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폭탄과 얼음의 습격...북극 한파에 마비된 유럽·미국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4-01-18 18:07:13
  • -
  • +
  • 인쇄
▲북극한파와 눈 폭풍으로 피해가 속출하는 유럽·미국 (사진=AFP연합뉴스)

유럽과 미국에서 북극한파와 눈 폭풍으로 인한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유럽 중부에서는 항공편과 고속철도 운행이 줄줄이 취소됐고, 미국에서는 빙판 교통사고, 저체온증 등으로 사망자까지 발생했다.

미 뉴욕타임스(NYT) 등 주요 언론에 따르면 17일(현지시간) 오전 독일에서 가장 큰 공항인 프랑크푸르트공항에서 혹한·폭설 영향으로 오전 출발 예정이던 항공편 1030편 가운데 약 700편이 결항했다. 눈과 비가 몇 시간동안 이어지면서 활주로가 얼음판이 돼 이륙이 불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오후에는 일부 항공편 운항을 재개했으나, 공항 측은 악천후에 따른 운항 취소는 다음날인 18일(현지시간)까지 이어질 전망이라고 밝혔다.

독일 뮌헨 공항도 이날 오전 출발 예정이던 항공편 650편 가운데 250편이 악천후로 취소됐고 서부 국경의 자르브뤼켄 공항은 아예 운영을 중단했다.

또 독일 국영 철도 도이체반은 날씨로 인한 사고방지를 위해 고속철도 ICE 최고 속도를 기존 시속 300㎞에서 시속 200㎞로 제한했다. 이외에도 바이에른주에서는 학교 수십곳이 악천후로 수업을 취소하거나 원격수업으로 전환했다.

앞서 독일 기상청은 이날부터 18일까지 한파와 폭설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면서 남부지역 대부분에 블랙아이스 경보를 발령했다. 중부 지역에는 대설 경보가 발효 중인데, 남서부 바덴뷔르템베르크에는 최대 40㎝의 눈이 쌓일 것으로 예측됐다.

독일뿐만 아니라 다른 유럽 국가에서도 비슷한 피해가 이어졌다.

이날 노르웨이 오슬로공항도 폭설로 몇 시간동안 운영을 중단했고 오슬로 기차 운영사 Vy는 동부 대부분 지역 노선이 폐쇄됐다고 밝혔다. 스웨덴에서는 폭설로 서남부 지역에서 교통사고가 수차례 발생해 극심한 교통체증으로 이어졌다.

미국에서도 눈 폭풍과 한파로 인한 사망 소식이 잇따르고 있다. 지난 12일부터 현재까지 테네시주와 뉴욕주, 미시시피주, 아칸소주, 캔자스주, 오리건주 등 미국 전역에서 폭풍으로 인한 사망자가 잇따랐다.

테네시주에서는 눈 덮인 도로에서 트럭이 트랙터와 트레일러를 들이받아 운전자와 탑승객들이 숨졌고, 펜실베니아주에서는 미니밴 차량이 고속도로에서 전복되면서 사망자가 발생했다. 오리건주에서는 저체온증으로 숨지는 사람까지 발견되는 등 재해 관련 사망자가 미국 전체에 최소 33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눈 폭풍으로 인해 나무가 쓰러지면서 전신주가 파손돼 오리건주와 워싱턴주에서는 각각 약 6만, 1만 가구가 닷새동안 정전을 겪기도 했다.

미 기상청(NWS)에 따르면 로키산맥과 중부 대평원, 중서부 지역 대부분의 체감온도는 영하 34℃에 달했고 시카고는 영하 15℃, 디트로이트는 영하 14.4℃를 기록해 알래스카보다도 추운 날씨가 이어졌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바다커튼·유리구슬...지구공학 방법론 온난화 억제 "효과없다"

지구공학 기술을 이용해 지구온난화를 대처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온난화를 막기는커녕 오히려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평가다.영국 엑스터대학 마

경기도민 89% "기후위기 심각…적극대응 필요하다"

경기도민 10명 중 9명이 기후위기 심각성을 인지하며 이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경기도는 지

강릉시, 평창 도암댐 비상방류 한시적 수용..."20일 시험방류"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이 평창 도암댐의 물을 한시적으로 수용하기로 했다.강릉시는 환경부 장관 방문 이후 거론됐던 도암댐 도수관로 비상 방

강릉 저수율 12% '간당간당'...단수 상황에 곳곳에서 '아우성'

18만명 강릉 시민의 생활용수 87%를 책임지고 있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 12%가 붕괴되기 직전이다. 10일 오전 6시 기준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은 전일 같은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