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 '멸종위기'...기후위기로 지구촌 언어 절반 사라진다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1-18 08:50:02
  • -
  • +
  • 인쇄
해수면 상승에 소수민족 강제이주
577개 소수언어 사라질 위기 직면
▲사라질 위기에 처한 577개의 언어를 나타낸 지도. 적도 아프리카 주변과 태평양, 인도양 지역 소수언어가 특히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자료=The Language Conservancy)

태평양 연안에 사는 소수민족들이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으로 강제이주 당하면서 그들이 사용하는 원주민 언어 역시 멸종될 처지에 놓였다.

비영리단체 '언어보호단체'(The Language Conservancy)가 최근 공개한 '그린 언어지도'에 따르면 해수면 상승으로 적도 아프리카 주변과 태평양 및 인도양 지역에서 사용되는 577개의 소수언어들이 멸종위기에 직면해 있다.

언어학자들은 40일에 한 언어씩 죽고 있으며 기후위기로 그 손실이 심각해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현재 지구상에서 사용되는 7000개 언어 가운데 절반이 금세기말에 이르면 사라질 것으로 내다봤다.

폭염과 가뭄, 홍수 그리고 해수면 상승으로 식량과 물이 부족해지면서 이미 수백만명의 사람들이 터전을 떠났다. 이는 기후재앙에서 비롯된 것이다. 지난 10년간 인구이동이 가장 많았던 지역은 아시아·태평양 인근으로, 특히 태평양 섬 국가의 이동규모가 가장 많았다.

아나스타샤 리엘(Anastasia Riehl) 캐나다 퀸스대학 스트라시어부 부장은 "언어는 이미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고 밝혔다. 그는 가장 큰 이유로 '세계화와 이주'로 꼽았다. 소수민족끼리 사용했던 언어였는데 더이상 이 언어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언어의 쓰임새가 소멸되는 것이다.

태평양은 토착어가 번성했던 곳이다. 뉴질랜드 마오리어위원회에 따르면 세계 언어의 5개 중 1개가 태평양에서 유래됐다. 남태평양의 섬나라 바누아투의 경우는 국토가 1만2189㎢에 불과하지만 110개의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전세계에서 언어밀도가 가장 높은 곳으로, 111㎢ 당 하나꼴로 다른 언어를 사용한다. 이곳 역시 해수면 상승으로 잠길 위기에 놓여있다.

리엘 부장은 "소수언어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원주민들은 허리케인과 해수면 상승에 취약한 섬·해안지역에 밀집해 살고 있다"며 "섬이나 해안이 아니어도 기온상승으로 생계로 삼고 있는 농어업에 위협을 받으면서 강제이주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누슈카 폴츠(Anouschka Foltz) 오스트리아 그라츠대학 영어학 부교수는 "필리핀, 인도, 인도네시아를 포함한 태평양은 언어적 다양성이 풍부하며 어떤 언어는 화자가 수백 명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해수면 상승 등 기후영향이 닥치면 공동체는 터전을 떠나 이들의 언어가 가치를 잃는 곳으로 흩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더욱이 이미 소수언어 사용자들은 오랜 박해의 역사를 거쳐 1920년대에는 호주, 미국, 남아프리카, 아르헨티나 원주민언어의 절반이 멸종됐다. 기후위기는 남은 원주민언어와 언어가 담고 있는 지식의 '관에 박히는 마지막 못'인 셈이다.

그레고리 앤더슨(Gregory Anderson) 남아프리카대학 리빙텅연구소(Living Tongues Institute) 소장은 언어의 죽음이 원주민 공동체를 향한 "일종의 공격"의 결과라고 주장했다. 이는 1900년대 미국, 캐나다, 호주, 스칸디나비아 국가 등지에서 원주민 어린이들을 기숙학교에 강제 입학시켜 모국어를 금지시킨 분명한 사례부터 억양이 강한 사람들을 구직에서 배제시킨 사례까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국제연합(UN)은 이 위기에 대응하고자 지난해 12월 '국제원주민언어10년(International Decade of Indigenous Languages)' 프로젝트를 출범했다. 차바 커뢰시(Csaba Kőrösi) UN총회 의장은 원주민 공동체의 언어 보존이 "모든 인류에게 중요하다"며 "원주민 언어가 사라지면 그 언어가 지니는 생각, 문화, 전통, 지식도 사라진다"고 강조했다. 그는 각국이 원주민 언어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허용할 것을 촉구했다.

뉴질랜드, 하와이와 같이 원주민 언어가 부활한 긍정적인 사례도 있다. 1970년대 하와이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은 고작 2000명, 대부분 70대에 불과했지만 하와이어로 가르치는 학교가 세워지면서 오늘날 하와이어 구사자가 1만8700명 이상으로 늘어났다. 뉴질랜드에서는 1970년대 마오리 청년의 5%만이 마오리어를 사용했지만 정부의 지원을 받은 마오리족의 노력으로 현재 25% 이상이 마오리어를 쓰고 있다.

국제원주민언어10년 프로젝트 및 뉴질랜드 마오리어위원회의 일원인 라위니아 히긴스(Rawinia Higgins) 교수는 원주민 언어를 가리켜 "과거의 닻이자 미래의 나침반"이라고 표현했다. 그는 "35년 전 사람들이 마오리어를 법의 보호를 받는 공용어로 만들기 위해 싸웠다"며 "마오리어는 한때 금지되고 가치 없는 것으로 여겨졌지만 이제는 10명 중 8명 이상이 뉴질랜드인의 정체성으로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오리니 카이파라(Oriini Kaipara) 뉴질랜드 방송인·언론인이자 마오리어 통역사는 '언어둥지'를 뜻하는 코항가레오(kōhanga reo)에서 조부모로부터 마오리어를 배웠다. 그에 따르면 마오리족은 이들의 언어를 통해 환경과 연결되는 독특한 방법을 가지고 있다. 가령 '마테마테아온(matemateāone)'이라는 마오리 고유어는 지구에 대한 "깊고 감정적이며 영적이고 육체적인" 그리움을 나타내며 "본질적으로 나의 소속을 의미"한다고 한다.

카이파라는 "우리 세대는 운 좋게도 토착어를 배울 수 있었지만 언어손실은 여전히 우리에게 큰 위협"이라며 "원어민 세대가 지니고 있던 관습, 이해, 토착지식들은 사라졌다"고 전했다. 그는 "내 언어는 내 세계로 가는 관문"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토착어는 지역 원주민의 정신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 방글라데시의 한 연구에 따르면 모국어를 구사할 수 있는 원주민 청소년들이 알코올이나 불법물질 소비량이 낮고 폭력에 덜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SPC그룹, 굿네이버스와 과테말라 커피농가 돕는다

과테말라 화산 피해지역을 돕기 위해 SPC그룹 계열사 파리크라상이 굿네이버스 글로벌 임팩트(굿네이버스), 스카이원네트웍스와 손을 잡았다.파리크라

탄녹위 '2035 NDC' 의견수렴..."강력한 목표치와 제도적 완충장치 마련돼야"

탄소중립 혁신기술 투자가 집중되는 2030~2040년을 대비해 강력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치와 함께 제도적 완충장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대통령

걸으며 쓰레기 수거...제주해안 '플라스틱 플로깅' 진행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관광공사가 지난 18일부터 오는 7월 6일까지 도내 곳곳에서 자발적인 자원순환 실천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플라스틱 제로 제주

KT&G 업사이클링 프로그램 '상상 블루 파빌리온' 아이디어 공모

KT&G가 지역 폐기물을 재활용해 작품으로 제작하는 업사이클링 프로그램 '2024 상상 블루 파빌리온' 아이디어를 오는 7월 5일까지 공모한다고 20일 밝

아름다운가게-GS리테일, 의류 업사이클링 '친구 캠페인' 진행

재단법인 아름다운가게가 GS리테일과 함께 버려지는 옷을 활용한 업사이클링 프로젝트 '친환경으로 지구 구하기'(친구) 캠페인을 20일부터 한달간 진행

생분해 가능한 종이코팅제 개발..."바다에서도 석달만에 82% 생분해"

국내 연구진이 토양과 물뿐만 아니라 분해가 잘 되지 않는 바다에서도 생분해 가능한 코팅제를 개발하고 이 코팅제를 적용한 종이 패키징 소재를 개발

TECH

+

LIFE

+

순환경제

+

Start-u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