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많이 저장한다...리튬급 수계배터리 '커패시터' 개발

장다해 기자 / 기사승인 : 2025-05-19 11:01:00
  • -
  • +
  • 인쇄

▲GIST 화학과 박찬호 교수, 신소재공학과 조영훈 박사과정생·유승준 교수+김종경 박사(GIST 화학과 졸업) (사진=GIST)


수십초 내 충전이 가능하면서도, 리튬 에너지와 비슷한 에너지 저장 성능을 갖춘 차세대 에너지 저장기술이 국내에서 개발됐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화학과 박찬호 교수와 신소재공학과 유승준 교수 공동연구팀은 레독스 슈퍼커패시터의 에너지 저장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19일 밝혔다.

재생에너지 활용이 증가하면서 과다 생산된 전기를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 장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빠른 충·방전 속도와 긴 수명을 가진 커패시터가 주목받고 있다. 커패시터는 전기를 저장했다가 빠르게 방출하는 부품으로 고속 반응이 필요한 장치에 사용된다.

수계배터리 기반의 커패시터는 충전하는데 3~4시간 걸리는 리튬배터리에 비해 수십초 내에 충전이 가능하다. 그러나 리튬배터리가 150-200Wh/kg의 에너지 밀도를 갖고 있는 반면, 수계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는 75Wh/kg에 불과하다는 게 단점이다. 물을 전해질로 사용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긴 하지만 그만큼 에너지 손실이 많다.

이처럼 수계배터리는 에너지 저장량(밀도)이 낮아 리튬배터리를 대체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연구진은 수계배터리의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방법을 연구하기 시작했고, 그 결과 리튬배터리 수준의 커패시터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조영훈 박사과정생은 뉴스트리와의 통화에서 "이번 연구는 커패시터 에너지 밀도를 100Wh/kg 이상으로 높여 리튬배터리 만큼의 성능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됐다"며 "수계 레독스 커패시터 시스템에서 125Wh/kg라는 높은 에너지 밀도를 안정적으로 구현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기존의 레독스 슈퍼커패시터는 에너지 밀도를 높이기 위해 전해질 속 레독스 활성물질의 농도를 높이는 방식이 주로 사용됐다. 그러나 이 방법은 활성물질이 전극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하며 에너지가 새어 나가는 자가방전 현상을 유발하고, 충·방전 효율(쿨롱 효율)도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펜틸바이올로젠(pentyl viologen, PV)과 브로마이드(bromide, Br)를 각각 음극과 양극의 전해질로 사용하는 듀얼 레독스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 시스템은 PV를 음극 전해질, 브로마이드를 양극 전해질로 사용해, 두 물질이 함께 반응하면서 에너지 저장 효율을 높이는 방식이다. 두 물질은 충·방전 과정 중 고체 화합물을 형성하며 자가방전을 억제하고,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펜틸바이올로젠(PV)과 브로마이드(Br)는 각각 약 2나노미터(nm)와 0.19nm 크기이며, 이처럼 크기 차이가 큰 활성물질을 모두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해서는 기공 크기 조절이 핵심이다. 하지만 기존의 기공 조절 방식은 미세기공이 무너질 위험이 있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공정이 필요했다.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간단하면서도 저렴한 합성법을 개발해, 미세기공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중형기공의 비율을 효과적으로 늘린 새로운 탄소 소재를 만들었다. 이 탄소 전극을 PV/Br 기반 레독스 슈퍼커패시터에 적용한 실험 결과, PV 분자의 흡착량이 에너지 밀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과 함께, 2~10nm 크기의 중형기공이 PV 분자의 흡착과 확산에 가장 효과적임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전해질 농도를 최대로 높이고 비표면적 3309m2/g, 기공 부피 2.38cm3/g의 탄소 전극(K1.5_TO)을 사용해, 수계 레독스 커패시터 시스템에서 리튬 배터리와 유사한 수준의 125Wh/kg라는 에너지 밀도를 구현해냈다.

유승준 교수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성능을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단순히 소재의 성능뿐만 아니라, 소재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라며, "이번 연구는 레독스 전해질과 다공성 탄소 전극의 상호 작용을 기반으로 높은 에너지 밀도를 구현한 사례로, 향후 다양한 고성능 레독스 전지 설계에 중요한 지침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LG, 생태계 살리는 ‘토종꿀벌’ 키운다…2년 후 400만마리 목표

LG가 꽃의 수분을 도우며 생태계를 유지시키는 '꿀벌 지키기'에 나섰다.LG는 최근 LG상록재단이 운영하는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 생태수목원인 화담숲 인

KCC, 지역 사회시설 환경개선 활동..."ESG경영 앞장"

KCC가 전국 사업장 소재지를 중심으로 한 지역사회 밀착형 사회공헌 활동으로 ESG경영에 앞장선다.KCC는 전라북도 진안군에 위치한 지적장애인 거주시설

SPC삼립, 제빵공장 근로자 사망사고에 "죄송하다" 사과문

경기 시흥시에 위치한 SPC삼립 제빵공장에서 50대 여성 노동자가 숨지는 사고가 또 발생했다.사고는 19일 오전 3시쯤 시화공장에서 발생했으며, 숨진 A씨

KB국민은행, 2만3000여명 소상공인 금융지원 '100억' 돌파

KB국민은행이 비대면 대출받은 소상공인에게 보증료 및 대출 이자를 지원해주는 'KB소상공인 응원 프로젝트'의 지원금액이 100억원을 돌파했다고 19일

'청소기 폐배터리 반납하면 새제품 할인'..LG전자 '배터리턴' 캠페인

LG전자가 오는 6월 30일까지 청소기 배터리 등 폐부품을 반납하면 새 부품을 구매할 때 할인해주는 '배터리턴' 캠페인을 진행한다고 19일 밝혔다.환경부

하나금융, 가정의 달 맞이 '취약계층 아동' 문화체험 봉사

하나금융그룹이 가정의 달을 맞아 '취약계층 아동 문화체험' 봉사활동을 실시했다고 19일 밝혔다.이번 봉사활동은 지역아동센터 아동들과 보호자 80여

기후/환경

+

LG, 생태계 살리는 ‘토종꿀벌’ 키운다…2년 후 400만마리 목표

LG가 꽃의 수분을 도우며 생태계를 유지시키는 '꿀벌 지키기'에 나섰다.LG는 최근 LG상록재단이 운영하는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 생태수목원인 화담숲 인

"올해 전기차 판매 2천만대 돌파예상...신차 판매 25% 차지"

올해 전기차는 신차 판매량의 25% 이상을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이다.국제에너지기구(IEA)는 14일(현지시간) '2025년 세계 전기차 전망 보고서'(Global EV Outloo

지구 9가지 한계선 중 6가지 '위험상태'...되돌릴 5가지 방법은?

인류 생존을 위한 지구는 이미 한계선을 넘어 위험한 상태지만, 지속가능한 정책을 펼친다면 지구를 2015년으로 되돌릴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

남성 온실가스 배출량 여성보다 26% 많다...이유는?

여성보다 남성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요인이 자동차 운전과 육류 섭취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14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 온딘 버

작년 우주쓰레기 3000개 발생…매일 3개씩 지구로 추락

지난해 우주에서 발생한 인공위성 잔해물이나 발사체 파편 등 '우주쓰레기'가 3000개 이상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우주쓰레기 가운데 하루평균 3개

[새 정부에게 바란다] "화석연료 퇴출...확실한 로드맵 필요"

올 3월 역대급 산불피해가 발생했듯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이미 우리나라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회적 피해를 최소화하고 이를 국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