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항공기 좌석은 플라스틱 섬유·동물 가죽 소재로 만들어져 환경오염에 일조한다는 비판을 받으면서, 항공업계에 이를 대체하는 재활용 자원이나 식물성 소재 등으로 만든 항공용 좌석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독일 항공기 좌석 제조업체인 레카로 에어크래프트 시팅(Recaro Aircraft Seating GmbH)은 지난 20~25일(현지시간) 싱가포르에서 열린 에어쇼에서 오래된 매트리스를 재활용한 폼과 폐 코르크 화합물이 함유된 팔걸이가 달린 이코노미 클래스 좌석을 선보였다. 이 좌석의 뒷면에는 버려진 어망으로 만든 주머니가 달려있다. 마크 힐러(Mark Hiller) 레카로 CEO는 "올해 이 좌석을 상용화하는 것이 목표"라면서 "일부 부품에 대해 항공안전인증을 받아야 한다는 점을 감안해도 2025년에 이 좌석에 사람이 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부분의 항공사들은 '2050 탄소중립'을 목표로 내걸고 있어, 현재 이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친환경 연료를 비롯해 항공기 소재에 이르기까지 탄소저감·친환경 소재 도입을 위해 애쓰고 있다. 실제 이번에 열린 싱가포르 에어쇼에서는 항공업계의 지속가능성 과제가 화두로 떠올랐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재활용 소재로 만든 비행기 좌석은 항공사의 친환경 정책을 가시적으로 보여줄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이 많다"고 했다.
다만 재활용 소재 좌석이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넘어야할 산이 아직 남아있다. 복잡한 항공 안전 규정을 만족시켜야 할 뿐만 아니라 재활용 섬유로 만든 좌석은 기존 좌석보다 무겁지 않아야 하는 것도 과제로 꼽힌다. 그 이유는 무게가 많이 나갈수록 항공기 연료소모가 많아지기 때문이다. 항공기 연료소모가 더 늘어나면 재활용 소재의 좌석을 도입한 의미가 퇴색된다. 힐러 CEO는 "좌석 부품의 무게는 기존 부품보다 더 가볍거나 최소한 같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같은 맥락에서 '선인장 가죽'으로 만든 좌석도 에어쇼에서 눈길을 끌었다. 선인장 가죽은 선인장에서 추출한 섬유성분을 가죽처럼 가공한 것이다. 선인장 가죽은 기존 동물가죽과 유사한 질감을 가지면서도 동물가죽보다 가볍고 질겨 항공기용 좌석을 만들기에 안성맟춤이라는 것이다.
재활용 좌석이 각광받고 있자 사우스웨스트항공과 에어인디아도 재활용 좌석 제조사와 협업을 진행하고 있다. 항공업계 관계자들은 "두 항공사와 협업해 만드는 좌석의 80%는 재사용 소재를 사용하는 것으로 안다"면서 "폐항공기에서 배출된 좌석도 온전히 재활용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항공업계의 탄소중립을 위해서는 항공유 개선이 더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근본적으로 항공유가 탄소배출의 주범인데, 상대적으로 가시적이고 개선하기 쉬운 좌석만 바꾸는 것은 그린워싱이라는 것이다. 실제 폐유나 농업 원료로 만든 지속가능한 항공 연료의 공급량은 탄소중립을 위한 요구량의 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이같은 주장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