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수도권 폐기물 직매립 금지 유예 '고려'…환경단체 "정책 퇴보" 비판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5-05-19 16:09:38
  • -
  • +
  • 인쇄
▲인천시 수도권 매립지(사진=연합뉴스)

환경부가 내년부터 시행하기로 한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조처를 유예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환경단체가 강도 높은 비판에 나섰다. 소각장 확보가 어려운 것은 사실이나, 5년이나 시행 준비 기간이 있었다는 점에서 환경단체는 '정책 퇴보'라며 강력히 비판했다.

19일 서울환경연합과 경기·인천환경운동연합 등에 따르면 정부가 내년부터 시행 예정이던 '수도권 생활 폐기물 직매립 금지'를 2년 유예하려는 정부안에 대해 성명서를 내고 강도 높게 비판하고 나섰다.

환경부는 수도권 각 지자체가 소각장 확보를 못함에 따라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 시행이 어렵다고 판단하고 지난달 국회에 유예 방안을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환경부는 유예 방안을 고려 중인 것은 맞으나 국회에 보고된 바는 없다고 반박했다.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는 환경부가 지난 2021년 7월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개정에 포함된 내용으로 수도권은 2026년, 그외 지역은 2030년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환경단체들은 "직매립 금지는 2021년 폐기물관리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이미 예고한 사안인데 5년간 허송세월하다 환경부가 국회에 최근 '유예 방안'을 보고한 것은 정책의 후퇴이자 직무유기"라고 꼬집었다.

이들은 "폐기물 처리 정책 우선순위는 폐기물 감량, 재사용과 재활용, 소각, 매립 순"이라며 "앞 단계에서 폐기물 양이 줄어야 불필요한 자원의 장비와 부정적인 환경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직매립 금지 유예를 논하기에 앞서, 감량 정책에 최선을 다했는지 되돌아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즉, 환경부가 직매립 금지 유예를 고려하기 전에 쓰레기 발생 감량에 대한 충분한 노력이 있었냐는 지적이다.

환경단체가 환경부를 강력히 비판하는 이유는 이전에도 생활폐기물과 관련된 여러 정책을 계속 폐지하거나 유예했기 때문이다. 앞서 환경부는 일회용품 사용 규제나 일회용컵 보증금제, 택배 과대포장 금지 등 다양한 환경 정책을 내놨지만 소상공인 부담을 핑계로 사실상 폐지하거나 유보한 바 있다.

환경단체들은 "수차례 보인 환경부의 정책 번복에 의해 환경부를 믿고 투자한 종이 빨대 회사들은 도산했고, 다회용기를 준비하던 자영업자들도 피해를 봤다"며 "환경부가 폐기물을 감량하려는 의지를 보이지 않는데, 어느 누가 지역에 소각장이 들어오는 걸 찬성하겠는가"라고 직격했다.

이들은 "환경부는 소각장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지자체를 위해 수도권 직매립 금지를 2년 유예하는 구국의 결단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비겁하게 지자체를 방패 삼아, 그저 관성대로 유예와 퇴행을 반복하는 것"이라며 "소각장의 주민 수용성은 환경부와 지자체가 폐기물 감량과 재사용, 재활용 정책에 최선을 다한 이후에야 비로소 확보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뉴스트리와 통화에서 "아직 유예가 결정된 것은 아니며, 국회에 보고된 적도 없다"면서 "현재 각 지자체들이 소각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라 정책 유예도 하나의 선택지로 보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환경단체의 말대로 유예만 해서는 될 일이 아니므로 만약 유예되더라도 최대한 빨리 재시행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현재 수도권지역 소각시설은 총 41곳으로 환경부는 27개 소각시설에 대해 시설 중·개축 등으로 기능을 개선할 계획이며, 10곳 정도는 신설해서 총 51개 소각장 운영을 목표로 한다. 또 전국 단위에로는 현재 177개 소각장 중 116곳을 증·개축하고 42곳을 신축해 2030년 전국 폐기물 직매립 금지 정책에 대응할 방침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SK AX, ASEIC과 51개국 제조업 탄소중립 전환 나서

SK AX가 'ASEIC'과 손잡고 국내외 51개국 중소·중견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공급망 탄소관리, 기후공시 등 탄소중립 전환을 돕는다. SK AX은 ASEIC(아셈중

쿠팡 '비닐봉투' 사라지나?...지퍼 달린 다회용 '배송백' 도입

쿠팡이 신선식품 다회용 배송용기인 프레시백에 이어, 일반 제품 배송에서도 다회용 '에코백'을 도입한다.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CLS)는 인천, 부산, 제

삼성, 수해 복구에 30억 '쾌척'…기업들 구호손길 잇달아

삼성그룹은 전국 각지에서 발생한 집중호우 피해 복구를 돕기 위해 30억원을 21일 기부했다. 기부에는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삼성전기, 삼

삼성전자-LG전자, 침수지역 가전제품 무상점검 서비스

삼성전자서비스와 LG전자가 집중호우 피해지역을 대상으로 침수된 가전제품 세척과 무상점검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삼성전자서비스는 지난 18일부

"ESG 정책 중 '기본법 제정'과 '공시 의무화' 가장 시급해"

ESG 정책 가운데 기본법 제정과 공시 의무화가 가장 시급하다는 것이 기업들의 목소리다.한국ESG경영개발원(KEMI)은 지난 17일 여의도 FKI타워 파인홀에서

한숨돌린 삼성전자...이재용 사법리스크 9년만에 털었다

삼성전자가 이재용 회장의 무죄가 확정되면서 2016년 국정농단 사건 이후 9년째 이어지던 '사법리스크'를 털어냈다. 그동안 1주일에 두번씩 법정에 출두

기후/환경

+

기후변화로 美 북동부 폭풍 '노이스터' 위력 17% 증가

지구온난화로 미국 북동부 지역의 폭풍 위력이 증가하고 있다.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의 기후학자 마이클 만 박사 등이 참여한 연구팀은 1940년 이후 올

해변을 지켜야 vs 해변가 집을 지켜야...해수면 상승으로 '딜레마'

기후변화로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미국 곳곳의 해변이 조금씩 바다에 잠기고 있다. 이 과정에서 6세기 로마법에 뿌리를 둔 '공공신탁' 개념이 다시 주목

맥주병에서 검출된 미세플라스틱...플라스틱병보다 많은 이유

유리병에서 플라스틱병보다 50배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프랑스 식품환경산업안전보건청(ANSES)은 생수, 콜라, 맥주, 와인이 담긴 플라스틱병과

'동토의 북극' 옛말되나?...겨울에 물웅덩이 생기고 새싹 돋아

한겨울에 눈이 뒤덮여있어야 할 북극에서 물웅덩이가 생기고 눈이 녹은 땅위에서 새싹이 돋는 희귀한 광경이 연출되고 있다. 이에 학자들은 북극의 겨

김성환 환경장관 "도전적·합리적 탄소감축 목표 수립하겠다"

김성환 신임 환경부 장관은 '도전적이면서 합리적인'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수립하겠다고 밝혔다.김성환 장관은 22일 취임사에서 이같이 밝히며 "2035 국

'극한호우'에 농경지 2.9만㏊ 침수되고 가축 175만마리 폐사

서산과 광주, 산청 등을 물바다로 만들었던 이번 집중호우로 경작지 2만9448헥타르(㏊)가 물에 잠겼다. 이는 축구장 4만1000여개에 달하는 면적이다.농림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