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변이 발생했던 오송지하차도처럼 침수로 인한 차량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홍수경보 발령지점이나 댐 방류 경보지점 부근에 진입하는 차량들에게 위험을 알려주도록 국내 6개 내비게이션이 7월에 업데이트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환경부,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우리 국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6개 내비게이션을 7월부터 순차적으로 업데이트해 전국 223개 지점의 홍수경보를 운전자가 실시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2일 밝혔다. 6개 내비게이션은 카카오내비게이션을 비롯해 T맵, 네이버지도, 현대·기아 내비게이션, 아틀란, 아이나비에어 등이다.
정부는 데이터 기반 디지털 플랫폼 정부의 구현을 위한 민관협업 플랫폼(DPGcollab)의 일환으로 지난해 7월부터 기업들과 함께 내비게이션을 통해 홍수경보 등 위험 상황을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릴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해왔다.
특히 올 1월부터는 과기정통부와 환경부의 주관 하에 '도로·지하차도 침수사고 예방을 위한 민·관 합동 내비게이션 고도화 특별전담반(이하 TF)'를 구성해 내비게이션 고도화를 추진해왔다. 그 결과, 7월 1일부터 내비게이션을 통한 홍수위험 실시간 알림(홍수경보 및 댐 방류 정보) 서비스 제공을 순차적으로 개시하게 됐다.
한편 정부는 장마기에 내비게이션을 통해 운전 중에도 홍수경보를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널리 알리고, 앞으로 지속적인 내비 고도화로 홍수정보 제공 등 다양한 재난 상황에 대응하고자, 오는 10일 과기정통부와 환경부 장관, 디플정위 추진단장, 6개 관련 기업 대표 및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장 등 내비게이션 고도화와 관련된 민·관의 대표들이 공동으로 업무협약식(MOU)를 체결할 예정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