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관세가 미국을 부유하게 만들 것이라고 주장하며 고율 관세 정책을 펼쳤지만 이로 인해 200조원에 달하는 역대 최대 무역적자를 봤다.
미 상무부는 올 3월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는 1405억달러(약 196조7000억원)로 전월 대비 14%가량 증가했다고 6일(현지시간) 밝혔다. 수출은 2785억달러로 전월 대비 0.2% 늘어난 반면 수입은 4190억달러로 전월 대비 4.4% 늘면서 적자폭이 크게 확대된 것이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영향을 우려한 기업들이 선제적으로 재고를 확보한 영향이다. 소비재 수입은 전월 대비 225억달러 늘어났고 트럼프 대통령이 품목별 관세 부과를 예고한 의약품 제재의 수입이 전월 대비 209억달러 급증했다.
4월에는 상호관세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전체적인 수입 감소로 무역수지 적자를 절반 수준으로 줄일 수 있었지만 여전히 689억달러(약 96조4000억원)의 적자를 보고 있는 상황이다.
기존에 트럼프 대통령은 고율 관세 정책이 미국을 더 부유하게 만들 것이라고 자신했는데, 최근에는 관세로 인해 물가 인상과 무역 적자가 이어지자 이를 두고 미국 경제의 체질 개선을 위해 감내해야 할 비용으로 표현하면서 태도를 바꾸고 있다.
지난달 30일 각료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어쩌면 아이들이 인형을 30개 대신 2개를 가지게 되겠고, 또 어쩌면 그 인형 2개가 평소보다 더 비싸지겠다"라고 말해 물가 부담 우려를 인정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실제로 최근 미국 내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비유한 것처럼 비비 인형 제조사인 마텔이 일부 장난감 가격 인상안을 발표하는 등 관세 영향에 따른 물가 상승이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그는 이후 관세 정책을 수정하기보다는 국민들이 저렴한 외국산 제품을 포기하고 소비를 절제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지난 4일 트럼프 대통령은 NBC 인터뷰에서 각료회의 발언에 대해 "난 그냥 그들이 인형을 30개나 필요하지는 않다고 말하는 것"이라며 "연필은 5개만 있으면 되지, 250개나 필요하진 않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는 우리가 필요하지 않은 물건들을 위해 중국과 무역 적자에 돈을 낭비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미국 시장에 유통되고 있는 값싼 중국산 제품을 불필요한 물건으로 규정하고, 중국과의 무역 적자를 줄이는 게 당장 소비자 물가가 오르는 것보다 중요하다는 셈이다.
관세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태도 변화'에 대중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진 않을 것이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마이크 펜스 전 부통령의 참모를 지낸 마크 쇼트는 "좋은 반응을 얻지는 못할 것 같다"며 "대통령은 가상화폐로 수십억달러를 벌면서 국민들에게는 아이들을 위한 장난감과 용품을 줄이라고 요청하는 게 겉보기에 (납득하기가)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했다.
바이든 전 행정부에서 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을 지낸 제러드 번스타인도 "정의하기 어렵고 도달할 수 없을 것 같은 목표를 위해 '생활 수준을 줄여야 한다'고 억만장자들이 말하면 대부분의 미국인이 어떤 느낌일지 상상조차 안 된다"고 꼬집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