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년간 10cm 상승 한반도 해수면...2100년 여의도 119배 사라져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4-12-19 12:18:12
  • -
  • +
  • 인쇄
▲최근 35년간 해수면 상승 분포도, 표시된 수치는 연평균 상승치다. (사진=해양수산부)

우리나라 연안 해수면이 지난 35년동안 10㎝ 이상 높아졌다.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은 21개 연안 조위관측소 해수면 높이 변화를 분석한 결과, 지난 35년간 해수면이 평균 10.7㎝ 상승했고, 갈수록 상승 속도도 가팔라지고 있다고 19일 밝혔다.

1989년~2023년까지 35년간 해역별 평균 해수면 상승은 동해안이 12.1㎝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서해안 11.2㎝, 남해안 9.6㎝ 순으로 나타났다. 관측지점 중에는 울릉도가 17.9㎝로 가장 크게 상승했다.

해수면 상승 속도는 갈수록 더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4년~2013년까지 과거 10년간 약 2.8㎝ 상승한 것에 비해 2014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10년간 해수면은 약 3.9㎝ 오른 것으로 확인됐다. 같은 기간 대비 1.1㎝ 더 높이 올라간 셈이다.

해수면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는 지구 평균기온 상승으로 인한 해양 열 팽창, 남·북극 빙하 붕괴 등 기후변화로 인한 현상들이 지목되고 있다.

해수부 국립해양조사원은 기후변화 영향을 확인할 수 있는 주요 지표인 해수면 상승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과거 30년 이상 관측자료가 축적된 우리나라 연안 21개 관측소 수집 자료를 분석하고 2009년부터 매년 해수면 상승 속도를 발표하고 있다.

조사원에 따르면 2009년 기준 해수면이 34㎝ 상승했을 때 여의도 면적의 83배에 달하는 연안이 물에 잠기고, 해수면이 72㎝ 상승하면 여의도 면적 119배가 잠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했을 때, 우리나라의 환경 정책이 대체로 잘 적용되더라도 2100년에는 해수면이 최대 73㎝까지 상승한다. 즉, 본격적인 기후변화 대응이 없으면 75년 후에는 지금의 연안 지역 대부분이 물에 잠겨버린다는 것이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우리나라 해수면 상승을 감시·예측하고 종합 데이터를 구축해 관리하는 것은 기후위기에 따른 피해를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삶의 터전인 연안을 기후변화로부터 지키고 재해로부터 안전한 연안을 만들기 위해 제3차 연안정비 기본계획 수정계획을 수립하고, 지난 10월 시행된 '기후변화감시예측법'에 따라 해양과 극지의 환경, 생태계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인 감시와 예측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美투자 압박하면서 취업비자는 '외면'..."해결책 없으면 상황 반복"

미국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의 한국인 근로자 300여명 체포·구금 사태는 '예견된 일'이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다. 미

기후/환경

+

강릉 저수율 12% '간당간당'...단수 상황에 곳곳에서 '아우성'

18만명 강릉 시민의 생활용수 87%를 책임지고 있는 오봉저수지의 저수율 12%가 붕괴되기 직전이다. 10일 오전 6시 기준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은 전일 같은

해양온난화 지속되면..."2100년쯤 플랑크톤 절반으로 감소"

해양온난화가 지속되면 2100년쯤 바다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는 남조류 '프로클로로코쿠스'(Prochlorococcus)의 양이 절반

곧 물 바닥나는데 도암댐 물공급 주저하는 강릉시...왜?

강릉시가 최악의 가뭄으로 물이 바닥날 지경에 놓였는데도 3000만톤의 물을 담고 있는 평창의 도암댐 사용을 주저하는 까닭은 무엇일까.9일 강릉 오봉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