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경쟁에 '탄소배출' 급증…MS와 구글의 해법은?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4-07-10 14:01:07
  • -
  • +
  • 인쇄

인공지능(AI) 산업이 확장되면서 전력수요가 늘어나자 '넷제로'를 선언했던 마이크로소프트(MS), 구글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늘어나는 탄소배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8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미국 4위 석유·가스회사 옥시덴털은 6년간 탄소배출권 50만톤(t)을 MS에 판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직 구체적인 금액이 공개되진 않았지만, 탄소배출권 거래 중 최대 규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MS는 최근 확장된 AI 사업으로 데이터센터 등에서 전력수요가 늘어나면서 탄소배출 문제를 시급하게 해결하기 위해 이번에 배출권을 사들인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MS는 올 5월 데이터센터 건설로 인해 2020년 대비 탄소배출량이 약 33% 증가했다고 밝혔다. 구글 역시 AI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면서 탄소배출량이 5년간 4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기업 모두 2030년까지 탄소중립과 탄소순배출 마이너스 목표를 세웠는데, AI 관련 데이터센터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이 목표에 차질이 생기고 있는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MS는 옥시덴털이 대기중 탄소를 포집해 지하에 저장하는 비용을 지불해 배출량을 상쇄할 계획이다. 옥시덴털은 미국 텍사스주에 연 50만t 규모의 이산화탄소 직접공기포집 시설을 만들고 있으며 관련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반면 구글은 탄소상쇄 프로젝트 대량 구매를 중단하고 직접배출량의 절대적 감소에 집중할 계획이다. AI경쟁이 본격화되면서 탄소배출권 구매량이 2배 이상 뛰었기 때문이다.

구글은 지난 2020년까지 연평균 130만t 내외의 탄소배출권을 조달해왔으나 AI경쟁이 본격화된 2021년부터는 구매량이 200만t으로 증가했고, 2022년에는 이보다 더 오른 290만t을 조달했다.

게다가 올 1월 세계 최대 탄소감축 인증기관 '베라'가 수행한 산림보존 프로젝트를 통한 탄소상쇄 프로젝트의 94%가 실제 탄소배출 감축 효과가 거의 없는 '팬텀 크레딧'인 것으로 드러나면서 탄소상쇄 배출권이 실제로 탄소중립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느냐는 문제가 제기되기도 했다.

이에 구글은 '2024년 환경보고서'를 통해 "변화하는 시장에 맞춰 탄소제거 전략을 바꿨다"며 "절대적인 배출 감축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을 피하거나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유럽 비영리단체 탄소시장 감시단 정책 전문가 파비올라 드 시몬은 "기업들이 엄격한 기후목표를 충족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탄소제거에 의존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면서도 "그렇다고 이것이 배출량을 줄이지 않는 변명이 되어서는 안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AI시대 전력시장...독점보다 경쟁체제 도입해야"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전력시장에 경쟁체제를 도입하고, 전력수요처에 발전설비를 구축하는 분산형 시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대한상공

KCC그룹, 산불 피해복구 위해 3억5000만원 기부

KCC그룹이 산불 피해복구를 위해 3억5000만원을 기부했다고 31일 밝혔다.KCC는 2억원, KCC글라스는 1억원 그리고 KCC실리콘은 5000만원을 전국재해구호협회를

8년만에 바뀐 '맥심 모카골드' 스틱...친환경 디자인으로 변경

맥심 '모카골드'와 '슈프림골드' 스틱이 8년만에 친환경 디자인으로 바뀌었다.동서식품은 커피믹스의 주요제품인 '맥심 모카골드'와 '맥심 슈프림골드'

LG U+, CDP 기후변화대응 부문 최고등급 '리더십A' 획득

LG유플러스는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CDP)의 2024년 기후변화대응 부문 평가에서 최고등급인 '리더십 A등급'을 획득했다고 31일 밝혔다.CDP는 매년 전세계

코오롱ENP, 에코바디스 ESG 평가서 '상위 1%'

산업용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전문기업 코오롱ENP가 세계적 권위의 ESG 평가에서 '상위 1%' 등급을 획득했다. 코오롱ENP는 글로벌 ESG 평가기관 에코바디스(E

SKT, AI로 ESG 실현…'DO THE GOOD AI' 공개

SK텔레콤이 ESG 경영 전반에 인공지능(AI)을 도입한다.SKT는 ESG 경영 전반에 AI를 접목한 ESG 비전 'DO THE GOOD AI'를 27일 공개했다. SKT는 비전을 통해 AI와 ESG의

기후/환경

+

잿더미로 변한 산…"생태계 복원까지 100년 이상 걸릴 것"

이번 산불로 잿더미로 변한 산림이 원상태로 복귀되는데 100년 이상 걸릴 수도 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이영근 국립산림과학원 연구관은 31일 "올해

'초대형 산불' 4월에 또 발생할 수 있다?…안심할 수 없는 이유

경상권에서 발생한 산불 피해가 커진 직접적인 원인으로 '건조한 대기'와 '강풍'이 지목된 가운데, 본격적인 영농 준비가 이뤄지는 시기인데다 4월 4일

산에 불났는데 고깃배가 전소..."불씨 2㎞까지 날아갔다"

이번 산불로 75명의 사상자를 비롯해 역대급 피해가 발생한 데는 건조한 대기와 미흡한 초동대처 등이 원인으로 꼽히고 있지만 가장 직접적인 원인은 '

강진에 폭삭 무너진 미얀마…아비규환 상황에 맨손구조 불사

규모 7.7 지진이 강타한 미얀마 중부는 모든 것이 무너져 그야마로 아비규환 상태다. 매몰된 사람들을 구조할 수 있는 장비가 턱없이 부족해 구조인력

산청 산불 10일만에 '꺼졌다'...213시간 34분 걸려

지난 21일 경남 산청군에서 발생한 산불이 약 213시간 만에 진화됐다.산림당국에 따르면 30일 오후 1시를 기점으로 열흘간 이어진 산청 산불의 주불 진화

"산림청이 산불 키웠다"...전문가들이 비판하는 이유는?

경상권의 산불 피해를 키운 원인은 산림청의 미흡한 산불 진화 체계라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지난 21일 경남 산청에서 시작된 산불은 하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