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상계엄령 사태로 한국 방문을 취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관광뿐만 아니라 국내에서 열리는 국제행사들이 줄줄이 차질을 빚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선포한 비상계엄령은 국회의 해제 의결로 2시간만에 무위로 돌아갔지만, 이 여파는 관광·마이스(MICE) 업계에 고스란히 미치고 있다. 미국도 자국민을 대상으로 한국여행에 대한 경보를 발령하고 비자발급 등 영사업무를 중단했고, 뉴질랜드도 여행권고 주의수준을 한단계 상향했다. 심지어 전쟁중인 이스라엘마저 한국여행에 대해 경고를 발령했다.
이에 마이스업계는 6일 "우리는 계엄령을 해프닝으로 치부할지 모르지만 해외에서는 여행 위험국가로 지정하고 있다"면서 "비단 국내 정치권만 계엄령에 대한 후폭풍을 겪는 것이 아니고, 마이스업계는 이 여파를 정면으로 겪게 생겼다"며 울분을 토했다.
세계 각국은 계엄령으로 한국방문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면서 '여행주의보'를 발령하고, 심지어 비자발급을 중단하는 국가도 생겨났다. 주한 미국대사관은 지난 4일 자국민을 대상으로 경보를 발령하고 비자발급 등 영사업무를 중단했다. 미 국무부는 웹사이트의 한국여행 권고 수준을 기존의 1단계로 유지해두고 있지만 한국여행 권고 페이지에 주한 미 대사관의 경보(Alert) 메시지 링크를 적어놨다.
뉴질랜드도 한국을 여행권고 주의수준을 1단계에서 2단계로 상향했다. 1단계는 '일반적인 안전 및 보안 예방 조치 시행'이며 2단계는 '더욱 주의 기울이기'로, 2단계의 경우 뉴질랜드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것보다 더 심각한 안전·보안 문제가 있는 국가가 대상이다.
심지어 전쟁중인 이스라엘도 한국여행 경고를 발령했다. 이스라엘 외무부는 지난 3일 밤 성명에서 한국을 두고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이 나라를 방문할 필요성을 검토해보라"고 알렸다. 영국과 프랑스, 우크라이나, 싱가포르에서도 "광화문과 대통령실, 국회 일대에서 시위가 예상된다"며 자국민에게 군중이 모이는 곳에 접근하지 말고 모든 정치 시위를 피할 것 등을 당부했다. 주한 일본대사관은 한국 거주 중인 자국민에게 향후 발표에 유의해달라는 주의를 전했다.
한 지역관광재단 관계자는 "여행업계가 가장 타격을 입고 있다"며 "여행사들은 계획했던 행사들이 줄줄이 취소되면서 난감해하고 있다"고 전했다. 가장 타격을 받는 분야는 인센티브 여행사다. 이 관계자는 "인센티브 여행업계가 가장 불안해하고 있다"면서 "해당업체들이 재단쪽에 상황이 안전하다는 내용의 공문을 보내달라는 요청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사태로 한국여행 기피로 외국인 관광객이 줄어드는 것은 물론 국내에서 열리는 국제행사들도 취소되거나 차질을 빚게 될 처지에 놓였다.
국제행사를 준비하고 있는 A PCO업체 관계자는 "(계엄령 사태 이후) 준비중인 행사에 오지 않겠다는 사람들이 속출하고 있어 설득 중에 있다"며 "한국을 방문예정인 사람들 사이에서 불안감이 확산되는 것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B PCO 관계자도 "일부 해외 연사들이 온라인 발표로 전환하겠다는 뜻을 전해왔다"고 했다.
한국PCO협회 관계자는 PCO 곳곳에서 행사가 취소될 상황에 놓이면서 이를 막고자 인력이 급하게 투입되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PCO들에게 해외 연사들로부터 '한국 상황이 안전한가', '행사가 취소되는가' 등의 문의가 빗발치고, 한국에 도착한 연사들도 온라인 발표 전환 문의가 계속 들어오고 있다"며 "주최 및 연사들 중심으로 불안해하는 분위기"라고 밝혔다.
마이스업계는 이번 사태가 장기화될 것을 크게 우려하고 있다. 마이스업계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겨우 회복중인데 또다시 악재를 만난 것이다. 공기관 한 관계자는 "정치적 불안이 지속되면 마이스 업계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해외에서 한국이 안전하다는 것을 확신해야만 이 위기가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