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세미나] 아로마티카 "소재 단일화와 수거까지...순환경제 구현"

김나윤 기자 / 기사승인 : 2024-05-28 21:18:34
  • -
  • +
  • 인쇄
▲김세령 아로마티카 ESG팀장이 28일 서울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개최된 '녹색금융&ESG세미나'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newstree

"소재 단일화와 직접 수거를 통해 자원순환체계를 구축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를 대상으로 환경교육까지 병행하고 있다."

김세령 아로마티카 ESG팀장은 28일 서울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인하대학교 녹색금융대학원과 지속가능경영연구소 주최, 뉴스트리와 SDG연구소 주관으로 열린 '녹색금융&ESG세미나'에서 '지속가능한 뷰티브랜드의 플라스틱 자원순환을 위한 패키징 사례'를 주제로 플라스틱 순환경제 사례를 발표했다.

2004년 창립해 천연향, 비건 포뮬러를 제조하는 아로마티카는 패키지도 2021년 3월 뷰티업계 최초로 헤어제품 12종에 100% 재활용 페트를 적용하는 등 지속가능한 패키지에 주력하고 있다. 펌프는 원터치 캡으로, 유색 용기는 투명 용기로, 표면 인쇄는 수분리 라벨로 전환해 재활용을 용이하게 만들었다. 또 유리용기는 2019년부터 폐유리 90%를 사용한 재활용 무색 유리로 사용하고, 차광이 필요한 제품에만 색유리 대신 코팅유리를 쓰고 있다.

복합재질이었던 패키지들도 PE 혹은 알루미늄으로 단일화했다. 아로마티카에서 쓰는 플라스틱은 58%가 재생원료, 유리는 97%가 재생원료라고 김 팀장은 밝혔다. 용기나 섬유로 재활용 가능한 고품질 재활용 자원의 투명 페트를 92% 수준까지 높였으며 특히 모든 무색 페트는 재활용 원료를 적용하고 있다. 이외에도 사탕수수 부산물로 만든 비목재 종이포장재, 고체형 샴푸바 등 다방면으로 포장재를 감축하거나 전환하고 있다고 김 팀장은 덧붙였다.

김 팀장은 "무엇보다 아로마티카는 용기 재사용이 편리하도록 구조를 설계했다"면서 "다 쓴 용기는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잔여물을 최소화할 수 있고, 세척이 용이하게끔 곡선형으로 용기를 설계했다"고 밝혔다.

아로마티카는 2016년 리필팩 7종을 출시한 이후 삼푸, 주방세제까지 20종으로 확장했다. 지금까지 판매된 리필팩은 63만개로, 이는 플라스틱 용기(300ml) 71만개, 플라스틱 양 21.5톤에 해당한다. 2020년 6월 화장품 리필 스테이션 오픈 후 자사 매장에서 리필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으며 김 팀장에 따르면 약 90%가 직접 용기를 들고 방문해 리필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아로마티카는 투명페트 자원순환 캠페인 '조인더서클'(Join The Circle)을 통해 2021년부터 자사 제품 및 투명 페트병을 직접 전기트럭으로 수거해 재활용하고 있다. 서울·경기에 위치한 30곳의 제로웨이스트샵과 연대해 강남구청, 학교 등 다양한 기관들과 캠페인을 실행중이며 2024년 누적 수거량은 14톤으로 생수병(500ml) 기준 약 70만개를 수거했다. 수거된 공병은 세척해 재활용 원료 공장에 전달하고, 자사 용기 제작시 원료로 활용하고 있다.

끝으로 김 팀장은 "기업이 노력해도 소비문화와 대중이 함께 움직여야 플라스틱 감축이 가능할 것"이라며 아로마티카는 환경교육 측면에서도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고 밝혔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간] ESG 전략 마스터 클래스: 실전 가이드

전략(S)–공시(D)–성과(P)를 연결하는 ESG 설계 기준서가 출간됐다. 이 책은 ESG 전략이 의무공시 체계에 부합하고 기업가치 제고의 실질적 도구로

KCC·효성중공업 건설PU '콘크리트 탄산화' 억제해 건물 부식 예방한다

응용소재화학기업 KCC가 효성중공업 건설PU와 손잡고 콘크리트 건축물의 탄산화를 억제해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융복합 기술을 공동 개발했다고 29일

HD현대오일뱅크, 폐수 처리비 450억 아끼려다 1761억 과징금 '철퇴'

환경부가 특정수질유해물질인 페놀이 함유된 폐수를 불법적으로 배출한 HD현대오일뱅크에 대해 '환경범죄 등의 단속 및 가중처벌에 관한 법률'(이하

"재발의된 '기업인권환경실사법'에 기후실사도 의무화해야"

올 6월 재발의된 '기업인권환경실사법'에 기후대응 관련조항이 빠져있어, 이를 추가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기업인권환경실사법'은 기업의 인권과 환

아워홈, 실온에서 분해되는 ‘자연생분해성 봉투’ 2종 개발

아워홈은 ESG 경영 강화를 위해 친환경 제품 2종을 개발해 전국 단체급식, 외식 매장에 도입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친환경 제품은 자연생분

남양유업 ‘찾아가는 친환경 교실’ 참가 초등학생 1000명 모집

남양유업은 서울·경기권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친환경 교실' 하반기 교육신청을 오는 9월 9일까지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한다고 28일 밝

기후/환경

+

이 정도일 줄이야?...매일 미세플라스틱 6만8000개 '꿀꺽'

한 사람이 매일 6만8000개의 미세플라스틱을 집안이나 차에서 흡입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28일(현지시간) 나디아 야코벤코 툴루즈대학 박사가

상반기 세계 온실가스 또 늘었다..."美 화석연료 사용 증가탓"

올 상반기동안 미국 제조업 분야의 탄소배출량이 증가하면서 전세계 탄소배출량이 늘어나는 결과를 초래한 것으로 나타났다.비영리단체 클라이밋 트

100년에 한번이던 유럽 대형산불..."기후변화로 10년꼴로 발생"

최근 그리스와 튀르키예, 스페인 등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한 가운데 앞으로 유럽에서 이같은 산불이 발생할 가능성이 10배 높아졌다는 연구결과다.세

해상풍력 확대 필요하지만..."인권·환경 보호장치도 마련해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인권과 환경을 두루 고려해야 지속가능한 전환이 가능하다고 전문가들이 입을 모았다.29일 국회 기후위기탈탄소경제

'톨루엔·자일렌' 화학물질...규제대상 아니라고 배출하다 '딱' 걸렸다

경기도의 일부 산업시설에서 미규제 오염물질을 계속해서 배출해온 것으로 드러났다.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경기 북부 산업시설 5종을 대상

'시베리아 흙탕물' 확산..."원인은 기후변화로 약해진 해류"

기후변화로 북극해 해류 흐름이 변하면서 시베리아 흙탕물이 수백km 밖까지 퍼지고 있다.극지연구소는 전미해·정진영·양은진 박사 연구팀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