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0만년간 고립돼 진화했는데...마다가스카르 고유종 '멸종위기'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3-01-11 13:50:25
  • -
  • +
  • 인쇄
서식지 파괴와 기후변화, 밀렵이 원인
보존프로그램 통해 농지개간 제한해야
▲대표적인 마다가스카르 자생종으로 알려진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사진=언스플래시)


2300만년동안 고립돼 진화해온 마다가스카르 야생포유류 절반 이상이 멸종할 것이라는 경고가 나왔다.

10일(현지시간) 미국·네덜란드 연구팀과 마다가스카르 자연보호단체 바흐트라(Vahatra)는 마다가스카르 자생종 249종 가운데 30종이 멸종됐으며, 현재 섬에 서식중인 219종의 포유류 중 128종은 멸종위기에 처했다고 밝혔다. 2010년 56종이었던 마다가스카르 멸종위기종의 수가 10년 사이에 2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세계에서 네번째로 큰 섬인 마다가스카르는 약 1억5000만년전 에 아프리카 대륙에서 떨어져 나왔고, 약 8800만년 전 인도에서 분리돼 동식물들이 고립된 채 진화해 왔다. 그래서 이 섬에서는 지구 다른 지역에서 볼 수 없는 종 90%가 비교적 자연 그대로 보존돼 있는 생물다양성 핫스팟이다. 아프리카에서 이 섬으로 유입돼 수백만 년에 걸쳐 독특한 고유종으로 진화한 대표적인 포유류들은 영장류 계통의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육식성 고양이과 동물 포사(fossa) 등이다.

그런데 이들 포유류의 절반 이상이 멸종위기에 처해있다. 연구진은 마다가스카르 포유류들이 사라지면 이 포유류에 의존하던 다른 종의 식물과 곤충들도 생존하기 힘들기 때문에 생태계가 광범위하게 무너질 것으로 예상했다. 2300만년에 걸쳐 형성된 진화의 역사가 파괴될 처지에 놓였다.

멸종위기에 내몰린 가장 큰 원인은 인간에 의한 서식지 파괴, 기후변화 및 밀렵이다. 연구진은 보존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주민 생계를 지원하고 농지개간 및 자원개발을 제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마다가스카르 자생종 포사(fossa). 마다가스카르 생태계에서 포식자 위치에 있다.(사진=위키백과)

이번 연구를 이끈 루이스 발렌테(Luis Valente) 네덜란드 내추럴리스생물다양성센터(Naturalis Biodiversity Center) 및 흐로닝언대학 선임연구원은 "다시는 진화하지 않을 독특한 종을 잃어가고 있다"며 "이는 예술작품을 파괴하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발렌테 박사는 멸종위기종 가운데 많은 종이 향후 10년이나 20년 안에 사라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렇게 사라진 생물다양성은 빠르게 회복되지 않을 것"이라며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은 자연 그대로라고 생각되는 곳도 순식간에 무너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드빈더 말리(Yadvinder Malhi) 영국 옥스포드대학 생태학교수는 "이번 연구는 사라진 생물다양성을 재건하는 데 수백만 년에서 수천만 년까지 걸릴 것임을 시사한다"며 "마다가스카르에 한정한 연구지만 다른 섬과 대륙에 대해서도 이와 비슷한 분석이 나올 것"이라고 했다.

그는 "인류가 이미 지구의 생물다양성에 미친 영향은 수백만 년 지속될 것"이지만 "앞으로 훨씬 더 큰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대규모 멸종을 막아내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고 힘줘말했다.

이번 연구는 '네이처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학술지에 게재됐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광복적금부터 기부까지...은행들 독립유공자 후손돕기 나섰다

최고금리 8.15%에 가입만 해도 독립유공자 단체에 815원 기부되는 등 시중은행들이 광복 80주년을 맞아 다채로운 지원에 나서고 있다.8일 KB국민·신

SK이노·카카오·빙그레...광복 80년 독립유공자 후손 지원에 '한뜻'

올해 광복 80주년을 맞아 기업들이 애국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을 기리고 독립유공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들을 펼치고 있다.SK이노베이션은

정부, 사망자 1명만 나와도 공공입찰 제한 추진

정부가 중대 산업재해로 사망자가 1명이라도 발생하면 공공입찰을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7일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 국

[최남수의 ESG풍향계] 삼성전자vsTSMC...ESG 성적은?

세계 최상위권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와 TSMC. 삼성전자는 메모리 반도체의 최강자이고 TSMC는 파운드리 1위 기업이다. 이들 두 기업은 글로벌 선두권

ESG평가원 "포스코, 계열사 잇단 인명사고...ESG등급 하락 전망"

포스코홀딩스가 비상장 자회사 포스코이앤씨의 반복된 인명사고로 인해 ESG평가에서 종합등급 하락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잦은 인명사

한전, 2028년 사채발행한도 초과한다..."화석연료 탈피해야"

한국전력공사의 취약한 채무구조가 고착되고 수요 감소가 겹치면서 2028년까지 사채발행한도가 초과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전문가들은 화석연료

기후/환경

+

하늘의 공포 '난기류'...가장 심한 항공 노선은 어디?

기후변화로 난기류가 더 잦아지고 있는 가운데 전세계에서 난기류가 가장 심한 항공노선은 193km 거리의 아르헨티나 멘도사-칠레 산티아고 노선인 것으

EU, 해외 탄소크레딧 구매로 탄소감축?..."탄소투자 위축" 비판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전문가들의 자문도 거치지 않고 개발도상국 등 해외에서 탄소크레딧을 구매해 탄소감축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수립

佛 파리 면적의 1.5배가 '잿더미'…기후변화가 빚은 산불

프랑스 남부에 산불이 크게 번지면서 파리의 1.5배에 달하는 면적이 잿더미가 됐다. 기후변화로 발생한 이례적인 가뭄이 산불로 이어졌다는 것이다.프

[주말날씨] 천둥·번개 동반한 '국지성 호우'...남부지방 최대 150㎜

이번 주말에 또다시 돌풍과 천둥·번개를 동반한 국지성 호우가 내리겠다. 토요일인 9일 오후부터 일요일인 10일 오후 사이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7월 지구온도 1.25℃ 상승…전세계 극단적 기후패턴 두드러져

7월 전세계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보다 1.25℃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여파로 지구촌 곳곳에서 폭우가 쏟아져 피해가 잇따랐다.6일(현지시간) 유

장마철에 몰래 폐수 방류 '딱 걸렸다''...경기도 12곳 적발

장마철을 틈타 폐수를 방류한 업체들이 덜미를 잡혔다.경기도 특별사법경찰단은 지난 6월 30일부터 7월 18일까지 도내 31개 시군의 주요 폐수 배출사업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