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오염 원인이 아시아?...'쓰레기 식민주의' 보고서 철회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2-09-16 16:05:07
  • -
  • +
  • 인쇄

한 환경단체에서 해양플라스틱 오염의 책임을 아시아국가로 돌린 '쓰레기 식민주의(waste colonialism)' 보고서를 철회했다.

2015년 미국 비영리 환경단체 오션컨저번시(Ocean Conservancy)가 발표한 'Stemming Tide' 보고서는 전세계 플라스틱 오염 대부분의 책임이 필리핀, 중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태국 등 아시아 5개국에 있다고 발표하면서 아시아 전역의 사회·환경단체로부터 '폐기물 식민주의'라고 비난받았다.

환경단체들은 해당 보고서가 무역을 가장해 개발도상국에 플라스틱 폐기물을 수출하는 북반구 국가들의 역할을 무시하고 플라스틱 쓰레기를 태우는 것이 해결책인양 오도해 아시아 국가 등에 수년간 피해를 입혔다고 비판했다. 90개국 환경단체연합 가이아(Gaia)는 오션컨저번시가 기후와 공중보건 측면에서 실제 소각비용을 과소평가했다고 지적했다.

결국 지난 14일(현지시간) 오션컨저번시는 플라스틱 쓰레기에 대한 책임을 부당하게 전가한 행위를 공개적으로 사과하고 보고서를 웹사이트에서 삭제했다. 해당 단체는 플라스틱오염 문제의 해결책 모색에 있어 아시아태평양 지역사회의 기여를 살펴보지 않은 실수를 인정하고 현재 아시아의 단체들과 협력해 '회복적 정의' 과정에 참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프롤란 그레이트(Froilan Grate) 가이아 아시아태평양조정관은 "이번 보고서 철회는 수십 년간 이어져온 쓰레기 식민주의를 중단할 기회"라고 평가했다.

크리스티 케이스(Christie Keith) 가이아 국제조정관은 플라스틱 쓰레기에 대한 책임은 보고서에 언급된 아시아 5개국이 아닌 플라스틱을 만들어내는 기업들에게 있다고 일침했다. 무엇보다 제로웨이스트 솔루션을 위해 싸우는 사람들은 공격이 아닌 존경과 축하를 받을 자격이 있다고 강조했다.

오션컨저번시 측은 웹사이트를 통해 "세계의 특정 지역(동남아시아)에 편협하게 초점을 맞춰 해양플라스틱 오염 책임을 전가하고 선진국, 특히 미국이 플라스틱을 생산하고 수출하는 데 있어 큰 역할을 해왔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았다"고 사과했다. 단체는 "소각을 플라스틱 오염의 해결책으로 다룬 것은 잘못됐다"고 하며 "이러한 기술이 플라스틱 수요를 지속시키고 순환경제 및 탄소제로를 어떻게 방해하는지 고려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Stemming Tide'는 2015년 2월 사이언스지(Science)에 발표된 논문으로, 최초로 육지에서 바다로 유입되는 플라스틱 양을 추정하고 이에 따른 192개 연안국의 순위를 매겼다.

보고서는 세계자연기금(World Wildlife Fund), 코카콜라(Coca-Cola), 다우케미칼(Dow Chemical), 미국화학협회(American Chemistry Council)를 포함한 운영그룹과 함께 미국 컨설팅기업 맥킨지(McKinsey)가 작성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강릉에 '반가운 비'...폭우 쏟아졌지만 가뭄 해갈 역부족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단비'가 내렸다. 아직 가뭄이 해갈될 정도는 아니지만 간밤에 내린 비 덕분에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인 오봉저수지의

[주말날씨] 전국 이틀간 '세찬 비'...강릉에도 '가뭄에 단비'

이번 주말에는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린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이번 비는 중국에서 형성된 비구름대가 우리나라로 진입하면서

"환경장관 약속 못믿어"...세종보 천막농성 철회 안한다

4대강 보 철거를 요구하며 금강 세종보에서 500일간 농성했던 환경단체들이 농성을 중단하기로 했다가 이를 철회했다.11일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직접

화석연료 기업들 내뿜는 탄소...치명적인 폭염을 낳았다

엑손모빌 등 석유 대기업들의 탄소배출량이 2000년 이후 전세계에서 발생했던 수십건의 폭염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강릉 식수원 고갈 일보직전 '비소식'...이틀간 20~60㎜ 내린다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으로 쓰이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1일 오전 8시 기준 11.8%까지 낮아진 가운데 토요일인 13일 동해안에 비가 내린다는 소식이다.

1.5℃ 임계점 넘었나?...전세계 산호 84% 하얗게 변했다

전세계 바다의 산호초 84%가 해양폭염으로 백화 현상을 겪는 등 최근 해양생태계가 전례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이 지난 2일 발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