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 미세먼지 76%가 '타이어 마모'…"배기가스보다 위험"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3-02-23 11:46:01
  • -
  • +
  • 인쇄
英, 1970~2021 미세먼지 발생량 공개
"걷기만 해도 오염물질 노출…규제 필요"


도로·교통 부문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절반 이상이 배기가스가 아닌 '타이어 마모'인 것으로 나타나 대기오염과 건강문제가 심각한 수준에 이를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22일(현지시간) 영국 통계청은 1970~2021년 연간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 발생량 수치를 공개했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2021년 도로·교통 부문은 미세먼지의 12%, 초미세먼지의 13%를 발생시키면서 가장 큰 오염원으로 지목됐다.


도로·교통 부문 내 대기오염 물질 발생원 1위는 52%를 차지한 '타이어 마모'였다. 이어 노면표시에 쓰인 페인트와 도로 자체의 마멸이 24%로 뒤를 이었다. 승용차 배기가스는 15%, 화물 및 대형 수송차량 배기가스는 10%에 불과했다. 영국 통계청은 강력한 정부 규제 덕에 1996년부터 배기가스 배출량이 줄었고, 따라서 상대적으로 타이어 마모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커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배기가스가 줄었다고 안심할 수 없다는 게 과학자들의 입장이다. 영국 내에서 해마다 2만6000~3만8000명이 조기 사망하는데, 여러 요인 가운데 미세먼지도 연관이 있기 때문이다. 영국 임페리얼칼리지 런던(UCL) 연구에 따르면 전세계적으로 매년 600만톤의 타이어 마모 입자가 발생한다. 이 조각들 가운데 상대적으로 더 작은 경우 대기중에 떠올라 사람들의 폐속으로 흡입되고, 더 큰 경우 빗물을 타고 하수도로 흘러들어가 바다와 하천을 오염시키는 미세플라스틱이 된다.

타이어 마모로 발생한 미세 입자들은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벤조티아졸, 납이나 아연 따위의 중금속 등이 포함돼 있다. 모두 내분비계 교란, 대사질환, 발암 등 건강에 심각한 위해를 가할 수 있는 독성 화학물질이다.

이에 대해 UCL 기계공학과 탄젱추 박사는 "배기가스에 가려져 타이어 마모에 대한 위해성은 평가절하돼 있다"면서 "모든 차량을 배기가스 배출이 없도록 전동화한다고 해도 계속해서 차량으로 인한 오염물질들은 계속 발생할 것"이라고 밝혔다.

UCL 연구팀에 따르면 현대에 들어 자동차들의 효율이 향상되면서 배기가스로 발생하는 미세먼지보다 타이어 마모로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최대 2000배 많은 사례까지 확인됐다. UCL 국립심폐연구소 테리 테틀리 교수는 "타이어 마모로 인한 건강 영향에 대한 우려가 점차 커지고 있다"면서 "단순히 보도로 이동하기만 해도 타이어로 인한 오염물질에 노출되기 때문에 이같은 입자들에 대한 영향을 이해하는 게 필수적"이라며 타이어에 사용되는 화학물질에 대해 엄격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해 6월 미국 캘리포니아주는 타이어 마모와 균열을 막기위해 첨가되는 고무 산화방지제 '6PPD-퀴논'이 연어를 죽음으로 내몰고 있다며 해당 물질의 사용 금지 법안을 발의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강릉에 '반가운 비'...폭우 쏟아졌지만 가뭄 해갈 역부족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단비'가 내렸다. 아직 가뭄이 해갈될 정도는 아니지만 간밤에 내린 비 덕분에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인 오봉저수지의

[주말날씨] 전국 이틀간 '세찬 비'...강릉에도 '가뭄에 단비'

이번 주말에는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린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이번 비는 중국에서 형성된 비구름대가 우리나라로 진입하면서

"환경장관 약속 못믿어"...세종보 천막농성 철회 안한다

4대강 보 철거를 요구하며 금강 세종보에서 500일간 농성했던 환경단체들이 농성을 중단하기로 했다가 이를 철회했다.11일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직접

화석연료 기업들 내뿜는 탄소...치명적인 폭염을 낳았다

엑손모빌 등 석유 대기업들의 탄소배출량이 2000년 이후 전세계에서 발생했던 수십건의 폭염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강릉 식수원 고갈 일보직전 '비소식'...이틀간 20~60㎜ 내린다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으로 쓰이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11일 오전 8시 기준 11.8%까지 낮아진 가운데 토요일인 13일 동해안에 비가 내린다는 소식이다.

1.5℃ 임계점 넘었나?...전세계 산호 84% 하얗게 변했다

전세계 바다의 산호초 84%가 해양폭염으로 백화 현상을 겪는 등 최근 해양생태계가 전례없는 위기를 맞고 있다. 미국 해양대기청(NOAA)이 지난 2일 발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