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적 구속력이 있는 '플라스틱 국제협약'이 제정될 경우, 국내 관련산업은 큰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하루빨리 순환경제로 전환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김평중 한국석유화학협회 본부장은 28일 서울 태평로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인하대학교 녹색금융대학원과 지속가능경영연구소 주최, 뉴스트리와 SDG연구소 주관으로 열린 '녹색금융&ESG세미나'에서 지금까지 4차례에 걸쳐 진행된 '플라스틱 국제협약'에서 논의된 내용들을 짚으면서 이같이 말했다.
김평중 본부장은 "아직 국제사회는 플라스틱 국제협약을 진행하면서 핵심 쟁점에 대한 합의까지 이르지 못했지만 결국 플라스틱 오염물질에 대한 관리강화를 하는 쪽으로 합의하게 될 것"이라며 "국제사회에 이에 대해 합의하게 되면 국내 산업계는 큰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하루빨리 대응방안을 모색해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플라스틱 국제협약'은 △플라스틱 오염종식 목표연도 △생산감축 혹은 재활용에 초점을 맞출 것인지 △법적 구속력 △재원조달·기술이전 △협약 조항 마련에 있어 다수결로 정할지 만장일치로 정할지 등 크게 5개 주요 쟁점을 두고 175개국이 모여 논의하고 있다. 최종성안은 오는 11월 부산에서 열리는 마지막 회의인 5차 총회에서 도출할 예정이다.
김평중 본부장은 "현재까지 논의된 내용으로 봐서는 재활용 용이성을 높이기 위한 제품 디자인에 대한 기준, 화학물질 사용량 저감, 수거와 선별시스템 구축을 위한 재원마련에 대해 구체적인 내용이 담길 가능성이 높다"면서 "우리나라는 여러 산유국을 제치고 플라스틱 생산량 4위인 국가기 때문에 법적 구속력이 있는 이 협약이 확정되면 적지않은 타격을 받게 된다"고 말했다.
따라서 "전자전기, 자동차, 건설 등 내구력이 높은 플라스틱은 수명이 길고 수거하기 쉽기 때문에 재활용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고, 일회용품이나 포장재 같은 소재들은 대체소재를 개발하는데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어 김 본부장은 "석유화학 대기업들은 화학적 재활용 시장에 뛰어들기 위해 대규모 시설투자를 진행하고 있지만 원료수급과 자금조달 문제로 난관에 봉착해 있고, 포장재 업계는 대부분 영세한 기업들이 포진해 있어서 대체소재 개발을 위해 많은 자금을 투입할 여력이 못된다"면서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