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비상] 송배전망 부족탓에 'PPA' 시장도 개점휴업?

이재은 기자 / 기사승인 : 2024-08-29 15:10:52
  • -
  • +
  • 인쇄

재생에너지 송배전망이 포화상태에 이르면서 기업들의 RE100을 실현시켜줄 'PPA'(전력구매계약) 시장도 '개점휴업'을 맞게 생겼다.

3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PPA가 시행되고 2022년까지 1년 반동안 7건에 불과했던 PPA 계약건수는 지난해부터 올 7월까지 21건으로 1년 반 사이에 3배 늘었지만 앞으로 추가계약이 나오기 어려운 여건에 직면해 있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이상준 교수는 "전력계통 추가가 이뤄지지 않아 신규물량이 확보되지 않고 있다"며 "올해 계약건수가 더 추가되기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계통물량이 부족하다보니, RE100 기업들의 PPA 계약도 많지 않다. 2021년 6월부터 올 7월까지 PPA 계약건수 28건 가운데 RE100 기업의 계약건수는 15건에 그쳤다. 동일기업이 여러 계약을 체결하거나 여러 계열사가 1건으로 계약을 체결한 경우도 있어서, 계약을 체결한 RE100 기업은 14곳이다. RE100에 가입한 국내 기업 36개 가운데 38.9%만 PPA 계약을 체결한 것이다.

PPA 계약 가운데 한국전력을 통하지 않고 재생에너지 발전사와 직접 계약한 '직접PPA' 체결건수는 23건이다. '제3자 PPA'는 2021년 6월부터 시행됐고 '직접PPA'는 이보다 14개월 늦은 2022년 9월부터 시행됐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기업은 한국전력공사를 통해 재생에너지를 공급받는 '제3자 PPA'보다 '직접PPA'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 이유는 '제3자 PPA'는 한전에 망사용료를 추가로 내야 하므로 일반 산업용전기에 비해 요금이 최대 191%까지 비싸지만 '직접PPA'는 한전의 망사용이 의무적인 것이 아니고 전력거래소가 부과하는 거래수수료를 3년간 면제받을 수 있어 전기요금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다. 중소·중견기업의 경우는 녹색프리미엄으로 조성된 재원으로 1년간 망사용료도 지원받을 수 있다. 이런 탓에 제3자 PPA는 시행된지 10개월동안 단 1건도 계약을 체결하지 못했던 것이다. 

하지만 전력계통 부족으로 직접PPA도 갈수록 '그림의 떡'이 되어가고 있다. 현재 전력계통을 추가로 연결할 수 없어 '계통관리변전소'로 지정된 변전소는 205개에 이른다. 재생에너지 생산량이 가장 많은 광주·전남 지역이 103개로 가장 많다. 그 다음이 전북 61개, 강원·경북 25개, 제주 16개 순이다. 모두 태양광과 풍력 발전이 용이한 지역으로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우리나라 전체 재생에너지의 60%가 넘는다.

이렇다보니 신규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은 매년 쪼그라들고 있다. 한국에너지공단에 따르면 2022년 신규 재생에너지 설비용량은 전년대비 14.5% 줄었다. 대표적인 재생에너지 발전원인 태양광 신규 설비용량은 2020년 4664MW에서 2021년 3915MW, 2022년 3278MW로 매년 감소했다.

재생에너지 공급물량이 확대되지 않으면서 PPA 발전단가는 떨어지지 않고 있다. 지난해 전세계 육상풍력과 태양광의 균등화발전비용(LCOE, 발전설비 운영기간 발생하는 모든 비용을 나타낸 값)은 1MWh당 42~48달러인데 비해 석탄은 74달러, 가스는 92달러로 이미 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화석연료보다 싸졌다. 반면 우리나라는 태양광 LCOE가 1MWh당 77달러, 육상풍력은 79달러로, 화석연료에 비해 1.5배 비싸다. 이같은 가격구조는 PPA 시장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소가 된다.

PPA 계약을 체결완료했다고 해서 안심할 수도 없다. 계통포화가 심화하면서 기존 재생에너지 발전소도 공급과잉을 이유로 발전을 중단시키는 출력제어가 더욱 빈번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일례로 제주도는 2021년만 해도 태양광과 풍력 출력제어가 65회였는데 지난해는 181회에 달했다. 앞으로 계통확보가 되지 않으면 PPA계약을 했어도 재생에너지 수급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에너지전환포럼 임재민 사무처장은 "이같은 상황에서는 한전이 계통여유가 생길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2030년에도 계통이 안정화될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어 발전공급사들은 재생에너지 부족으로 계약 이행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REC를 미리 구매해놓는 경우도 있다"며 "계통 안정화를 위해서, 또 재생에너지 물량 확보를 위해서 송배전망 확충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배출권거래제, NDC 53% 맞춰 운영"…정부, 산업계 부담 덜어준다

정부가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에 대한 산업계 우려를 덜어주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NDC 하한목표인 53%에 맞춰 운영하기로 했다

'젊어지는 삼성전자'...30대 상무·40대 부사장으로 '세대교체'

삼성전자가 지난해보다 24명 많은 161명에 대한 임원승진을 단행했다. 인공지능(AI)와 로봇, 반도체 분야에서 미래기술을 이끌 리더들을 중용했다는 게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돈지갑' 나왔다

진짜 돈이 들어간 '돈방석'이 나왔다. 한국조폐공사는 진짜 돈이 담긴 화폐 굿즈 신제품 돈방석·돈지갑을 출시하고, 지난 23일 오후 2시부터 와디

파리크라상 '사업부문'과 '투자·관리부문'으로 물적분할한다

SPC그룹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이 물적분할을 진행한다.SPC그룹은 지난 21일 이사회에서 계열사인 파리크라상에 대해 물적 분할을 결정했다고 24일 밝혔

광명시, 포스코이앤씨 공사장 오폐수 무단방류로 고발

포스코이앤씨가 오폐수 무단방류 혐의로 광명시로부터 고발당했다.경기도 광명시는 서울~광명 고속도로 공사현장에서 원광명지하차도 터파기 과정에

'온실가스 배출권' 24일부터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

24일부터 '온실가스 배출권'을 증권사에서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다.지금까지 온실가스 배출권을 할당받은 기업들은 한국거래소를 통해 배출권을 직접

기후/환경

+

탄소배출권 사서 메우자?...배출권 의존기업 탄소감축 '제자리'

온실가스 배출권 시장 확대보다 기업의 직접 감축 노력이 우선이라는 국제보고서가 공개되며 상쇄 전략에 대한 재검토가 요구되고 있다.25일(현지시간

대한상의 '재생에너지 벤치마킹 연수' 참여기업 모집

대한상공회의소가 기업 재생에너지 활용현장을 직접 체험하는 '재생에너지 벤치마킹 연수' 참여기업을 모집한다고 25일 밝혔다. 연수는 오는 12월 10일~

'한전이 재생에너지 확대 가로막아..."권한집중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국전력공사(한전) 중심의 전력계통 구조가 재생에너지 확대를 가로막고 있어, 전력망 계획·접속권한을 독립기관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지적이

"배출권거래제, NDC 53% 맞춰 운영"…정부, 산업계 부담 덜어준다

정부가 '2035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2035 NDC)에 대한 산업계 우려를 덜어주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를 NDC 하한목표인 53%에 맞춰 운영하기로 했다

[날씨]"마스크 챙기세요"...전국 비·눈에 미세먼지까지 '나쁨'

25일 미세먼지로 서울을 포함한 중부·호남권의 대기질이 나쁘겠다.현재 국외에서 미세먼지가 유입되며 수도권과 강원 영서, 충청, 호남은 미세먼

올겨울 해수온 상승에 덜 춥다...때때로 '한파·폭설'

올겨울은 해수온 상승에 영향을 받아 예년에 비해 전반적으로 추위가 덜하겠지만 때때로 강력한 한파와 폭설이 찾아올 수 있겠다.24일 기상청이 발표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