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배터리 완충하면 화재위험?...현대차 "100% 충전해도 안전"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4-08-20 10:26:57
  • -
  • +
  • 인쇄
▲전기차 화재 원인을 조사중인 합공 감식반(사진=연합뉴스)


전기자동차 배터리 충전량과 화재 발생은 어떤 상관관계가 있을까?

최근 서울시는 80% 이상 충전된 전기차에 대해 아파트 지하주차장 이용을 제한하도록 하는 지침을 내렸다. 하지만 자동차업체들은 전기차의 완충과 과충전은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없다고 반박하고 있다. 

20일 현대차·기아는 최근 전기차 배터리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안이 필요이상 커지고 있는데 대해 "배터리 충전량(SoC)과 화재 발생간에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면서 "전기차를 100% 완충해도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현대차∙기아에 따르면 다른 가전제품의 배터리와 마찬가지로 전기차용 배터리는 100% 충전해도 충분한 안전범위 내에서 관리되도록 설계돼 있으며, 만에 하나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배터리 두뇌' 역할을 담당하는 첨단 BMS(배터리관리시스템)가 이를 차단하고 제어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배터리 충전량에 의해 배터리 내부의 물리적 단락이나 쇼트 발생이 결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현대차·기아는 "일반적으로 배터리 화재가 제조 불량 또는 외부 충돌 등에 의해 내부에서 물리적 단락이 발생하고, 양·음극간 높은 전류가 흐르면서 열이 발생하는데, 이때 화학 물질이 분해되면서 생성되는 산소 및 가연성 부산물 등으로 인해 발화로 이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즉, 적은 충전량이더라도 단락으로 인한 화학물질의 반응 정도가 클 경우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을 수 있다는 것이다. 현대차·기아는 "과거 전자제품 등에서 배터리 충전을 제한한 사례가 있었지만 효과가 없었다는 점이 이를 방증한다"고 했다.

또 소비자가 배터리를 완충한 이후에 계속 충전해도 과충전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배터리 내구 수명 확보를 위해 충전량에 총 3개의 마진이 반영돼 있기 때문이다.

우선 배터리 제조사에서 내구 수명 확보를 위해 총량의 10~20%의 마진을 둔다. 예를 들어, NCM 배터리는 g당 최대 275메가암페어시(mAh) 정도까지의 에너지를 담을 수 있지만 제조사는 이보다 낮은 g당 200~210mAh 수준만 사용될 수 있도록 설계한다.

두번째로 자동차 제조사에서도 자체적으로 마진을 둔다. 즉, 일반적으로 내비게이션 화면 등을 통해 볼 수 있는 충전량 수치는 제조사들이 각각 설정한 마진을 제외한 상태를 100%로 안내하는 셈이다. 마지막으로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이 사용 가능 용량을 재산정하는 리밸런싱 과정에서 일부 제외되는 용량이 있다.

이렇게 산정돼 소비자에게 안내되는 100% 충전량은 배터리 제조사와 자동차 제조사가 안전성 검증을 완료한 구간이다. 현대차·기아는 "만약 100% 충전을 넘어 과충전이 발생하면 전해액 분해 반응, 양극 구조 변경 등에 의해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면서도 "하지만 BMS는 이를 정밀하게 제어해 사전 차단하기 때문에 과충전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또 충전량을 제한하는 것은 대책이 될 수 없다며, 배터리 제조결함이 없도록 배터리셀 제조사와 함께 철저한 품질관리를 하고 BMS를 통해 사전오류를 진단하는 것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길이라는 것이다.

현대차·기아는 "BMS가 감지한 셀 이상 징후를 고객에게 문자메시지를 통해 통보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며 "이에 더해 고객 통보시스템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비도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최근 전기차 화재 발생에 대한 고객 우려가 높아진 상황에서 전기차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각 전기차 제조사들은 판매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 제조사 정보를 밝히거나 무료 안심 점검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쿠팡·마켓컬리·SSG, 6월 '녹색소비주간'에 친환경 제품 기획전

쿠팡과 마켓컬리, SSG닷컴이 6월 한달동안 환경부가 인증한 녹색제품을 한데 모아 판매하는 기획전을 진행한다.이를 위해 환경부는 27일 오후 서울 은평

LG전자, 바다생물 되살리는 해양비료 '마린글라스' 실증사업 진행

LG전자가 해양생물의 성장을 촉진하는 유리 소재의 해양비료 '마린 글라스'(Marine Glass) 실증사업을 진행한다. 이를 위해 LG전자는 서울대학교 블루카본

하나금융, 산불 피해지역 나무 기부하는 '걸음 캠페인' 진행

하나금융이 산불 피해지역에 나무를 기부하는 '걸음 기부캠페인'을 6월 30일까지 진행한다고 27일 밝혔다.일상 속 걷기를 생활화하고 대중교통 이용을

국민 '기업 호감도' 3년째 상승...74% "기업의 사회적 역할은 필수"

기업에 대한 우리나라 사람들의 호감도가 3년째 상승하고 있다. 기업은 국가경제에 기여하고 일자리를 만들며, 사회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활동을 수

쿠팡, 박대준 단독대표 체재로 전환...AI 물류혁신에 '속도'

쿠팡이 강한승, 박대준 각자대표 체제에서 박대준 단독대표 체제로 전환된다고 26일 밝혔다. 박대준 대표는 쿠팡(주)의 경영전반을 총괄하게 된다.박

일동제약 청주공장 '스마트생태공장' 된다..."온실가스 220톤 감축 기대"

일동제약이 환경부 산하 한국환경공단이 시행하는 '2025년도 스마트생태공장 구축사업' 대상 기업으로 선정됐다고 26일 밝혔다.'스마트생태공장 구축사

기후/환경

+

美 역대 최악의 더위 닥친다...기후취약 도시들 '각자도생'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기후관련 예산과 인력을 대폭 삭감한 올해 전례없는 더위가 닥칠 것이라는 예보다.26일(현지시간)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은

초중고 70% "환경교육 부족"…미래세대가 바라는 환경정책은?

다가오는 기후위기를 직접 마주할 미래세대인 청소년 10명 중 7명은 환경교육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환경재단 산하 어린이환경센터는

기후변화로 '사람 잡아먹는' 곰팡이 퍼진다

매년 수백만명의 사망자를 내는 곰팡이균이 기후변화로 서식지가 넓어지고 있어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24일(현지시간) 영국 맨체스터대학 연구팀은 컴

플라스틱 조각 얼마나 먹었길래...바닷새 몸속에서 '바스락' 소리

호주에서 플라스틱 조각들이 몸속에 쌓여 바스락거리는 소리가 나는 바닷새들이 또 발견됐다.해양 플라스틱을 연구하는 어드리프트 랩(Adrift Lab)은 23

청계천 복원 20년…'쉬리'가 돌아왔다

서울 청계천에서 2급수 이상의 깨끗한 하천에만 서식하는 '쉬리'가 발견됐다.국립중앙과학관은 청계천 복원 20주년을 맞아 실시한 조사에서 총 20종의

대선 후보 '기후공약' 첫 TV토론...탄소감축 방안 '극과극'

대통령선거 TV토론에서 처음으로 기후와 환경을 주제로 한 토론이 진행됐다.23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 이준석 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