
  • +
  • 인쇄
의류의 내구성·재활용가능성 조건 도입한다
매립지로 보내는 미판매 제품의 양 공개요구


유럽에서 패스트패션이 쫓겨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30일(현지시간)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는 친환경설계규정의 적용범위를 확장한다며 2030년까지 패스트패션을 종식할 것을 촉구했다. 해당 규정은 직물을 시작으로 추후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예정이다.

EU는 친환경설계규정의 기준에 내구성 및 재활용 가능성을 포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EU의 친환경규정은 토스터, 세탁기 등 다수의 소비재에 대한 에너지 효율기준을 세워두고 있다. 여기에 내구성·재활용 가능성 기준을 도입할 경우 제조업체는 제품에 재활용 재료를 일정량 이상 쓰거나 재활용이 어려운 재료를 제한해야 한다.

프란스 팀머만스(Frans Timmermans) EU 그린딜담당 부위원장은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제품들은 오래가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제품이 고장나면 고칠 수 있어야 하고 스마트폰은 기능을 잃어서는 안 된다"며 전문가에게 가지 않으면 휴대폰 배터리조차 교체할 수 없는 답답함을 토로했다. 그는 "옷은 세탁을 세번 한 후에도 오래 지속돼야 하고 재활용이 가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EU집행부는 낭비문화 단속계획의 일환으로 기업들이 쓰레기 매립지에 보내는 미판매 재고의 양을 공개할 것을 요구했다. 아직 많은 검토가 필요하지만, 위원회는 미판매 제품을 매립지로 보내는 관행을 금지할 가능성도 있다. 

여기에 EU는 기업이 소비자에게 제품의 수명을 단축하는 기능, 가령 시간이 지나면서 스마트폰과 노트북 기능을 중지하거나 다운그레이드하는 소프트웨어에 대해 알려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구체적인 상품 규제안은 아직 결정되지 않아 이 계획이 패션산업을 얼마나 변화시킬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EU관계자에 따르면 매트리스와 카펫이 EU의 1차 친환경규제대상으로 거론되고 있으며, 양말을 제외한 의류나 신발 전반에 걸쳐 규칙이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

비르지니주스 신케비치우스(Virginijus Sinkevichius) EU 환경위원은 "2030년까지 EU시장에 나오는 직물의 재활용 섬유 비중 및 수명을 늘리고 재활용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위원회가 "패스트패션이 유행에서 벗어나기를 원한다"며 "지금처럼 옷을 자주 버리고 교체할 필요가 사라지면 소비자들은 패스트패션에서 벗어나 멋진 대안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낙관론을 표명했다.

유럽에서는 옷, 신발을 비롯한 섬유제품을 매년 인당 평균 11kg씩 버린다. 섬유는 식량, 주택, 운송에 이어 네 번째로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으며 막대한 양의 물과 원자재를 소비하고 있다.

특히 이번 제안이 발효될 경우 영향은 전세계에 미칠 전망이다. EU에서 소비되는 의류 및 가정용 직물의 약 4분의 3이 타 국가에서 수입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제안은 유럽의 세계 천연자원 소비량을 줄이는 EU의 '순환경제' 계획의 일부다. 또한 위원회는 EU 소비자법을 개정해 그린워싱과 계획된 노후화를 불법으로 규정하기를 요구했다. 이는 제품이 친환경적이라는 주장을 입증할 수 없으면 제품을 "친환경" 또는 "녹색"으로 설명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것이다.

누사 어반시치(Nusa Urbancic) 비정부기구 시장변화재단(Changing Markets Foundation) 이사는 패션업계가 너무 오랫동안 "오염원 부담원칙"에서 벗어났다고 말했다. "하이 스트리트 브랜드는 오래가지 않도록 디자인된 값싼 옷들로 소비자를 현혹하지만 개발도상국에 버려지는 산더미같은 쓰레기에 대한 비용은 지불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러한 잘못된 관행이 이번 발표 이후 바뀔 것으로 보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ESG

Video

+

ESG

+

"낡은 옷, 포인트로 바꾸세요"...현대百 '바이백' 서비스 시행

현대백화점이 중고패션 보상프로그램 '바이백(buy back)' 서비스를 도입한다. 가지고 있는 의류를 되팔면 해당 상품 중고시세에 해당하는 금액을 현대백

SK이노베이션, 2030년까지 베트남 맹그로브숲 복원 나선다

SK이노베이션이 베트남에서 '아시아의 허파'로 불리는 맹그로브숲 복원사업에 나선다.SK이노베이션은 7일 베트남 짜빈(Tra Vinh)성 정부 및 현지 사회적기

KCC글라스 '2024-25 ESG보고서' 발간...KPI와 연계

KCC글라스가 지속가능경영 성과와 성장전략을 담은 '2024/25 ESG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올해 다섯번째로 발간된 이번 보고서는 △ESG 전략목표와

[최남수의 ESG풍향계] 글로벌 기업들 '지속가능 공시' 적극적인 이유

이재명 정부는 ESG 정책에 대해 전향적인 변화를 줄 것으로 예상된다. 그 가운데 정책의 우선순위를 둘 것으로 보이는 정책은 지속가능성 공시다. 윤석

SK케미칼 '2024 지속가능 경영보고서' 발간..."5대 과제 평가 담아"

SK케미칼이 1년간의 ESG성과와 향후 전략을 담은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글로벌 공시 기준으로 통용되는 △

정부 '위약금 면제' 수용한 SKT..."정보보호에 7000억 투자" 결정

SK텔레콤이 해킹 사고로 번호이동한 가입자에 대해 위약금을 면제해야 한다는 정부의 요청을 수용하기로 결정했다.SKT는 침해사고 발생전인 4월 18일 기

기후/환경

+

도로 잠기고 차 끊기고...퇴근길 '기습폭우' 또 내린다고?

올들어 가장 높은 37.8℃까지 치솟았던 8일 서울은 퇴근길 '기습폭우'에 도로가 물에 잠기는 등 일대 혼란이 발생했다. 이날 기습폭우의 원인으로 '폭염'

인력도 예산도 깎더니...美 텍사스 대홍수 참사에 트럼프 '뭇매'

미국 텍사스 중부를 덮친 기록적 폭우로 111명이 숨지고 160명이 실종되면서, 트럼프 행정부의 재난 초기 대응과 기상예보 체계 붕괴에 대한 비판이 들

기후변화에 대응해 탄산칼슘 저장하는 무화과 나무...왜?

무화과 나무가 자신의 일부를 돌처럼 만들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일(현지시간) 스위스 취리히대학(UZH) 마이크 로울리 박사 연구팀

녹색전환硏, 노원구와 시민맞춤 ‘탄소중립 안내서’ 발간

서울 노원구에서 전국 최초로 시민 눈높이 '탄소중립 안내서'를 발간했다. 녹색전환연구소와 녹색에너지전략연구소와 서울 노원구와 함께 '탄소중립

벌채지역 제품 판매금지...유럽 '산림벌채법' 앞두고 회원국들 반발 확산

오는 12월 세계 최초로 '산림벌채법'(EUDR) 시행을 앞두고 있는 유럽연합(EU)에서 주요 회원국들이 규정 완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이 법은 벌채된 땅에서

온난화로 빙하 녹으면서…전세계 화산 폭발 더 격렬해진다

지구 온난화로 빙하가 녹으면서 그 영향으로 전세계 화산 폭발이 더 빈번하고 규모도 커질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미국 매디슨 위스콘신대 연구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